빛이 어떻게 입자와 파동의 성질을 가질수 있나요?
이중슬릿실험을 통해서 빛이 파동성을 띤다는 성질을 알수 있는데 어떠한 실험을 통해서 빛이 입자성을 가지나요? 그 이유가 궁금해뇨
- 대표적인 실험으로는 아인슈타인이 노벨상을 수상했던 광전효과가 있습니다. - 광전효과는 에너지를 가진 빛(광자)을 금속에 쬐여주면 금속에서 전자들이 나오는 현상입니다. 금속에는 (자유)전자들이 분포해있고 외부에서 높은 에너지(전자들을 금속에서 떼어낼수 있을 정도의 에너지를 가진)의 빛을 쬐여주면 자유전자와 충돌하여 자유전자가 금속에서 탈출해 나올 수 있습니다. - 이러한 현상을 보면 빛이 마치 작은 알갱이의 입자처럼 행동하기 때문에 입자성을 알 수 있는 실험입니다. 
- 빛이 왜 입자와 파동의 성질을 가지는 지는 모릅니다. - 그저 빛을 관찰하니 그렇다는 것 뿐만 알 수 있습니다. - 그리고 빛 뿐만 아니라 모든 물질은 입자와 파동성을 모두 가집니다. (물질의 이중성) - 빛의 경우 회절 실험을 통해 빛이 파장이란 것을 알 수 있고, - 광전 효과 실험을 통해 빛이 입자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 빛의 입자성은 광전효과 실험을 통해 확인되며 이는 금속 표면에 특정 파장의 빛을 비췄을 때 일정 에너지 이상에서만 전자기 튀어나오는 현상입니다 이 결과는 빛이 연속적인 에너지를 가진 파동이라면 설명할 수 없고 빛이 광자라는 최소 에너지 단위로 작용한다는 입자적 개념으로만 설명됩니다 따라서 빛은 상황에 따라 입자처럼 혹은 파동처럼 행동하는 양자 역학적 이중성을 지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단 파동의 성질은 빛이 회절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증거를 찾기 쉬웠습니다.
 입자의 성질은 아인슈탄인이 발견한 광자에 대한 개념과 에너지의 분출,
 1923년 시카고대학의 아서 콤프턴 교수가 X선을 산란시켰을 때 빛의 파장이 길어지는 '콤프턴 효과'를 발견한 것.
 등에 의해서 입자성이 밝혀졌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