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신랄한솔개181
신랄한솔개18122.05.16

2035-2040년 까지 올 전기차로 전환에 대해

전 세계가 친환경 자동차에 대해 가속력을 붙이고 있고

2040년 즈음에는 모든 국가가 전기차 생산만을 할 것처럼 보이고있습니다

1. 현재 운행중인 석유차량들도 어느정도 유예기간을 주고 폐차를 하게될것같나요?

2. 폐차를 하게 된다면, 차량 수명 대비 조기폐차 손실금액은 국가에서 보상해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03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국만 보면 2021년 전기차 판매량이 전년대비 112% 신장, 전 세계서 가장 증가폭이 컸습니다. 반면, 전 세계 내연기관차 판매량은 전년대비 2.8% 소폭 늘었지만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실적의 85% 정도에 그쳤습니다.
    내연기관차는 2016년을 정점으로 하락세에 접어들었으며, 전기차의 급속 성장이 지속될 것 같습다. 이에 따라 2030년 전기차 판매량은 2700만대로 전체 자동차시장에서 약 30% 비중을 차지하고, 2040년에는 5700만대로 확대, 점유율 약 54%로 내연기관차 판매량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

    현재 주요국가의 계획상으로는 2030~2040년까지 전기차량으로 바꾸는걸 준비하고 있으며, 이에따라 자동차 회사도 전기차 생산량을 더욱 늘릴것으로 생각됩니다. 따라서 2030년대 되면 거의 50%이상이 전기차량으로 바뀌는 등 석유차는 자연스럽게 폐차가 이루어 질것으로 보입니다. 조기폐차는 강제적으로 진행되지는 않을 거 같고 페널티를 부과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 내연기관에서 앞으로 전기차위주로 바뀔것으로 보이는데 자동차 밧데리 성능등 기술 발전이 한계치 이상으로 발전완료한다는 전제가 필요하겠죠. 캐나다경우 35년부터 전기차로 전면 전환한다고 했고 전세계가 그 싯점으로 플랜을 짜고 움직이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문제는 전기차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등을 10년안에 얼마정도 소화를 시키는냐가 관건이겠고, 정부보조금확중 및 내연자동차 생산을 줄이고 일부 건설업등 내연기관 자동차쓰임이 필요없는 개인,승용차위주로 점차 축소확대를 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