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뽀로로
뽀로로
23.09.08

일정온도 이상 올라가지 않는 물질도 있나요?

가열을 계속 해도 일정 온도 이상 올라가지 않는 물질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있다면 그런 물질들은 어떻게 그런 성질을 가지는건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멋쟁이야나는
    멋쟁이야나는
    23.09.09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열전도율이 낮은 물질은 열을 전달하는 능력이 낮기 때문에, 가열을 계속해도 일정 온도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습니다. 이러한 물질들은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지 않고, 열이 물질 내부로 흡수되어 내부 온도가 상승하는 속도가 느립니다. 예를 들어, 일부 절연체 재료나 열 저항성을 가진 섬유재료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또한, 열용량이 높은 물질은 열을 흡수하는 능력이 높기 때문에, 가열을 계속해도 일정 온도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습니다. 열용량은 물질이 단위 질량당 흡수할 수 있는 열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열용량이 높은 물질은 많은 열을 흡수하여 온도 상승을 완화시키기 때문에, 일정 온도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물은 열용량이 높은 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물질들은 열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거나 전달하지 않기 때문에, 일정 온도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는 특성을 가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부 물질은 특정 온도에서 상변화를 겪습니다. 상변화란 물질이 고체 상태에서 액체나 기체 상태로 변화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상변화는 물질이 특정 온도에서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여 온도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는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상변화 열"이라고도 부릅니다. 예를 들어, 얼음이 0도에서 녹을 때,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엔탈피는 물질의 에너지 변화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일부 물질은 특정 온도에서 엔탈피 변화가 발생하여 온도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됩니다. 이러한 엔탈피 변화는 물질이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여 온도가 상승하거나 감소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9.08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질의 온도가 일정한 수준 이상으로 오르지 않는 현상은 보통 물질의 상태 변화 과정에서 관찰됩니다. 예를 들어, 물을 가열하면 어느 정도 온도(100°C)에 도달하면 그 이후로는 온도가 더 이상 오르지 않습니다. 대신, 추가적인 열 에너지는 물을 기체 상태로 전환시키는데 사용됩니다. 즉, 액체에서 기체로의 상태 변화(증발)가 일어나며, 이 과정에서 추가적인 열 에너지는 "잠재열"이라고 하는 형태로 소비됩니다. 비슷한 원리로, 얼음을 가열하면 0°C에서 그 온도가 더 이상 오르지 않습니다. 대신 추가적인 열 에너지는 얼음을 액체 상태로 전환시키는데 사용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은 잠시 동안 발생하는 것으로, 계속해서 열을 공급하면 결국에는 해당 물질의 상태 변화가 완료되고 그 후에 다시 온도가 상승하기 시작합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면 '영원히'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물질은 없습니다. 특수한 경우 중 하나로 슈퍼유체라는 것이 있습니다. 슈퍼유체란 저온에서 특별한 양자역학적 상태를 가진 액체를 말합니다. 헬륨-4 같은 슈퍼유체들은 저온에서 내부 마찰력 없이 흐르며 열전달이 매우 효율적입니다. 따라서 실제 실험 조건 하에서 계속해서 가열해도 특정 조건 아래서는 그들의 '영점 비저항' 성질 때문에 본직적으로 '일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일정 온도 이상 올라가지 않는 물질을 "상온액체" 또는 "상온유체"라고 합니다. 이러한 물질들은 특별한 화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어 일반적인 온도 범위에서 고체나 기체로 변하지 않고 액체 상태를 유지합니다.

    상온액체의 대표적인 예로는 다음과 같은 물질들이 있습니다:

    1. 수은 (Mercury): 수은은 -38.83°C에서 녹지 않고 -39.83°C 이하의 온도에서 고체로 변합니다. 따라서 상온액체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물질 중 하나입니다.

    2. 갤륨 (Gallium): 갤륨은 29.76°C에서 녹지 않고 이보다 낮은 온도에서 고체로 변합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학습용 키트와 전자 제품 냉각 장치에서 사용됩니다.

    3. 나트륨아세테이트 (Sodium Acetate): 나트륨아세테이트는 물에 녹인 후 가열하면 일정 온도에서 결정화되는 성질을 가집니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열 팩과 같은 열 소스로 사용됩니다.

    상온액체는 분자 간의 특별한 상호 작용 또는 결정화 과정 때문에 일반적인 액체와 다른 성질을 가집니다. 이러한 물질들은 과학 연구 및 기술 응용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며, 예를 들어 열 전달 장치, 냉각 시스템, 열 엔진, 화학 반응 조절 등에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질은 계속가열해도 온도자체가 인간이 창조할수 있는 최대치가 있기때문에 대부분 일정온도이상에서 멈추게 됩니다. 태양열정도의 고온상태를 인간이 창조가능하다면 대부분 녹아버리겠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