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반딧불이
반딧불이23.08.05

고산증 이라는 게 산소가 부족해서 생기는 병이라는데 왜 생기는 건가요?

산에서 일어나는병 중에 고산증이라는 병이 있는데 이게 산소가 부족해서 생기는 병이라고 들었습니다. 사람이 호흡을 더 신경 쓰면 될 일인데 왜 산소 부족 병이 생기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산증은 산소가 부족해서 생기는 병입니다. 산소가 부족하면 신체는 적응을 위해 호흡을 빨리 하게 되고, 심박수가 증가합니다. 또한, 혈액은 산소를 더 많이 운반하기 위해 적혈구의 수를 증가시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적응은 한계가 있습니다. 고도가 높아질수록 산소가 더 부족해지고, 신체는 적응을 할 수 없게 됩니다. 이때 고산증이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산증은 고지대에서 고도가 높은 곳에서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생기는 질환으로서, 주로 산악 등반이나 고지대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에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산증은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대기압이 낮아지고 공기의 산소 농도가 감소하는 상태에서 발생합니다.고지대로 올라갈수록 대기압이 낮아집니다. 낮은 대기압은 산소의 부족으로 이어집니다.고도가 높을수록 대기의 산소 농도가 낮아집니다. 고지대에서는 산소가 높은 압력 하에서 없어지거나 부족한 양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숨 쉬는 공기에서 얻을 수 있는 산소량이 줄어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