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2.03

오로라 과학적원리와 극지방에서 나타나는 이유도 궁금해요.

영화나 티비에서보면 오로라가 너무 신기하던데요. 문득 궁금한게 오로라는 어떤 과학적원리로 발생되는지요?그리고 오로라가 극지방에서만 나타난다던데 어떤 이유에서 그런건지도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검붉은코뿔소 34
    검붉은코뿔소 3424.02.10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주로 극지방에서 현상이 나타나며 이는 지구의 자기장과 태양풍에 의해서 발생하게 됩니다. 물론 극지방이 아닌 곳에서도 이러한 영향이 나타나면 관측이 가능하지만 거의 희박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태양에서 방출되는 입자들이 지구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태양에서는 강력한 에너지를 방출하며, 이를 태양풍이라고 합니다. 이 태양풍 속에는 전하를 띤 입자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런 입자들은 지구에 도달하면 지구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게 됩니다.

    지구의 자기장은 극지방에서 가장 강하게 나타나며, 따라서 태양풍의 입자들은 주로 극지방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 입자들이 지구의 대기와 충돌하면, 대기 중의 원자나 분자가 에너지를 흡수하고 다시 방출하게 됩니다. 이 때 방출되는 빛이 바로 오로라입니다.

    오로라가 주로 극지방에서 나타나는 이유는 지구의 자기장 때문입니다. 지구의 자기장은 극지방에서 가장 강하게 나타나므로, 태양풍의 입자들이 주로 극지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오로라가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오로라는 태양에서 방출되는 입자들이 지구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현상이며, 이 현상이 주로 극지방에서 나타나는 이유는 지구의 자기장의 특성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지구의 자기장과 태양풍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합니다. 태양풍은 태양에서 나오는 전자와 양성자로 이루어진 입자들이 지구로 향하면서 지구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면서 오로라가 발생합니다. 극지방에서 오로라가 더 자주 관측되는 이유는 지구의 자기장이 극지방에 가까워서 입자들이 더 쉽게 극지방으로 향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의 과학적 원리와 극지방에서만 나타나는 이유를 설명하려면 오로라 발생 원리를 알아야합니다.


    1. 태양풍: 태양은 끊임없이 플라즈마(전하를 띠는 입자)로 이루어진 태양풍을 방출합니다.

    2. 지구 자기장: 지구 자기장은 태양풍의 대부분을 막아줍니다.

    3. 극지방으로 몰림:태양풍 중 일부는 지구 자기장의 양 끝인 극지방으로 몰립니다.

    4. 대기 충돌: 극지방에 도달한 태양풍은 대기권 상층의 원자와 충돌합니다.

    5. 광전 효과:충돌 과정에서 에너지를 잃은 태양풍 입자는 빛을 방출합니다. 이것이 오로라입니다.


    극지방에서만 나타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지구 자기장:지구 자기장은 극지방에서 가장 약합니다.

    2. 입자 침투:약한 자기장으로 인해 태양풍 입자가 쉽게 대기권에 침투합니다.

    3. 충돌 가능성:극지방에서는 태양풍 입자와 대기 원자의 충돌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에서 날아오는 플라즈마는 지구의 자기장과 부딪히게 되면 파란빛을 내는 오로라현상이 나타납니다. 이는 극지방에 가까울수록 자기장의 세기가 커지기 때문에 북위가 높은 나라쪽에서 많이 관찰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지구의 극지방 상공에서

    주로 관찰되는 빛의 현상으로 태양에서

    방출된 입자들이 지구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발생합니다.

    태양은 연속적으로 전자 양성자

    알파 입자 등으로 구성된 플라즈마

    형태의 입자들을 우주 공간으로 방출합니다.

    이를 태양풍이라고 합니다.

    지구는 자기장을 가지고 있으며

    이 자기장은 태양풍으로부터 오는

    입자들을 지구로부터 멀리

    떨어뜨리는 역할을 합니다.

    지구의 극지방 근처에서는

    지구의 자기장이 지구 표면으로

    다시 굽어들어오기 때문에 태양풍

    속의 입자들이 이 자기장을 따라

    지구의 대기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태양풍 속의 고에너지

    입자들이

    지구의 상층 대기와 충돌하면

    대기 분자들은 여기에너지를

    받아 들뜬 상태가 됩니다.

    이후 이 들뜬 분자들이

    원래 상태로 돌아올 때

    에너지를 빛의 형태로 방출하며

    이것이 바로 오로라입니다.

    주로 산소와 질소

    분자들과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며 빛의 색상은 충돌하는

    분자의 종류와

    충돌 고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오로라가 극지방에서 주로

    관찰되는 주된 이유는 지구의

    자기장 구조 때문입니다.

    지구의 자기장은 극지방 근처에서

    지구 표면으로 굽어 들어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태양풍 속의

    입자들이 자기장을 따라

    극지방의 상층 대기로 유도되어

    그 지역에서만 대기 분자들과

    충돌하여 오로라를

    형성하는 것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지구의 자기장과 태양풍이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태양에서 발생한 자기장과 입자들이 지구로 향하면서 지구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게 되는데 이 때 자기장의 북극과 남극 지역에서 입자들이 지구로 향하는 경로가 가장 짧기 때문에 오로라가 발생하게 됩니다.

    극지방에서만 오로라가 나타나는 이유는 지구의 자기장이 극지방에서 가장 강력하게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극지방에서는 태양풍이 더 집중적으로 지구로 향하기 때문에 오로라가 더 자주 발생하게 됩니다.

    오로라는 자연현상 중에서도 가장 아름다운 것 중 하나이며 지구의 자기장과 태양풍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더욱 신기하고 흥미로운 현상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태양풍과 지구 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빛 현상입니다. 태양풍은 대전된 입자들이 뿜어져 나오는 태양의 플라즈마이며, 지구 자기장은 이러한 입자들을 극지방으로 끌어당깁니다. 극지방에 도달한 입자들은 대기권과 충돌하여 에너지를 방출하며, 이 에너지가 오로라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입니다. 오로라가 극지방에서만 나타나는 이유는 지구 자기장이 극지방에서 가장 약하기 때문입니다. 오로라의 색깔은 충돌하는 입자의 종류와 대기 분자에 따라 다르며, 주로 녹색, 붉은색, 파란색으로 나타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지구의 극지방에서 관측되는 아름다운 현상입니다. 이 현상은 태양 풍과 지구의 자기장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태양은 태양풍이라는 높은 속도로 이동하는 전자와 프로톤으로 구성된 입자들을 방출합니다. 이들 입자는 태양으로부터 지구로 향하며, 이 과정에서 지구의 자기장을 통과하게 됩니다.

    지구의 자기장은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보호막 역할을 합니다. 태양풍의 입자들이 지구의 자기장과 상호작용하면서, 입자들은 자기장을 따라 움직이게 됩니다. 이때, 입자들은 자기장의 극지방인 북극과 남극 근처로 몰리게 됩니다.

    입자들이 극지방으로 몰리면 지구의 대기와 상호작용하게 됩니다. 이 상호작용으로 인해 입자들은 대기 중의 원자와 분자와 충돌하게 되고, 이 때 발생하는 에너지로 인해 빛이 방출됩니다. 이 빛이 오로라로서 관측되는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는 사실 하나의 거대한 자석과 같은 성질을 띄는데요 남극과 북극을 잇는 자기력선들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전하를 띄는 입자는 이런 자기력 선에 영향을 받아 나선 형태로 일정한 공간에 구속되어지는데요. 결론만 말씀드리면 자기력선이 보호막처럼 작용해 외부의 물질이 지구 근처로 오지 못하게 막습니다. 하지만 남극과 북극은 상대적으로 자기력선이 2겹으로 두꺼운 적도에 자기력 선이 5~6겹인 것에 비해 취약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태양풍은 이 약점을 파고 들어, 자기장이 상대적으로 별 힘을 쓰지 못하는 궤도로 지구의 대기권에 도달하는데요. 이때 외계물질들이 대기에 공기층과 반응하여 빛을 내뿜는 화학반응이 바로 오로라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로라는 빛의 산란에 의해 발생되는건데요.

    빛의 산란은 공기중의 미세입자와 먼지 가스등에 의해 색이 구현되는데 오로라의 에메랄드는 특정지역에 색이 나타나게 되는 현상인거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