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3.21

달의 위치변화를 관찰할때 왜 보름달을 관찰하는게 좋은가요?

평소 궁금한게요. 달에도 종류가 많잖아요. 초승달이나 하현달을 기준으로 달의 위치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건가요? 왜 보름달만을 기준으로 관찰하는게 좋다고만 선생님이 말씀하셔서 그게 생각이 납니다. 그리고 보름달이 가장 좋다면 그때 관찰하는 내 위치는 어느쪽을 바라보며 관찰하는게 좋은지도 부탁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23.03.21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의 위치변화를 관찰할 때 보름달을 관찰하는 것이 좋은 이유는 보름달이 지구와 달이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달의 양면 중 하나가 완전히 태양 쪽으로 향하여 밝게 빛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보름달의 형태는 달의 위치와 상태를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보름달이 나타나는 날에는 지구와 달이 매우 가깝게 위치하게 되어, 달의 위치와 상태를 더욱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보름달은 밤하늘에서 가장 뚜렷하게 보이는 달의 형태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보름달을 관찰하여 달의 위치와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쉽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보름달은 문화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보름달은 한가위나 추석과 같은 명절과 연관이 있으며, 이러한 명절에서는 보름달을 관찰하면서 특별한 의식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보름달은 지구와 달의 위치와 상태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면서도 문화적인 의미를 가진 중요한 천체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초승달과 하현달은 달의 위치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점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달의 위치 변화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초승달은 지구, 달, 태양이 한 직선상에 위치하며, 달의 앞면이 태양 쪽으로 향하는 상태입니다. 이 때, 지구에서는 달의 앞면이 완전히 비춰져 있는 상태로, 만월과 함께 달이 가장 크고 밝게 보입니다. 이후, 달은 지구와 태양 사이를 지나 지구의 그늘을 만나게 되어 반대편에 위치한 하현달을 거쳐 다시 초승달로 돌아오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