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행사고, 실비보상이 가능할까요?
폭행과 관련된 일을 겪으셨다면,
병원에 가기전에 이 글을 읽어보세요✔️
폭행사고, 실비보상이 가능할까요?
1. 된다, 근데 건강보험 적용 여부를 먼저 봐야한다
2. 병원측에 급여제한여부 조회신청을 요청해야 한다
3. 내가 가해자가 되면 안됩니다
4. 약관별로 조금다르고, 일반보험도 보상된다.
1. 된다, 근데 건강보험 적용 여부를 먼저 봐야한다
개인 보험인 실비를 적용받으려면 우선
건강보험 대상인지의 여부가 중요합니다.
건강보험 적용이 제한되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으면
'모두' 건강보험 적용이 됩니다.
우선 국민건강보험법 제 53조 (급여의 제한)을 보면,
고의나 범죄, 혹은 업무 또는 공무로 보상받는 경우를 제외하고 건보대상이에요
고의로 자해를 해서 다쳤거나, 범죄행위에 해당하면
건강보험 적용이 안된다는 뜻이죠.
아니라면 보상이 됩니다🙂
2. 병원측에 급여제한여부 조회신청을 요청해야 한다
건강보험에서 보상하지 않는 사항이 아닌것은
확인했고, 병원에선 어떻게 해야 할까요?
통상 병원에 방문하면 접수시에 어디가 아파서
왔는지를 물은 다음
"다치거나 교통사고 나신건지" 를 물어봅니다.
이는 환자의 건강보험 유형을 등록하기 위해서인데요🔢
1. 건강보험(의료급여) 접수
2. 교통사고 접수
3. 산업재해 접수
4. 일반 접수
넷중 하나로 접수를 하게 됩니다.
보통 병원에서는 폭행사고라 건강보험적용이
안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2019년 대법원 판례로 확실해졌어요👨🏻⚖️
요약하면,
"폭행사고라고 해서 무조건 건강보험 급여제한사유가 되는 것은 아니다"
"병원측이 임의로 건강보험 급여 제한을 해서는 안된다."는 내용입니다.
어쨌든 일단, 사고관계가 명확하지 않으니 건강보험이 아닌 일반유형으로 접수가 이뤄질 겁니다.
비용이 많이 들지만 우선 일반유형으로 진료를 진행하고
'급여제한여부 조회신청'을 꼭 요청합니다✔️
급여제한여부조회란
건강보험공단 측에 내가 건강보험 급여에 제한이 되는지 조사해달라고 요청하는 제도에요.
이렇게 건강보험공단에 확인 요청서를 보내게 되면
쌍방인지 일방적 폭행인지를 조사한 경찰측의
조사내용을 종합해서 통상 7일 이내에 답변이 옵니다👮🏻👮🏻♂️
1. 건강보험 적용
2. 조건부 적용
3. 건보급여 제한
이렇게 세가지 중 하나로요.
그리고 건보급여 제한만 아니면 일반유형으로 냈던 돈이 환급이 됩니다.
3. 내가 가해자가 되면 안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부분이 바로 "내가 가해자가 되면 추후 피해자에 대한 치료비의 건강보험공단의 구상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당연하게도 반대로 내가 피해자이고 일방적 폭행이라면 똑같이 적용됩니다⚔️
급여제한여부조회의 결과로 '건강보험 조건부 승인'등을 받으면 상대인 가해자에게 구상이 들어가겠죠.
그리고 이렇게 건강보험 적용을 받게 되면 실손의료비도 보상이 됩니다.
4. 약관별로 조금다르고, 일반보험도 보상된다.
아래는 08년도 이전 약관입니다.
09년 8월 이전 실손보험 약관 표준화 (전 보험사의 약관을 같게 만듦)가 이루어지기 전 약관들은 문구들이 저마다 달랐습니다. 그래서 옛날 실비를 갖고 있다면 보상하지 아니하는 손해부분은 확인해봐야됩니다.
아래는 09년도 이후 약관,
아래는 20년도 약관입니다.
현재의 보통약관에 따르면 계약자,수익자가 고의로 피보험자를 해친 경우, 또는 피보험자가 스스로 자신을 해친 경우는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습니다.
폭행의 가해자가 본인이거나, 계약자 또는 수익자일때 보상이 안된다고 보면 되겠네요.
따라서 일방 폭행의 피해자라면 실손보험 뿐 아니라 골절진단금과 같은 일반보험에서도 보상 가능합니다.



- NEW보험MG손해보험, 재매각 추진...??????안녕하세요.최근 MG손해보험의 가교보험사 설립으로 시끌시끌했는데요.정부가 바뀐뒤 갑자기 가교보험사 추진이 재매각하는 방향으로 바뀌었습니다.우선, 상당히 유감입니다.계약자만을 생각해야하는 보험사에서 120만 고객들의 계약보다도 600명 직원의 고용안정만을 추구하는 노조의 모습이 참으로 안타까운데요.작년 순손실이 약 1400억인데 직원월급으로 560억이 지급되었다는 뉴스를 접하고는과연 자본잠식이 심한 MG손해보험을 누가 인수할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아무리 노조친화적인 장관이 들어섰다고 해서 한번 결정된 방향을 손바닥 뒤집듯 뒤집어 버리는건 많이 아쉬운데요.그렇다고 획기적인 방법이 있는것도 아니고 일단 재매각 추진 후 상황을 지켜본다는 말이 참으로 안일하게 느껴졌습니다.물론, 고객들의 계약은 이전과 동일하게 안전하게 보호받겠지만 또다시 재매각 실패라는 이슈가 터지면 그땐 5대 보험사들도 계약을 온전히 다 받는것이 가능할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내 건강을 위해, 가족건강을 위해 들어놓은김지용 보험전문가・1022
- NEW보험MG손해보험 이대로 괜찮은가..?안녕하세요. 아하 보험전문가 김동우입니다.MG손해보험에 대해서 최근에 변화된 것이 있어 글을 적습니다.당초 MG손보는 서울예금공사에서 가교보험사를 설립하여 소비자들을 보호하려고 했으나최근에 MG손보의 노조에서 이를 반대하고 나섰다고 합니다.이유는 고용승계가 불안정해지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개인전인 소견으론 소비자들의 자산을보호해야할 보험사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반대를 하고 있다고 밖에 생각이 들지 않습니다.보험금지급여력비율이 마이너스인 이 상황에서 자신들의 고용이 불안정하다고 소비자들을내몬 상황이라고 밖에 생각이 들지 않습니다.M&A를 할경우 고용이 안정적인데 비해 가교보험사를 설립해 폐쇄형으로 흡수되면 필수인력 10%를제외하곤 대부분 다른곳으로 가야 하는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농성을 벌이고 있다고 합니다.MG손보의 임직원들은 자신들의 책임을 통감하여 어떻게든 소비자들을 보호해야 하지만정반대의 행동을 하고 있는것으로 보아 이 농성(총파업)은 시간이 좀 걸릴 듯 싶습니다.더불어김동우 보험전문가・30361
- NEW보험[약관 Zoom-In] 도수치료 실비청구 하려면바쁘다바빠 현대사회 정보는 많은데 노이즈만 가득이라 빠르고 간결하게 핵심만 전달하는 글입니다.설득이나 주장은 없고, 약관이랑 팩트만 있습니다.[약관 Zoom-In] 도수치료 실비청구 하려면핵심: 실손보험 가입 시기부터 확인하세요.17년 4월 이전에 가입한 실비다? 그냥 받으면 됩니다.보험사에서 문제삼을 근거가 없습니다.1세대(~2009.9) · 비급여·급여 구분 없이 전액 보장 · 횟수·증명 제한 없음 (약관이 제각각)2세대(2009.10~2017.3) · 표준약관 도입(약관 통일)· 자기부담금은 있지만 도수치료 횟수 제한 없음1세대는 상품별로 한도가 다르니 내가 가입한 약관 '통원한도'를 꼭 확인 해보세요.17년 4월 이후다? 그럼 조금만 더 읽어보세요.2017년 4월, 청구 많던 도수치료·비급여 주사·MRI 항목을별도 특약으로 분리했습니다.보험료 부담 때문에 생긴 조치입니다.3세대(2017.4~2021.6) · 도수치료의 한도가 생겼습니다. 도수치료를 포함한 3대 비급여 치료 연윤석민 보험전문가・20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