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NEW
육아

아동미술심리로 보는 육아

강재연 유치원 교사 프로필 사진
강재연 유치원 교사
프로필 보기

아이들은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감정이나 생각을 그림을 통해 자연스럽게 나타냅니다.
하지만 그림만으로 아이의 모든 감정을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림 속 요소들을 통해 아이의 심리적 상태를 엿볼 수 있지만, 그 의미를 온전히 이해하려면 아이와의 대화와 상황적 맥락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이번 잉크에서는 가족화, 색상 선택, 인물 크기 등을 통해 아이의 내면을 읽을 수 있는 방법과, 이를 바탕으로 아이와의 교감을 유도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 1. 가족화 분석: 아이의 관계와 정서적 안정성 확인

가족화는 아이가 그린 그림 속에서 가족 구성원을 어떻게 그렸는지를 통해 아이의 관계정서적 안정성을 읽을 수 있는 중요한 단서입니다.

  • 부모와의 관계: 부모를 그림에서 중심적으로 그렸다면 아이에게 부모의 존재가 중요하며, 안정적인 부모의 역할을 원하는 상태일 수 있습니다.

  • 부모 간의 관계: 부모가 서로 가까운 위치에 있거나 서로 손을 잡고 있는 그림은 가족 내 안정적인 관계를 나타냅니다.

  • 형제 간의 관계: 형제들이 서로 멀리 그려지거나 크기가 다르면, 형제 간의 경쟁이나 심리적 거리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

예시:

  • 부모와 아이가 가까이 그려지고 형제는 멀리 그려졌다면, 형제 간의 관계가 잘 풀리지 않거나 아이가 형제와의 관계에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 2. 색상 선택 분석: 아이의 감정 상태와 성격

아이들이 선택하는 색상은 그때의 감정 상태성격을 반영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 밝은 색상 (노랑, 파랑, 연두): 긍정적이고 활동적이며 자신감이 넘치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 어두운 색상 (검정, 회색, 갈색): 불안, 슬픔, 우울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색상의 선택이 지나치게 어두운 색으로 치우치면 정서적인 불안정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혼합된 색상: 여러 색을 혼합해서 사용했다면 복잡한 감정을 느끼고 있거나, 자기 감정을 잘 표현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습니다.

예시:

  • 밝은 색상만 사용한 그림은 아이의 기분이 좋고, 자신감이 넘치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 반면, 어두운 색상이 주를 이루는 그림불안하거나 슬픈 감정을 내포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3. 인물 크기 분석: 아이의 자아 이미지와 관계 인식

그림에서 등장하는 인물의 크기는 아이의 자아 인식타인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 자신의 인물이 크고 부모나 형제는 작게 그려진 경우: 이 경우 아이가 자신감이 넘치거나, 자기중심적일 수 있습니다. 부모나 다른 가족과의 정서적 거리감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 자신의 인물이 작고 다른 사람은 크게 그려진 경우: 아이가 자신감을 낮게 평가하거나, 자신을 상대적으로 더 작은 존재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부모나 형제에 대한 의존적 감정이 클 가능성이 있습니다.

  • 인물이 비슷한 크기: 가족 구성원과의 평등한 관계안정된 감정 상태를 나타냅니다.

예시:

  • 자신보다 부모가 작게 그려졌다면 아이는 자신이 부모를 통제하고 싶은 감정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 반대로 자신이 부모보다 작게 그려졌다면 아이는 부모의 보호를 강하게 원하거나 자아 존중감이 낮은 상태일 수 있습니다.

“아이의 그림은 그 자체로 하나의 언어입니다.
하지만 그림만으로 모든 것을 해석하기는 어렵습니다.
아이와의 대화를 통해 그림 속 감정이나 상황을 이해하고, 그 감정을 존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아이의 그림을 분석할 때는 아이와 함께 대화하며 그림을 그리게 된 이유를 듣고, 아이의 마음을 여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댓글1
강재연 유치원 교사
포레이엔에이학원
강재연 유치원 교사 프로필 사진
유저 프로필 이미지
0/ 500
1개의 필담이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