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하 소식에도 주식이 하락하는 이유: AI 주식 어떻게 되나
작은 공황.
현재 주식 시장을 이렇게 표현하고 싶습니다.
투자자들은 8월 5일 확산됐던 공포감 직후에 시장의 반등으로 잠시 안심했지만, 시장이 다시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불안감이 기저에 깔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금리가 인하된다고 하는데, 내 주식은 왜 이런 모습일까요?
이번에도 다시 반등할 수 있을까요?
파월은 금리 인하한다고 했다. 분명.

'이제 슬슬 금리 내려 볼까...'
“정책을 조정할 시기가 왔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잭슨 홀 심포지엄에서 연준 의장 제롬 파월은 금리를 인하할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금리가 낮아지면 예금과 대출 이자가 낮아집니다. 그렇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저축하면 손해, 돈 빌리면 이득인 상황이 됩니다. 돈도 빌렸는데 저축하면 손해니까, 이 돈은 소비와 투자로 향합니다. 이러한 과정으로 주가는 오르고 모든 투자자들이 행복한 시기가 찾아오게 되는 것입니다.
금융 위기 이래 가장 높은 수준에서 유지되어온 금리는 9월 인하될 가능성이 거의 확실해졌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뿐만 아니라, 유럽중앙은행(ECB), 영국은행(BOE), 중국 인민은행(PBOC), 스위스 국립은행, 스웨덴 리크스방크, 캐나다 중앙은행, 멕시코 중앙은행 등 세계 주요 중앙 은행들은 금리를 인하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작년 말까지만 해도 전세계 투자자들은 파월의 말 한마디에 온 관심을 기울였습니다. 금리를 너무 빠르게 올리지 않았는지, 노동시장이 강하니 높은 금리 수준을 버틸 수 있지 않을지, 경착륙과 연착륙 시나리오, 기억 나시나요?
파월은 드디어 무언가를 할 움직임을 보입니다. 그토록 기다려온 좋은 소식인데, 주식 시장의 반응은 사뭇 다른 모습입니다. 거짓말처럼, 투자자들은 이를 잊은 것일까요?
주가가 내려가는 이유를 정리해보았습니다.
주가 하락 이유 #1. 경제, 괜찮은거 맞아?
앞서 언급한 과정 때문에 금리 인하는 일반적으로는 긍정적입니다. 그러나 이번 금리 인하는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한 금리 인하 아니냐는 우려가 투자자들의 생각인 듯 합니다.

미국 제조업 PMI - 신규 주문과 생산 활동, MacroMicro
미국 제조업 활동은 5개월 연속 위축되었습니다. 건설 부문도 부진했고, 고용 시장 보고서는 고용이 크게 둔화되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연준이 그동안 경제에 지나치게 긴축적이었고, 이로 인해 경제가 침체기에 진입하고 있다는 우려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논리대로면 금요일 고용데이터 발표까지 불안감은 유지될 수 있겠습니다. 고용 데이터가 미국 경제의 회복력을 증명하길 바라는 모습이기 때문입니다.
1970년대 이후부터 지금까지 연준이 긴축 싸이클에서 처음으로 '완화' 싸이클로 돌아섰을 때에도 S&P 500은 단 한번을 제외하고 계속 하락 했으며, 평균적으로 -23.5% 가량 추가적인 하락이 있었다는 것이다.
- 연준이 금리를 내리면 어떻게 될까? 中
주가 하락 이유 #2. 기술주 주도 상승, 기술주 주도 하락
기술주는 올해 주식 시장 상승의 가장 큰 수혜자입니다.
AI 열풍 덕입니다. 세상에 소개된 AI의 모습은 많은 투자자들에게 감탄사를 자아내게 했으며, 이는 곧 기술의 대격변을 꿈꾸는 투자금의 형태로 바뀌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시장이 하락할 때마다 기술주는 시장 대비 더 크게 흘러내리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S&P500 시장과 기술 섹터 주가 비교, TradingView
9월 3일, S&P500지수가 -2.12% 하락하는 동안 S&P500에 소속된 기술 섹터는 -4.43% 하락했습니다.
이 뿐만이 아닙니다.
S&P500은 8월 1일 -1.37%, 2일 -1.84%, 5일 -3%
기술 섹터는 8월 1일 -3.36%, 2일 -1.99%, 5일 -3.78%
시장이 크게 하락할 때마다 기술주가 하락을 주도했음을 의미합니다. 그동안은 AI 열풍으로 시장을 상회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그 AI 관련 수익 기대치가 지나치게 높아졌다는 우려에 직면했기 때문입니다.
괜찮아, AI 주식은 아직 매력적이야
이에 대해 8월 26일 CNBC의 인터뷰를 인용해볼 수 있겠습니다. 우려와는 달리, 긍정적이라고 생각한다는 내용입니다.
Keypoint 1. 금리 인하는 환영할 만한 소식, 인하 속도가 중요해
Q. 이번 금리 인하 사이클은 어떻게 분류하시겠습니까?
캘리 콕스) 저는 아직까지는 이번 사이클이 축하할 만한 상황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좋은 소식입니다. 고용 시장이 둔화되고 있지만, 아직 위기 모드에 들어간 것은 아닙니다. 연준이 스스로의 조건에 따라 금리를 인하할 수 있는 여유가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아직 상황을 좋게 만들 수 있는 시간이 있습니다.
델라노 사포루) 저도 여전히 축하할 만한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금리 인하가 얼마나 빠르게 이루어질지인데, 이는 앞으로 나오는 데이터에 달려 있다고 봅니다. 현재 우리가 받는 데이터는 고용 시장이 느슨해졌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경제에서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축하할 만한 상황에 있다고 생각하지만, 앞으로 나올 데이터에 따라 상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Ritholtz Wealth의 최고 시장 전략가 캘리 콕스는 고용 시장의 둔화에 대해 수긍하면서, 동시에 위급한 상황은 아니라며 대응할 시간이 충분하다고 설명합니다. 경기 침체에 쫒기며 인하한 것이 아니라 여유 있는 금리 인하이기 때문에 이는 충분히 투자자들이 축하할만한 상황이라는 뜻입니다.
New Street Advisors Group의 CEO 델라노 사포루 또한 축하할만한 상황이라며 긍정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한편 고용 시장에 대한 우려를 비치는 모습입니다. 고용 시장이 느슨해진다는 것은 고용이 줄어들거나 실업률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에 따라 경제적 완화가 필요하며, 중앙은행이 금리를 빠르게 인하해야 안심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Keypoint 2. AI는 관심이 식은 것, 그러나 여전히 매력적
Q. MAG 7(매그니피센트 세븐)이 시장만큼 좋은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지금 어떤 섹터가 뜨고 있고, 어디에 돈을 투자하고 싶으십니까?
캘리 콕스) 먼저 명확히 하고 싶은 것은 - AI는 여전히 매력적이라는 점입니다. 기대치 역시 여전히 매우 높습니다. 금리가 내려가고, 연준이 9월에 금리 인하를 시사하면서, 이번 인하는 축하할 만한 상황처럼 보입니다. 경제는 계속 성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저는 기술주 외의 섹터에서도 매력적인 기회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금리가 여전히 높지만 점차 낮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기술주 외의 다른 섹터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소형주, 금리 민감 섹터 등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사실상 기술주 외의 거의 모든 섹터가 매력적입니다. 이는 좋은 소식입니다. 이는 강세장이 깨어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특히 강세장이 자신의 포트폴리오에 혜택을 주지 않았다고 느꼈던 투자자들에게는 더욱 좋은 소식입니다.
이어서 캘리 콕스는 지금은 실적보다 코멘터리에 집중하고 있는 상황이고, 모든 섹터가 매력적이라고 설명합니다. 이는 기술주로부터 금리 인하 수혜를 받는 다른 기업들로 관심이 전환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기존 기술주의 상승 주도로 강세장에서 이득을 보지 못한 이들이 이득을 볼 차례임을 말하는 듯 합니다. 그러나 이는 관심의 전환이지, AI시장이 식는다는 뜻이 아닙니다. 캘리 콕스는 본인은 엔비디아가 놀라운 실적을 발표할 때마다 지켜보는 사람 중 하나라며, AI는 여전히 매력적이라고 말합니다.



- NEW경제1경 7000조 굴리는 블랙록이 비트코인에 투자했다고? 그만 좀 속으세요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 관련 뉴스를 보다보면 블랙록, J.P. Morgan 등 유수의 월가 자산운용사와 투자은행이 해당 암호화폐에 얼마를 투자했다는 내용을 흔히 접할 수 있다. 뉴스를 작성한 기자나 유튜브 코인 인플루언서들은 "보수적이기로 유명한 월가 기관투자자가 코인에 투자했다는것은 이제 암호화폐가 제도권에서도 인정받는 증거"라 주장한다.물론 근본적으로 잘못된 주장이다.블랙록은 미국시장에 투자하는 국내 개인투자자들에게도 iShares ETF 브랜드로 흔히 접할 수 있는 금융상품을 파는 자산운용사다. 일반인에게 "펀드 상품을 만드는 자산운용사"라 하면 흔히 모니터를 8대씩 책상에 올려두고 시장동향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최적의 기회를 발견해 트레이딩하는 액티브 펀드 매니저들을 떠올리지만, 오늘날의 초대형 자산운용사는 패시브 펀드 위주의 비즈니스 구조를 가지고 있다.패시브 펀드는 단어 그대로 투자자들이 원하는 기업이나 지수에 근거하여 이를 추종하는 펀드를 의미한다. 블랙록이 고어웨어・10210
- 멤버십 전용NEW경제배당 수익률 14% 업계의 대장주 vs 신흥 강자 BDC안녕하세요, 카레라입니다. BDC 업계의 업황이 조금 조정을 받고 있는 가운데 업계의 교과서이자 간판으로 불리는 BDC(비즈니스개발회사)와 신흥 강자 BDC의 주가가 함께 눌리면서 배당 수익률이 높아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신흥 강자인 이 회사는 현재 미국 BDC 시장에서 조금씩 주목받고 있는 방어형 대안주인데, 세부 내용을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고건・30421
- NEW경제위태로운 '미국 예외주의'와 흔들리는 달러 패권데이터센터용 GPU 시장의 절대강자인 엔비디아의 급부상과 함께 알파벳, 메타 플랫폼즈, 마이크로소프트를 위시한 미국 빅테크와 OpenAI 등의 스타트업들이 주도하는 미국의 AI 헤게모니는 작년 "American Exceptionalism" 개념을 부활시키며 세계적인 경기침체 압박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타 국가들과 다른 초월적인 경쟁력을 지니고 있다는 믿음에 힘을 실어주었고, 이로인해 전세계적인 투자가 집중되며 달러가치는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그러나 새롭게 취임한 도날드 트럼프 대통령은 불공정 무역을 빌미로 국방, 관세, 대미 직접투자에 관련하여 주요 아시아 및 유럽 무역 파트너국들에게 강한 압박을 가하고 감세와 동시에 재정지출을 늘리는 공약을 추진하며 불확실성을 야기했고, 미국 달러의 상대강도를 표현하는 달러 지수는 올초대비 10% 가량 하락했다. S&P 500 지수가 올해 13.97% 상승했음을 감안하면 해외투자자들에게 올해 미국시장은 본전 정도라는 말이다.자료: MarketWatc어웨어・30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