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아하 의료상담 탭에서 활동하고 있는 의사 김나영이라고 합니다.
이번 잉크에서는 하반신 마취가 무엇인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하반신 마취는 전신마취와 달리 몸의 특정 부위의 통증을 완전히 차단하는 방법입니다. 주로 다리쪽이나 비뇨생식기 수술을 할 때, 산모에서 제왕절개나 무통분만을 할 때 시행하게 됩니다.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척추 마취(spinal anesthesia): 허리 부위의 척수 주변에 위치한 지주막하강(subarachnoid space)에 마취제를 주입하여 신경 신호를 차단하는 방법입니다. 마취제가 지주막하강 안에 있는 뇌척수액을 통해 퍼져서 빠른 효과를 보이며, 적은 양의 약으로도 충분한 마취를 얻을 수 있습니다. 주로 제왕절개, 고관절 수술, 하지 수술, 비뇨기과 수술 등에 사용됩니다. 그림에서 파란색 네모로 표시된 것이 척수마취인데, 척추뼈의 가시돌기 사이 공간으로 들어가서 지주막하강까지 도달한 후 뇌척수액이 흘러나오는 것을 확인하고 약을 주입합니다. 성인에서 척수는 요추 1번 정도에서 끝나고 그 아래로는 말총이 있기 때문에, 척수를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서 그 아래쪽 레벨에서 시행하게 됩니다. 보통은 요추 4번~5번 사이에서 시행합니다.
경막외 마취(epidural anesthesia): 척수 외부에 위치한 경막외강(epidural space)에 카테터를 삽입하고, 마취제를 주입하여 통증을 차단합니다. 척추마취에 비해 작용시간은 느린 편입니다. 주입하는 약물의 부피에 따라 마취범위가 결정되어서 척추마취에 비해서는 쓰이는 마취제 양이 많을 수 있습니다. 척추마취가 2시간 정도 지속되는 반면 경막외 마취는 카테터가 계속 거치되어 있기 때문에, 카테터를 통해 지속적으로 마취제를 주입하며 더 긴 시간의 수술도 가능합니다. 산모의 무통 분만과 같은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그림에서 빨간색 네모로 표현된 것이 경막외마취이며, 지주막하강보다 얕은 위치입니다. 경막을 뚫기 직전에 있는 경막외공간에 약을 주입합니다. 척추마취와 달리 수술부위에 따라서 경추나 흉추, 요추 등 전 부위에서 시행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엄밀히 말하면 하반신마취라기보다는 부위마취에 가깝습니다.
잠깐만요! 다리쪽만 마취를 하게 되면 의식은 살아있는 게 아닌가요? 🤷♀️
맞습니다. 하반신 마취만 단독으로 한다면 깨어있는 상태에서 수술을 받는 것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환자분들이 수술 중 수면을 원하신다면 하반신 마취 이후 프로포폴이나 미다졸람 등의 마취제를 투여할 수 있습니다.
하반신 마취의 과정
사전 준비: 환자의 병력, 약물 복용 여부, 알레르기 등을 확인한 후, 적절한 마취 방법을 결정합니다. 이 때, 만약 환자분이 항혈소판제나 항응고제를 복용 중이신 경우, 또는 응고검사에서 혈액 응고시간이 늘어나있는 경우 등에는 하반신 마취시 바늘 자입부위에 혈종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하반신 마취가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마취 전에는 복용 중인 약물이나 앓고 있는 질환을 꼭 상세하게 말씀해주셔야 합니다.
체위 조정: 보통 옆으로 누운 자세를 취합니다. 아래 그림처럼 새우등 자세를 만들라고 하는데, 무릎을 가슴으로 최대한 당기고 고개는 숙인 자세입니다. 이렇게 하면 척추뼈 사이 간격이 벌어져서 하반신마취를 하기에 용이합니다. 이 자세로 마취하기가 어려운 경우 앉은 자세로 진행될 수도 있습니다.
소독 및 국소마취 : 마취제 주입 부위를 소독하고, 바늘이 들어갈 부위에 국소마취를 시행합니다.
마취제 주입
마취효과 확인 : 마취가 잘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이는 각 척추신경이 지배하는 피부분절을 알코올솜 등으로 닦아서 차가운 느낌이 사라졌는지로 보통 확인합니다.
수술 종류마다 차단시켜야 하는 레벨이 다릅니다. 하지 수술인 경우 대개 T12 까지 차단하면 되고, 고관절이나 비뇨기 수술의 경우 T10 까지 차단하면 됩니다. 제왕절개의 경우 T4 까지 차단하게 됩니다. 척추마취를 할 때 약 주입 후 머리쪽으로 환자를 눕히면 중력에 의해 약이 위쪽으로 흘러가서 더 윗 level 까지 차단이 가능합니다. 또, 한쪽 다리가 다친 경우에 다친 부위에 마취제가 더 많이 가게 하도록 하기 위해, 다친 쪽을 아래로 하고 옆으로 눕혀 마취제를 주입하기도 합니다.
하반신 마취의 장단점
전신마취보다 회복 시간이 짧고, 메스꺼움이나 구토 등의 부작용이 덜합니다. 경막외 마취의 경우 수술 이후에도 카테터를 통해 지속적으로 진통제를 투여할 수 있어, 수술 후 통증 조절에도 효과적입니다. 전신마취에 비해 심혈관계 부하가 적어 고령인 환자나 심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단, 마취 차단 레벨이 너무 높아지는 경우 심장을 담당하는 교감신경이 차단될 수 있어서 급격한 저혈압이나 서맥에 빠질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충분한 수액과, 필요시 승압제 등을 투여합니다.
하반신 마취의 부작용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경막천자후 두통 : 일부 환자에서는 척추 마취 후 경막 천자에 따른 두통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는 뇌척수액 유출로 인한 것인데, 특히 누워있다가 일어설 때 발생하는 두통이 특징입니다. 대개는 자연적으로 회복되지만, 두통이 너무 오래 지속된다면 경막외혈액패치 등의 시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배뇨곤란 : 일시적으로 방광기능이 저하되어 배뇨곤란 등의 증상이 올 수 있습니다.
신경손상 : 매우 드물지만 바늘이 잘못 들어갔을 때나, 마취제에 의한 일시적 신경학적 증상 발생 가능성이 있습니다.
혈종 : 위에서 설명했듯이 주사 부위의 피가 멎지 않는 경우 혈종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아스피린이나 와파린, 헤파린 등 항혈소판제, 항응고제를 복용시에는 하반신마취 시행 전 중단이 필요합니다. 혈종이 너무 커서 신경을 압박하는 경우에는 수술적 제거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하반신 마취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하반신 마취는 하지 수술이나 제왕절개, 무통분만, 비뇨생식기 수술 등에서 전신마취의 대안으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의식 유지나 빠른 회복이 필요한 경우 좋은 대안이 될 수 있겠습니다. 오늘의 잉크는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