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지금 복용 중인 약, 수술 전에 중단해야 하나요? 전신마취 수술 전 중단해야 되는 약은 어떤 것이 있나요?

25.02.13
김나영 의사 프로필 사진
김나영 의사
프로필 보기

안녕하세요. 아하 의료상담 토픽에서 활동하고 있는 의사 김나영입니다.

요즘 수술 전 어떤 약물을 계속 복용해도 되는지, 중단해야 하는지 여쭤보시는 질문이 많아 이번 잉크에서는 그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

수술 전 복용하면 안 되는 약, 꼭 알아두세요!

수술을 앞둔 환자들은 여러 가지 준비 사항을 지켜야 하지만, 특히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복용 중인 약물 관리입니다. 일부 약물은 수술 중 출혈 위험을 높이거나 마취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일정 기간 동안 복용을 중단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1. 항응고제 및 항혈소판제

  • 항응고제와 항혈소판제는 혈액 응고를 억제하는 약물들입니다. 대개 심근경색, 협심증, 뇌경색을 앓으셨거나 기타 혈관질환 등에서 복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표적인 약물: 아스피린, 와파린, 클로피도그렐, 리바록사반, 다비가트란 등
    수술 중 출혈을 유발하거나, 수술 이후 부작용으로 절개 부위 출혈이나 혈종 등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처방의와 상의하에 중단하게 됩니다.

  • 약물마다 복용 중단 시기가 다 다릅니다만 대체로 5~7일 정도 중단하게 됩니다. 임의로 중단하시면 안 되고, 해당 약제를 처방해주신 주치의와 수술에 대해 상의하에 중단하셔야 합니다.

2.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 소염진통제도 혈소판 기능을 일부 억제하여 출혈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약물: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케토로락

  • 일반적으로 수술 48시간 전 중단합니다.

3. 당뇨약

  • 지난 잉크에서 설명드렸듯이 수술 전에는 금식이 필요한데, 금식을 한 상태에서 당뇨약까지 드시면 저혈당 위험에 빠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개는 수술 24~48시간 전에 경구혈당강하제를 중단합니다.

  • 당뇨약 역시 처방의와 상의 하에 중단시기를 결정하셔야 하며 임의로 중단하시면 안 됩니다.

4. 고혈압약

  • 일반적으로 고혈압 약은 계속 복용하지만 안지오텐신 수용체 길항제, ACE 억제제는 수술 당일 복용하면 안 됩니다. 이들은 수술 중 저혈압 위험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5. 건강기능식품

  • 은행잎이나 인삼, 마늘, 오메가-3, 비타민 E, 한약 등 일부 건강기능식품의 경우 혈액응고를 방해해 출혈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이들의 효과는 예측할 수가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수술 1-2주 전에는 중단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수술 전 약물 조정,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반드시 의사와 상의하세요! 복용 중인 약물은 미리 주치의와 마취과에게 알리고 중단 여부를 확인하셔야 해요.
✔️임의로 중단하지 마세요. 본인의 건강 및 질환 상태에 따라 중단 시 더 위험해지는 경우도 있으니 의사의 조언 없이 끊으면 안 돼요.
✔️수술 전 본인이 복용하는 약물의 리스트를 정리해서 병원에 전달하시기 바랍니다.

오늘의 잉크는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모두 안전한 수술 받으시기 바랍니다. 😊

댓글0
김나영 의사
우아성형외과
김나영 의사 프로필 사진
유저 프로필 이미지
0/ 500
댓글 아이콘필담이 없어요. 첫 필담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