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복용 중인 약, 수술 전에 중단해야 하나요? 전신마취 수술 전 중단해야 되는 약은 어떤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 의료상담 토픽에서 활동하고 있는 의사 김나영입니다.
요즘 수술 전 어떤 약물을 계속 복용해도 되는지, 중단해야 하는지 여쭤보시는 질문이 많아 이번 잉크에서는 그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
수술 전 복용하면 안 되는 약, 꼭 알아두세요!
수술을 앞둔 환자들은 여러 가지 준비 사항을 지켜야 하지만, 특히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복용 중인 약물 관리입니다. 일부 약물은 수술 중 출혈 위험을 높이거나 마취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일정 기간 동안 복용을 중단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1. 항응고제 및 항혈소판제
항응고제와 항혈소판제는 혈액 응고를 억제하는 약물들입니다. 대개 심근경색, 협심증, 뇌경색을 앓으셨거나 기타 혈관질환 등에서 복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표적인 약물: 아스피린, 와파린, 클로피도그렐, 리바록사반, 다비가트란 등
수술 중 출혈을 유발하거나, 수술 이후 부작용으로 절개 부위 출혈이나 혈종 등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처방의와 상의하에 중단하게 됩니다.약물마다 복용 중단 시기가 다 다릅니다만 대체로 5~7일 정도 중단하게 됩니다. 임의로 중단하시면 안 되고, 해당 약제를 처방해주신 주치의와 수술에 대해 상의하에 중단하셔야 합니다.
2.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소염진통제도 혈소판 기능을 일부 억제하여 출혈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약물: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케토로락일반적으로 수술 48시간 전 중단합니다.
3. 당뇨약
지난 잉크에서 설명드렸듯이 수술 전에는 금식이 필요한데, 금식을 한 상태에서 당뇨약까지 드시면 저혈당 위험에 빠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개는 수술 24~48시간 전에 경구혈당강하제를 중단합니다.당뇨약 역시 처방의와 상의 하에 중단시기를 결정하셔야 하며 임의로 중단하시면 안 됩니다.
4. 고혈압약
일반적으로 고혈압 약은 계속 복용하지만 안지오텐신 수용체 길항제, ACE 억제제는 수술 당일 복용하면 안 됩니다. 이들은 수술 중 저혈압 위험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5. 건강기능식품
은행잎이나 인삼, 마늘, 오메가-3, 비타민 E, 한약 등 일부 건강기능식품의 경우 혈액응고를 방해해 출혈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이들의 효과는 예측할 수가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수술 1-2주 전에는 중단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수술 전 약물 조정,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반드시 의사와 상의하세요! 복용 중인 약물은 미리 주치의와 마취과에게 알리고 중단 여부를 확인하셔야 해요.
✔️임의로 중단하지 마세요. 본인의 건강 및 질환 상태에 따라 중단 시 더 위험해지는 경우도 있으니 의사의 조언 없이 끊으면 안 돼요.
✔️수술 전 본인이 복용하는 약물의 리스트를 정리해서 병원에 전달하시기 바랍니다.
오늘의 잉크는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모두 안전한 수술 받으시기 바랍니다. 😊



- 의료상담치과에서도 원인을 못 찾은 턱 통증, 혹시 이런 문제일까요?턱 통증, 치과 문제가 아니라면?턱에 통증이나 씹는 근육(저작근) 근력 약화때문에치과에 가보셨으나 이상이 없다고 별다른 치료를 하지 못하고 계시는 분들이 계셔서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턱에 불편함이 있거나 씹는 기능이 저하되고 해당 근육에 통증이 느껴진다면의심해볼만한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목 통증과 턱 통증의 연결고리혹시 목 통증이 있거나 경추 디스크가 있으신가요?만약에 목에 디스크나 다른 질환이 있다면,경추 디스크가 저작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경우는 드물지만, 간접적인 긴장 유발 등으로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보통 경추 디스크로 목, 어깨, 팔 등의 증상이 많이 나타납니다.하지만 심한 경우에는 턱주변 근육의 긴장도를 높여 저작근 운동에도 약간의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일부 논문에는 목의 안정성이 턱관절 장애에 도움이 된다는 내용도 있습니다.이러한 경우라면정형외과, 재활의학과, 통증의학과, 싱경외과 등을방문해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박인국 물리치료사・201,049
- 의료상담얼굴에 상처가 났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최종편)여러분들께 저의 경험을 스토리에 따라서 함께 공유드릴 수 있게 되어 영광입니다.✔️ 흉터 성형수술의 적절한 시기는?보통 3-6개월 이후 흉터가 안정화 되고 시행하는것이 결과가 좋습니다.구축성, 켈로이드, 비대흉터 혹은 근육의 기능적 결함에 따라 수술시기는 빨라질 수도, 늦혀질 수도 있습니다.흉터가 생각보다 많이 남겠군....이라고 생각하며 6개월 후 수술을 하겠다고 생각을 하고 지내기로 하였습니다.봉합후 9일째, 실밥풀고 3일째 사진보습열심히 하고 흠만 매꿔주다가 흉터남으면 그부분만 흉터성형수술을 다시 해야지~ 라고 말입니다.아! 그동안 실밥풀고 2주가 지나서는 더이상 듀오덤드레싱은 의미가 없을것 같아 시행하지 않고와이프가 세로 미간주름을 예방하기 위해 보톡스나 맞자 해서 와이프의 병원에 방문하여4개월 간격으로 미간 보톡스만 투여 받았습니다. 이 동안 해외여행도 4군데나 다녀왔는데요, 실밥풀고 3주가 된때 다녀온 해외 여행 기간동안에는 밖에 외출시에는 선크림과 모자를 필수로 열심히김종성 성형외과 전문의・522,061
- 의료상담얼굴에 상처가 났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3)3탄입니다!실밥제거후 3일 후, 즉 봉합 후 9일째가 됬을때 찍은 사진 공유드립니다.5일째 반틈, 6일째 전체를 실밥 제거했지만 조금 남은 지네발과 같은 흠이 있고눈썹으로 이어지는 아랫쪽 부분은 염증반응과, 괴사로 인해서 상처가 일부 작은 착색도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2편에서 말씀드린 것과같이 여기서는 선택 할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실밥제거 후 도대체 뭘 할수 있을까? (저의 상처에 대해서 한정, 환자분들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치료할 수 있음)흉터연고 - 대다수의 흉터연고는 튀어나온 흉터에 대해서 상처를 조금 낮춰줄 수 있습니다.저는 상처의 튀어나옴이 없어서 흉터연고 및 테이프를 사용할 필요가 없었습니다.레이저 - 착색량이 많지 않았기에 굳이 레이저를 사용하지도 않았습니다.보습 - 보습에 엄청 관심을 가졌습니다. 주위에서 영양분을 조금이라도 먹고 조직들이 잘 아물 수 있도록...홈이 있다면 듀오덤 드레싱 지속하기 - 하지만 듀오덤 드레싱이 피부김종성 성형외과 전문의・302,9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