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이 빨리 해결되지 않는 이유?!
중추신경계 7년
근골격계 7년
임상 생활을 하면서 항상 물음표가 있었습니다.
"왜?!아플까?! "
"왜?!남들보다 더 아프다고 느낄까?! "
"왜?!긴장된 근육을 주물러 마사지를 하고 풀어줘도 통증과 관절 움직임은 호전되지 않을까?!"
"왜?!주무르고 마사지를 받고 나서 좋아졌는데 다시 아파질까?!"
"왜?!한번 치료받고 확 좋아지지 않을까?"
"왜?!이 근육에 힘을 쓰지 못할까?"
.
.
.
수많은 물음표가 생겼고 궁금증도 많고
어디서 어떻게 정보를 찾아야 될지 몰라 교육을 듣고 책을 보고 논문을 보아도
100% 틀린 것도 100% 맞는 것도 답은 없었습니다.
지금도 그에 대한 답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단순한 문제로 해당 부위만 치료하여도 호전되는 분들이 있습니다.
반대로 수술을 하고 통증 부위를 직접적으로 치료를 해도 해결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개인에 따라 통증 민감도, 표현 방법, 회복 능력, 직업, 성별, 나이, 면역력, 습관, 유전적인 부분, 주변 환경, 식습관 등...
어려 요소들이 있고
치료를 받거나 약을 먹거나 쉬어도 해결되지 않는 통증이 있었기에
아픈 부위는 같아도 세심한 부분까지 소통하여 원인을 찾아내야
회복과 재발 방지의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통증 부위를 확인
(어느 관절, 어느 근육)
-현재 앓고 있는 질환이나 현재 부위 이외의 다른 통증 부위
(당뇨, 고혈압, 류머티즘, 내성발톱, 치질, 근종, 심부전, 야뇨증, 전립선, 어깨, 목, 허리 등..)
-움직임 질에 대한 평가
(복합적 움직임, 부분적 움직임)
-어떤 양상의 통증인가
(둔한, 쑤시는, 찌르는, 압박하는, 베기는, 쥐어짜는, 묵직한, 울리는, 타는 듯, 시린, 전기 오듯 찌릿,
바늘로 콕콕 쑤시는, 저리는, 감각이 먹먹한, 가려운, 뻐근한, 화끈거리는, 저리는, 우리한, 날카로운, 저리는, 지끈 지끈. 얼얼한, 따끔거리는 등...)
-무엇을 하고 통증이 발생되었는가
(최근에 한 일, 직업인 특성, 가사 활동, 활동 환경 등..)
-어떻게 할 때 통증이 발생하는가
(어떤 움직임을 할 때, 가만히 있을 때, 움직임과 자세에 관계없는 상시 통증 등..)
-운동신경과 감각의 민감도
(근육 수축과 이완 원심성 수축과 구심성 수축 조절이 잘 되는지, 통증 이외의 감각이 둔한지 민감한지, 호흡근의 조절이 잘 되는지 체크.)
-활동량
(많거나 또는 적지는 않은가, 많이 움직이나 제한적 움직임이 많은지,
한자세로 장시간 있어야 하지는 않은지, 하루에 얼마나 걷는지, 평소 운동량 등..)
-생활 습관, 황경 특성
(누워서 TV, 스마트폰 사용, 소파에서 잠, 베개를 사용하지 않음, 다리를 무의식중 꼬고 있다,
의자에서 양반다리를 한다, 고개를 드는 일이 없다, 통증을 자주 확인한다,
특정 부위나 아픈 부분만 스트레칭하거나 주무르거나 풀어준다 등..)
-통증 발생 시기
(야간통, 아침에 일어나 눈을 떴을 때, 일과를 하는 중, 운전을 하는 중,
앉아 있다 일어날 때, 앉아 있을 때, 서있을 때, 특정 움직임을 할 때, 무거운 물건을 들 때 등..)
이러한 여러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통증이 발생할 수 록 통증을 잡아 내기 어렵습니다.
또한 치료 기간도 길어 질 수 있습니다.
치료를 받고 계신다면 의사와 치료사와 충분한 소통이 되고 있는지
치료사는 내가 놓치고 있는 부분은 없는지 생각 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 됩니다.



- 의료상담치과에서도 원인을 못 찾은 턱 통증, 혹시 이런 문제일까요?턱 통증, 치과 문제가 아니라면?턱에 통증이나 씹는 근육(저작근) 근력 약화때문에치과에 가보셨으나 이상이 없다고 별다른 치료를 하지 못하고 계시는 분들이 계셔서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턱에 불편함이 있거나 씹는 기능이 저하되고 해당 근육에 통증이 느껴진다면의심해볼만한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목 통증과 턱 통증의 연결고리혹시 목 통증이 있거나 경추 디스크가 있으신가요?만약에 목에 디스크나 다른 질환이 있다면,경추 디스크가 저작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경우는 드물지만, 간접적인 긴장 유발 등으로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보통 경추 디스크로 목, 어깨, 팔 등의 증상이 많이 나타납니다.하지만 심한 경우에는 턱주변 근육의 긴장도를 높여 저작근 운동에도 약간의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일부 논문에는 목의 안정성이 턱관절 장애에 도움이 된다는 내용도 있습니다.이러한 경우라면정형외과, 재활의학과, 통증의학과, 싱경외과 등을방문해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박인국 물리치료사・201,057
- 의료상담얼굴에 상처가 났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최종편)여러분들께 저의 경험을 스토리에 따라서 함께 공유드릴 수 있게 되어 영광입니다.✔️ 흉터 성형수술의 적절한 시기는?보통 3-6개월 이후 흉터가 안정화 되고 시행하는것이 결과가 좋습니다.구축성, 켈로이드, 비대흉터 혹은 근육의 기능적 결함에 따라 수술시기는 빨라질 수도, 늦혀질 수도 있습니다.흉터가 생각보다 많이 남겠군....이라고 생각하며 6개월 후 수술을 하겠다고 생각을 하고 지내기로 하였습니다.봉합후 9일째, 실밥풀고 3일째 사진보습열심히 하고 흠만 매꿔주다가 흉터남으면 그부분만 흉터성형수술을 다시 해야지~ 라고 말입니다.아! 그동안 실밥풀고 2주가 지나서는 더이상 듀오덤드레싱은 의미가 없을것 같아 시행하지 않고와이프가 세로 미간주름을 예방하기 위해 보톡스나 맞자 해서 와이프의 병원에 방문하여4개월 간격으로 미간 보톡스만 투여 받았습니다. 이 동안 해외여행도 4군데나 다녀왔는데요, 실밥풀고 3주가 된때 다녀온 해외 여행 기간동안에는 밖에 외출시에는 선크림과 모자를 필수로 열심히김종성 성형외과 전문의・522,071
- 의료상담얼굴에 상처가 났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3)3탄입니다!실밥제거후 3일 후, 즉 봉합 후 9일째가 됬을때 찍은 사진 공유드립니다.5일째 반틈, 6일째 전체를 실밥 제거했지만 조금 남은 지네발과 같은 흠이 있고눈썹으로 이어지는 아랫쪽 부분은 염증반응과, 괴사로 인해서 상처가 일부 작은 착색도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2편에서 말씀드린 것과같이 여기서는 선택 할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실밥제거 후 도대체 뭘 할수 있을까? (저의 상처에 대해서 한정, 환자분들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치료할 수 있음)흉터연고 - 대다수의 흉터연고는 튀어나온 흉터에 대해서 상처를 조금 낮춰줄 수 있습니다.저는 상처의 튀어나옴이 없어서 흉터연고 및 테이프를 사용할 필요가 없었습니다.레이저 - 착색량이 많지 않았기에 굳이 레이저를 사용하지도 않았습니다.보습 - 보습에 엄청 관심을 가졌습니다. 주위에서 영양분을 조금이라도 먹고 조직들이 잘 아물 수 있도록...홈이 있다면 듀오덤 드레싱 지속하기 - 하지만 듀오덤 드레싱이 피부김종성 성형외과 전문의・302,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