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의 작은 변화가 큰 변화를 만듭니다!!!
오늘은 발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드릴까 합니다.
무지외반족, 족저근막염, 발바닥 굳은살, 발가락 통증등...
통증이 생기는 부위는 다르지만 발바닥의 아치가 너무 과하거나 너무 없어서 생기는 질환들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발바닥 아치에 대하여 이야기 해볼까합니다.
일단 그림으로 설명을 드리면
발바닥은 종아치와 횡아치로 구분을 합니다.
이 아치들은 충격을 흡수하며 분산시켜 체중을 발에 고르게 분산 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발의 어느부위에 체중 부하가 많이 되어 있느냐에 따라 발 위에 놓여있는 무릎 고관절 골반 척추 어깨 머리의 위치가 바뀔 수 있으며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바른 자세를 유지 할 때 자세유지근육(tonic muscle;지근)이 아닌 움직임근육(Phasic muscles;속근)을 자세유지로
사용하게되어 턱을 과도하게 당기거나 흉부를 내밀거나 골반을 앞으로 기울이고 엉덩이는 뒤로 빠지게 하거나 무릎이 과도하게 신전되는
관절 상태를 만들어 체형의 변형과 관절의 통증을 발생시킬 수 있는 상태를 만들 수 있습니다.
![[반포필라테스/반포동필라테스/♥척추를 부드럽게 만들기!♥]](https://search.pstatic.net/common/?src=http%3A%2F%2Fblogfiles.naver.net%2FMjAyMDA1MDFfNjQg%2FMDAxNTg4MzExMTg3MzMz.3K7YHtStRu_cvY_9fjELybxc2MO83rL8qiVlRY5vu7gg.fOQmUuebbLf1NabyTu9VZU5DNZ-DRajVTVYgGuIruJcg.JPEG.newyearstudio%2F%25B4%25D9%25BF%25EE%25B7%25CE%25B5%25E5.jpg&type=a340)
그림을 볼 때 중력 중심선은 발바닥의 중앙부에 위치하려는 몸의 정위 반응이 있기 때문입니다.
정위반응이란 몸을 중력에 대항하여 바로 세우려는 반응 입니다.
저는 치료를 할 때 기본적으로 중력중심선에 대한 부분은 체크하며 가중 중요시 생각하는 부분입니다.
그래서 발바닥에 체중이 어디에 많이 쏠리는지 파악하여 발바닥 중앙부에 중력중심 선의 자극점이 잘 위치 할 수 있는 근불균형 교정 및 관절위치 조절을
하여 발바닥에 정상적인 체중부하가 될 수 있도록 스트레칭 하거나 근육을 활성화 하거나 합니다.
🍂발바닥 테이핑 방법🍂 : 네이버 블로그 그림 인용 하였습니다.
발바닥 아치를 처음부터 유지 하기는 힘들기 때문에 이러한 테이핑을 이용하여 발바닥 아치를 유지 하도록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발바닥의 감각또한 중요하기 때문에 맨발걷기 등이 도움이 되며 지압판을 밟거나 불규칙한 모래사장을 걷는 걷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발가락만 따로 운동하고 발바닥을 마사지 하고 하는 등의 자극도 좋지만 전반적으로 너무 자극적이지 않게 발바닥 감각을 활성화 하는 것이
오히려 피로도를 줄이고 편안한 발과 몸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과유불급이라고 하였습니다. 너무 과하면 오히려 좋지 않습니다.
갑자기 확 좋아지길 바라여 강한 자극과 무리한 자극을 주게되면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도 있으니 꾸준히 자극하고 노력하는 것이 발의 건간과 몸의 건강을
지키는 방법이라고 생각 됩니다.
예외적으로 아치가 없어도 체중부하를 발바닥 전체적으로 분산 시킬 수 있는 분들은 이러한 질환에 노출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A그림과 같이 발목이 비틀려 있지 않다면 굳이 힘들게 아치를 만들지 않아도 되는 상황이 됩니다.
예외적인 부분도 있기 때문에 꼭 이렇게 되야 정답이다 하는 것이 아니라 본인 몸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적용해야 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발이 몸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발의 통증의 원인은 무엇인지 궁굼하신 분들은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다음에도 좋은 내용으로 글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의료상담치과에서도 원인을 못 찾은 턱 통증, 혹시 이런 문제일까요?턱 통증, 치과 문제가 아니라면?턱에 통증이나 씹는 근육(저작근) 근력 약화때문에치과에 가보셨으나 이상이 없다고 별다른 치료를 하지 못하고 계시는 분들이 계셔서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턱에 불편함이 있거나 씹는 기능이 저하되고 해당 근육에 통증이 느껴진다면의심해볼만한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목 통증과 턱 통증의 연결고리혹시 목 통증이 있거나 경추 디스크가 있으신가요?만약에 목에 디스크나 다른 질환이 있다면,경추 디스크가 저작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경우는 드물지만, 간접적인 긴장 유발 등으로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보통 경추 디스크로 목, 어깨, 팔 등의 증상이 많이 나타납니다.하지만 심한 경우에는 턱주변 근육의 긴장도를 높여 저작근 운동에도 약간의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일부 논문에는 목의 안정성이 턱관절 장애에 도움이 된다는 내용도 있습니다.이러한 경우라면정형외과, 재활의학과, 통증의학과, 싱경외과 등을방문해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됩니다.박인국 물리치료사・201,057
- 의료상담얼굴에 상처가 났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최종편)여러분들께 저의 경험을 스토리에 따라서 함께 공유드릴 수 있게 되어 영광입니다.✔️ 흉터 성형수술의 적절한 시기는?보통 3-6개월 이후 흉터가 안정화 되고 시행하는것이 결과가 좋습니다.구축성, 켈로이드, 비대흉터 혹은 근육의 기능적 결함에 따라 수술시기는 빨라질 수도, 늦혀질 수도 있습니다.흉터가 생각보다 많이 남겠군....이라고 생각하며 6개월 후 수술을 하겠다고 생각을 하고 지내기로 하였습니다.봉합후 9일째, 실밥풀고 3일째 사진보습열심히 하고 흠만 매꿔주다가 흉터남으면 그부분만 흉터성형수술을 다시 해야지~ 라고 말입니다.아! 그동안 실밥풀고 2주가 지나서는 더이상 듀오덤드레싱은 의미가 없을것 같아 시행하지 않고와이프가 세로 미간주름을 예방하기 위해 보톡스나 맞자 해서 와이프의 병원에 방문하여4개월 간격으로 미간 보톡스만 투여 받았습니다. 이 동안 해외여행도 4군데나 다녀왔는데요, 실밥풀고 3주가 된때 다녀온 해외 여행 기간동안에는 밖에 외출시에는 선크림과 모자를 필수로 열심히김종성 성형외과 전문의・522,071
- 의료상담얼굴에 상처가 났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3)3탄입니다!실밥제거후 3일 후, 즉 봉합 후 9일째가 됬을때 찍은 사진 공유드립니다.5일째 반틈, 6일째 전체를 실밥 제거했지만 조금 남은 지네발과 같은 흠이 있고눈썹으로 이어지는 아랫쪽 부분은 염증반응과, 괴사로 인해서 상처가 일부 작은 착색도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2편에서 말씀드린 것과같이 여기서는 선택 할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실밥제거 후 도대체 뭘 할수 있을까? (저의 상처에 대해서 한정, 환자분들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치료할 수 있음)흉터연고 - 대다수의 흉터연고는 튀어나온 흉터에 대해서 상처를 조금 낮춰줄 수 있습니다.저는 상처의 튀어나옴이 없어서 흉터연고 및 테이프를 사용할 필요가 없었습니다.레이저 - 착색량이 많지 않았기에 굳이 레이저를 사용하지도 않았습니다.보습 - 보습에 엄청 관심을 가졌습니다. 주위에서 영양분을 조금이라도 먹고 조직들이 잘 아물 수 있도록...홈이 있다면 듀오덤 드레싱 지속하기 - 하지만 듀오덤 드레싱이 피부김종성 성형외과 전문의・302,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