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연준 테이퍼링의 개념과 영향 - 양적완화와 양적긴축 이해하기
안녕하셔요. 지난 번 미연준의 FOMC 회의와 FOMC 위원들의 향후 금리 예상을 담은 점도표 보는 법에 대해서 올렸습니다. 아래 링크를 참고하여 주십시요.
https://www.a-ha.io/experts/columns/4a495847480a683bbb32ffbd3a76dd64?categoryId=83
다음으로 미국의 금융&재정정책 중 테이퍼링의 개념과 영향 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내용을 올리고자 합니다.
우선 테이퍼링은 영어로 tapering을 의미하고 사전적 의미는 '수도꼭지를 잠근다'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동사의 진행형인 '~ing'를 붙여 테이퍼링이라고 한 것은 점진적으로 수도꼭지를 잠근다는 의미로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각종 정책을 점진적으로 완화하거나 중단한다는 의미입니다.
해당 용어는 지난 2013년 5월 당시 미연준의 의장이었던 벤 버냉키 미연준 의장이 처음 언급하며 이후 하나의 금융 정책 용어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미국의 테이퍼링으로 글로벌 증시가 급락했고 중국 등 공급 과잉에 빠진 중국 경제가 깊은 침체에 빠지게 되었고 물류 산업 등이 글로벌 물동량 감소로 침체 되어 산업 구조 재편이 있기도 했습니다.
세계 경제의 파수꾼이나 압도적인 영향력을 끼치는 미국 금융당국에서 실시하는 양적 완화 정책의 점진적인 완화인 테이퍼링은 엄청난 영향력을 끼치게 됩니다.
아래 그림의 경우 양적완화와 테이퍼링 및 긴축 사이클을 나타낸 것입니다. 현재 미연준과 글로벌 경제는 우측의 'E' 지점을 넘어 'A' 지점 초입의 양적완화(QE, Quantitative Easing) 시작점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양적완화 정책으로 금리 인하, 시중 채권 매입 등으로 점진적으로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여 경기 부양에 나서게 됩니다. 이후 시중에 풀린 유동성을 기반으로 주식, 부동산, 가상자산 등 자산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합니다. 자산 가격 상승이 과해 지며 시장 과열 조짐이 있고 물가상승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조짐 깊어 질 경우 금융 당국은 테이퍼링을 실시하게 됩니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테이퍼링이 긴축정책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유동성 공급을 줄이는 국공채 매입의 양을 줄이는 것이라 긴축 정책 돌입까지는 일반적으로 5~6년이 소요됩니다. 그럼 왜 미연준에서는 테이퍼링이라는 용어까지 만들어가며 양적완화와 양적긴축 중간 단계를 거치는 것일까요?
결론은 언론이나 매체에서 자주 언급하는 '경제의 연착륙'을 위함입니다.
급격한 양적완화 또는 긴축은 경제 경착륙 가능성이 있어서 자산 시장 버블 또는 붕괴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궁극적으로 원활한 경기의 확장과 수축의 중간 조정 단계로서 테이퍼링이 역할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음 주제로는 확대 & 긴축 정책에 따른 금리, 주가 및 원부자재 시장의 추이 등을 과거 사례를 빌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NEW경제해외선물 협의수수료란?여러분들 해외선물 매매하시기 전에 한번 읽으시면 돈 벌고 시작합니다!! 저는 몰라서 한동안 눈 먼 돈을 잃었습니다..협의 수수료선물의 특성상 길게 보고 투자하시는 분들은 많지 않을 겁니다. 따라서 여러번 매매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럴수록 수수료에 민감하게 본인의 수익이 좌지우지됩니다.그렇기에 최대한 수수료 혜택을 받는 게 좋은데요. 협의수수료가 그것입니다.선물은 특히나 레버리지상품이고 따라서 변동성이 심하니 유의하시길 바랍니다.또한 정식 증권사를 이용하시기를 권합니다. 협의수수료는 증권사마다 차이가 있으나 일단 전화하셔서 시도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되면 좋고 안 되면 어쩔 수 없는거 아니겠어요?? 협의수수료기준은 검색을 해서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실제와 차이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한두푼 하는 것이 아니니 적어도 해외선물 매매를 꽤나 하실 분들은 필수라고 생각합니다.여담으로 저는 교보증권을 사용중입니다.주식이나 선물이나 심지어 코인이나 모두 매매를 하실 때 어떤 거래소손유근 경제전문가・107
- NEW경제1경 7000조 굴리는 블랙록이 비트코인에 투자했다고? 그만 좀 속으세요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 관련 뉴스를 보다보면 블랙록, J.P. Morgan 등 유수의 월가 자산운용사와 투자은행이 해당 암호화폐에 얼마를 투자했다는 내용을 흔히 접할 수 있다. 뉴스를 작성한 기자나 유튜브 코인 인플루언서들은 "보수적이기로 유명한 월가 기관투자자가 코인에 투자했다는것은 이제 암호화폐가 제도권에서도 인정받는 증거"라 주장한다.물론 근본적으로 잘못된 주장이다.블랙록은 미국시장에 투자하는 국내 개인투자자들에게도 iShares ETF 브랜드로 흔히 접할 수 있는 금융상품을 파는 자산운용사다. 일반인에게 "펀드 상품을 만드는 자산운용사"라 하면 흔히 모니터를 8대씩 책상에 올려두고 시장동향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최적의 기회를 발견해 트레이딩하는 액티브 펀드 매니저들을 떠올리지만, 오늘날의 초대형 자산운용사는 패시브 펀드 위주의 비즈니스 구조를 가지고 있다.패시브 펀드는 단어 그대로 투자자들이 원하는 기업이나 지수에 근거하여 이를 추종하는 펀드를 의미한다. 블랙록이 고어웨어・20391
- 멤버십 전용NEW경제배당 수익률 14% 업계의 대장주 vs 신흥 강자 BDC안녕하세요, 카레라입니다. BDC 업계의 업황이 조금 조정을 받고 있는 가운데 업계의 교과서이자 간판으로 불리는 BDC(비즈니스개발회사)와 신흥 강자 BDC의 주가가 함께 눌리면서 배당 수익률이 높아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신흥 강자인 이 회사는 현재 미국 BDC 시장에서 조금씩 주목받고 있는 방어형 대안주인데, 세부 내용을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고건・30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