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
[미성년자-모욕] 대학 입시를 앞둔 소년보호사건 성공사례
[사건의 개요]
의뢰인은 고등학생으로 동급생을 주도하여 SNS를 통해 피해 학생을 모욕하고 괴롭혀온 혐의로 입건되었습니다.
[사건의 특징]
의뢰인은 다양한 SNS 매체를 통해 오랜 기간 피해자를 괴롭혀왔습니다.
피해자는 극심한 피해를 호소하며 정신과 치료를 받기도 하였으며, 의뢰인에 대한 엄벌을 탄원하였습니다.
의뢰인은 대학 입시를 앞둔 상황이었으므로, 반드시 형사처벌을 피해야 했습니다.
[변호인의 조력]
의뢰인의 고유한 정상관계를 바탕으로, 본건을 형사재판이 아닌 소년보호사건으로 다뤄야 하는 이유를 복합적으로 주장했습니다.
사건의 진행 속도를 적절히 조절하였고, 그에 따라 의뢰인은 무사히 사건 종결 전 원하는 대학교에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
[사건의 결과]
법원은 변호인의 주장을 받아들여, 의뢰인에 대하여 소년보호사건으로 재판을 진행했습니다.
법원은 의뢰인에 대하여 가장 낮은 처분인 1호, 2호 처분을 내렸습니다.
미성년 자녀에게 문제가 발생한 경우, 특히 자녀의 대학 입시를 목전에 둔 경우에는, 반드시 소년 사건의 경험이 많은 변호인의 도움을 받아 위기를 헤쳐나가시길 바랍니다.

우지훈 변호사
법무법인 대웅

0/ 500

같은 분야의 글 더보기
- NEW법률교통사고 발생 시의 민사상의 문제(2)1. 공무원이나 공무 위탁 사인이 직무를 집행하면서 고의 또는 과실로 법령을 위반하여 타인에게 손해를 입히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는 국가배상법 제2조 제1항의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는 공무원 또는 공무를 위탁받은 사인(이하 “공무원”이라 한다)이 직무를 집행하면서 고의 또는 과실로 법령을 위반하여 타인에게 손해를 입히거나, 「자동차 손해배상 보장법」에 따라 손해배상의 책임이 있을 때에는 이 법에 따라 그 손해를 배상하여야 한다.'는 규정에 따라 배상 책임의 주체가 됩니다.2. 이와 관련하여 헌법 제29조 제1항에는 '공무원의 직무상 불법행위로 손해를 받은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가 또는 공공단체에 정당한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이 경우 공무원 자신의 책임은 면제되지 아니한다.'는 규정과 위 국가배상법 제2조를 조화되도록 해석하면 공무원이 직무 수행 중 불법행위로 타인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에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국가배상 책임을 부담하는 외에 공무원 개인도 고의 또는 중과송인욱 변호사・1031
- NEW법률교통사고 발생 시의 민사상의 문제(1)1. 교통사고가 발생하면 국가 형벌권을 발동하여 가해 운전자를 처벌할 것인지가 문제 되는 형사 문제 외에 운전자의 위법한 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이 인정되는지에 관한 민사문제가 발생하는데, 자동차 손해배상보장법이 제정되기 전에는 민법 제750조 불법행위, 제755조 감독자 책임 및 제756조 사용자 책임과 같은 전통적인 불법행위 법리에 의하여 손해배상 책임이 의율되었습니다.2. 전통적인 민법상의 불법행위 법리에 따르면 피해자 측에서 가해자의 고의 또는 과실, 인과관계 및 손해 발생을 입증해야 했는데, 차량의 보급과 함께 교통사고가 빈발하자 신속한 피해 회복과 차량 운송의 발달을 도모하고자 사망, 상해에 한 해 자동차손해배상 보장 법이라는 특별법이 적용될 수 있게 되었습니다.3. 자동차 손해배상 보장법이 제정된 후 인적 손해에 한하여 '자기를 위하여 자동차를 운행하는 자' 내지 '자동차 운행자'에게 손해배상 책임이 부과되었는데, 이때 피해자가 승객인 경우에는 가해자 측으로 귀책사유송인욱 변호사・40154
- NEW법률사실상 혼인관계 존재 확인의 소1. 오늘은 사실상 혼인관계 존재 확인의 소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소개하고자 하는데, 사실관계와 관련하여, 소외 1은 처 소외 2와 자녀 2명을 두고 집을 나와 1993년경부터 원고와 동거하였고, 소외 1은 소외 2 소생인 아들을 데리고 나와 원고와 함께 양육하였으며, 소외 2는 남편이 떠난 후에도 같은 집에 계속 살면서 딸을 키웠고, 소외 1의 이혼 요구는 거부하였으며, 소외 1은 2011년경 공무원을 퇴직한 다음 소외 2를 상대로 이혼을 청구하는 소를 제기하였는데, 소외 1이 소외 2에게 재산분할로 살던 집 소유권이전등기를 넘겨주고 위자료를 주며 그들은 이혼한다는 내용인 화해권고 결정이 2012. 5. 2. 확정되었던 바, 그 이후 소외 1은 원고와 2012. 9. 26. 혼인신고를 하였고, 2018. 2. 13. 사망하였는데, 원고는 소외 1과 사실상 혼인관계에 있었던 사람으로서 공무원연금법에 따른 퇴직 유족급여를 받는 데 필요하다는 이유로, 그가 공무원으로 재직하던 때부터 혼송인욱 변호사・20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