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육아
높은 고도에서 귀가 멍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엘리베이터를 타고 고층으로 올라가거나 차를 타고 산을 올라가면 귀가 멍해지는 경험은 모두가 있을 겁니다.높은 곳은 아래보다 공기가 부족해서 상대적으러 기압이 낮습니다. 귀 외부 기압이 낮으면 귀 내부와 외부의 기압이 다르게 되고 이러한 압력차로 인해 고막을 밀어내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이때 귀가 멍하다고 느끼는 것이죠.하지만 침을 삼키거나 하품을 하면 일시적으로 유스타키오관이 열려서 기압을 맞춰 주고 귀가 멍한 느낌이 사라지게 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0
0
0
고체인 얼음이 물 위에 뜨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의 묿질은 온도가 내려갈수록 분자간 운동이 줄어들어 분자간 거리가 좁아지고 결론적으로 부피는 감소하고 밀도는 증가하게 됩니다.하지만 물은 온도가 내려가면 분자간 운동이 줄어들어 영상 4도씨까지는 분자간 거리가 좁아져 부피는 감소하고 밀도는 증가하지만 4도씨 이하에서는 다시 부피가 증가하고 밀도가 감소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결국 0~4도씨 물보다 얼음이 부피가 크고 밀도가 감소하여 물에 뜨게 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0
0
0
물 속과 공기 중 어디서 더 소리 전달이 잘 되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소리는 매질을 통해 전달 됩니다. 매질이란 소리의 진동을 전달해주는 물질로 생각하면 쉽습니다.매질이 촘촘할수록 소리는 더 잘 전달 됩니다.질문에서 공기와 물 중에서 어느쪽이 소리가 더 잘 전달 되는지 질문 주셨는데 정답은 물입니다.공기의 경우 기체 입자들이 둥둥 떠다니는 반면 물은 물 입자들이 촘촘하게 붙어 있습니다. 즉 매질이 촘촘한 물 속에서 소리는 더 잘 전달 됩니다.참고로 우주에서는 매질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서로 소리를 주고 받을수 없으며 서로 머리를 맞대어 머리에 쓴 우주모자를 통해 소리를 전달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0
0
0
닭살이라고 돋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닭살이 돋는 이유에 대해 질문 해주셨는데요.먼저 추울경우 닭살이 돋는이유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주변 기온이 체온보다 낮을 경우 추위를 느끼며 체온이 내려가려고 합니다. 이경우 우리 신체는 외부에 체온을 뺏기지 않기 위해 근육을 수축하게 됩니다. 그리고 피부를 수축시켜 외부와 접하는 표면을 최대한 줄이고자 합니다. 이런 과정에서 피부가 쪼그라들면서 닭살이 돋게 됩니다.두번째로 무서움이나 놀라움 등 감정적인 변화가 나타나면 여러 신체 기관에서 폭넓게 분포하며 부교감신경 감각과 운동 신경 등에 관여하는 미주신경이 활성화 되지 않아서 혈관수축이 나타나는데 이로 인해 혈관에흐르는 혈액량이 감소하면서 피부 온도가 순간적으로 낮아지게 됩니다. 이로인해 오한을 느끼게 되며 닭살이 돋게 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생물·생명
23.02.10
0
0
꽃샘추위는 왜 오는건가요? 봄인데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봄이 되면 겨울철 내내 우리나라를 지배하던 시베리아 기단(차가운 공기 덩어리)의 세력이 약화되면서 기온이 상승하다가, 갑자기 이 기단이 일시적으로 강화되면서 발생하는 이상 저온현상을 꽃샘추위라고 합니다.일시적이며 꽃샘추위가 없이 지나가는 해도 있습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생물·생명
23.02.10
0
0
만약 지구의 기울기가 지금같지 않고 평평해진다면 우리는 어떤일을 겪게될까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자전축에 대해 질문하셨는데요.지구의 자전축은 질문자님에 알거 계신데로 23.5도입니다. 이렇게 자전축이 기울어지면서 나타나는 자연현상은 계절의 변화, 계절에 따른 밤낮의 길이 변화가 있습니다.만약 자전축이 현재와 다르게 0도로 된다면첫째로 1년 내내 계절의 변화는 없어지게 됩니다.그러인해 동식물의 다양성도 줄어들게되며 기후변화 역시 줄어들게 됩니다.또한 계절에 따른 밤낮의 길이 변화는 없어지게 됩니다. 이부분은 인간의 입장에서 편리할 수도 있다는게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10
0
0
은수저로 계란을 먹으면 수저의 색이 왜 검게 변하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은수저는 은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은은 독극물을 겁출할때 쓰이곤하는데 이는 은이 독극물에 반응하는 성질이 있기때문입니다.그렇다면 달걀찜에 은수저가 검게 변하는 이유는 무엇이냐 그건 달걀 노른자에는 소량의 황이 들어있습니다. 황의 경우 우리 몸에 반드시 필요한 물질인 반면 다량 섭취시 부작용을 줄 수 있는 물질 입니다.은수저의 경우 달걀찜에 있는 소량의 황과 반응하여 검게 변하는 것이지만 우리몸에 해로울 정도의 양은 아닙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생물·생명
23.02.10
0
0
체감기온은 어떻게 산정되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체감온도는 기온·풍속·습도·일사 등 기상 요인을 종합해서 계산합니다. 옷을 입은 정도·거주 상태·체질·심리 상태 등도 변수로 작용하기 때문에 정확한 산출은 힘듭니다.예로 여름에 같은 기온이지만 습도가 높은 경우 우리는 더 덥다고 느낍니다. 반대로 바람이 많이 부는 경우 우리는 더 시원하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다만 위에서 말한 것처럼 정확한 산출은 힘들지만 최대한 우리가 느끼는 체감온도와 비슷하게 산출하려고 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화학
23.02.10
0
0
알콜 온도계는 어떤 원리로 온도가 측정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물질은 열에너지를 얻으면 부피가 증가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온도계의 경우에도 이 성질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합니다.온도계 속에 알코올 혹은 수은을 넣은 후 온도가 올라갈경우 일정하게 부피가 증가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1도시당 부피가 증가하는 만큼의 눈금을 표시하고 온도를 측정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전기·전자
23.02.10
0
0
근친교배로 인한 유전병이 생기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모든 동물들은 기형 유전자를 가지고 습니다. 하지만 같은 형질을 담당하는 정상유전자로 인해 기형은 발현되지 않고 정상이 발현됩니다.하지만 근친의 경우 부모로부터 받은 유전자가 많이 일치하기 때문에 기형유전자가 서로 만날 확률이 높습니다. 따라서 100% 기형이 발현되지 않으나 확률적으로 기형이 발현되는 경우가 높습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학문 /
생물·생명
23.02.10
0
0
28
29
30
31
32
33
34
35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