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고대 그리스의 자동문은 어떤 원리로 작동한 것입니까?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고대 그리스의 자동문은 물리적이고 과학적인 장치입니다. 물을 채워두고 물에 수조(호스와 같은 것)를 연결하여 역학적인 작동을 하게끔 설계를 하였습니다. 물을 채워둔 공간 윗부분에 장작이나 다른 것으로 불을 지피면 열기가 발생합니다. 이 열기가 물을 채워둔 공간에 전달되며 물이 차있는 공간의 공기가 팽창하여 압력이 높아집니다. 압력이 높아지면서 호스로 물이 흘러들어가고 다른 공간에 물이 채워집니다. 이 때 물이 채워지면서 무게가 생겨 도르레처럼 작동을하여 문을 열게하는 것이죠.
학문 /
전기·전자
23.02.06
0
0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 CTBT에서 규정한 '우주'는 대기권바깥도 포함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내에 있는 조약으로 지구인이 움직이고 갈 수 있는 우주 전체를 의미합니다. 물론 이러한 조약은 외계 생명체에겐 적용이 안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6
0
0
동물들도 사람처럼 하품을 하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동물도 하품을 합니다. 하품은 체내에 산소가 부족해지면 산소를 얻으려 많은 공기를 마시기 위해 하품을 하는것입니다. 주변에서 하품을 하면 주변사람들 또한 산소가 부족한 상태이고, 주변 사람들의 하품으로 인해 더욱 산소가 부족해져 하품이 연쇄적으로 전파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동물들도 산소가 부족해지면 하품을 하죠.
학문 /
생물·생명
23.02.06
0
0
밀도의 단위에 대하여 궁금한것이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1m=100cm라는 것과 1kg=1000g 것만 아신다면 쉽게 보일 수 있습니다.m^3=1000000cm^3과 같습니다. 그리고 1kg=1000g과 같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윗식을 고치면,2.69*10^3 1000g/1000000cm^3 입니다.이는 2.69 g/cm^3 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6
0
0
기온상승과 미세먼지 발생과의 상관관계가 궁금.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온이 상승하면서 상승기류가 발달돼 지면의 공기가 미세먼지를 품고 하늘로 상승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상승된 미세먼지가 곳곳으로 퍼질 수 있죠. 물론 단순하게 기온이 상승한다고 미세먼지가 많다라고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기상현상에는 다양한 변수에의해 아주 다양한 현상들이 발생할 수 있고 바람의 방향도 바뀔 수 있기 때문이죠.
학문 /
화학
23.02.06
0
0
물의 부피가 가장 작은 온도는 4도??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다른 물질에 비해 물은 굉장히 특이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고체에서 부피가 더 커지기 때문이죠. 이러한 물질은 물이 유일무이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 분자는 액체 상태에서 자유롭게 있다가 어는점이 되면서 배열을 이룹니다. 이 때 6각 배열로 정렬하면서 얼음(고체)이 되는데, 6각 배열은 기존 물 분자 6개가 있던 공간보다 큰 공간을 차지합니다. 또한 6각 구조 내부로는 물 분자가 위치하지 않게 되죠. 이러한 원리로 얼음이 되면서 부피가 커지는 것이죠.
학문 /
물리
23.02.06
0
0
추운 날씨에는 뜨거운물이 찬물보다 빨리 언다고 하는데..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음펨바 효과인 찬물과 뜨거운 물 중 어느 것이 더 빨리 어느냐에 대해 완벽히 풀리지는 않았습니다. 찬물이 뜨거운 물보다 빨리 어는 것이 상식적이고 어느 정도 맞는 이야기지만, 뜨거운 물이 찬물 보다 빨리 어는 것을 관측한 사실도 있기 때문이죠. 또한, 이 관측 사실에 대해 실험조건이나 환경등에 영향을 받아 뜨거운물이 찬물보다 빨리 얼었다라는 반박도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로썬 다양한 변수에 의한 조건과 환경에 따라 뜨거운물이 빨리얼수도 있고 찬물이 빨리 얼수도 있다라고 밖에 대답을 못드리겠습니다.하지만, 뜨거운 물의 경우 물의 증발이 잘 일어나고 김이 잘 발생하기 때문에 찬물에 비해 표면적이 쉽게 넓어 집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영하의 온도에서 뜨거운물을 뿌리면 찬물보다 표면적이 더 넓어 순식간에 서리질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2.06
0
0
지구종말은 정말 올까요??온다고하던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지구종말은 옵니다. 지구의 현재 나이 45억년 정도입니다. 지구 행성의 수명은 태양계 내의 별인 태양의 폭발 시기 까지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태양의 현재 나이는 46억년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태양의 수명은 대략 100억년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54억년 뒤에 태양이 죽음에 다다르게되면 적색거성이 되며 팽창하다가 일부는 성운이 되고 핵은 백색 왜성이 됩니다. 이 때 태양이 팽창하며 여러 행성에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 때가 행성의 마지막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러니 남은 46억년 정도는 지구와 유사한 행성을 발견하여 이주 준비를 하거나 아니면 지구에서 행복한 삶을 보내시는 것이 좋다고 판단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6
0
0
입체영화를 볼때 안경을 쓰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입체영화를 볼 때 쓰는 안경은 편광 렌즈로 만들어졌습니다. 편광은 빛의 일부를 보는 것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빛은 전자기파로 두가지 방향의 진동으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편광은 한쪽 방향의 진동을 제거한 나머지의 방향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3D영화를 제작할 때 왼쪽눈이 보이는것과 오른쪽눈이 보이는것을 다르게 촬영합니다. 이유는 입체감을 만들기 위해서죠. 우리가 사물을 볼 때 양쪽눈으로 보기 때문에 거리감이나 입체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예시로 만약 한쪽눈을 가리고 양손으로 두 손가락을 맞대라고하면 쉽지가 않죠. 이는 왼쪽눈과 오른쪽 눈이 각기 다른 각도에서 사물을 보기 때문에 입체감이 생긴것입니다. 이처럼 영화를 촬영할 때에도 왼쪽눈, 오른쪽눈이 보는 각도를 다르게 촬영한 뒤, 왼쪽눈과 오른쪽 눈의 빛을 동시에 송출하죠. 그래서 안경을 벗고 보면 어지럽고 겹쳐진 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편광안경을 씀으로써 편광 원리에 의해 왼쪽눈에 해당하는 빛만을 보게 되고 오른쪽눈은 오른쪽 눈에 해당하는 영상의 빛만을 보게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6
0
0
지구도 목성의 중력에 영향을 받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목성의 중력이나 다른 질량체의 중력을 계속적으로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거리가 멀기 때문에 크기는 매우 작죠. 달의 중력으로 인해 해수의 조수 간만의 차가 발생하는데, 이 때 달의 의한 중력에 크기에 비해 10^(-8) 배라고 보시면됩니다. 즉, 달에 의한 중력의 영향의 10나노 정도 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6
0
0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