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영화에서처럼 아주 조그만 혜성이 지구에 떨어지면 진짜로 지구가 멸망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300km~500km 정도의 소행성이 떨어지면 지구의 생명체가 멸종할 수 있다고합니다. 또한, 작은 소행성이라도 빠르게 충돌하게 되면 지구의 생명체가 멸종할 수 있다고합니다.그래서 소행성 충돌에 대비하여 소행성의 궤도를 바꾸거나, 소행성을 분해시켜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기술을 갖추고자 연구와 실험을 하고 있습니다.예전부터 봐온 유명한 영상이 있는데 링크하나 남겨두겠습니다. 이미 봤을 수도 있는 영상이긴 하지만 참고하시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500km의 소행성이 떨어질 때의 시뮬레이션이라고 합니다. 어마어마하고 무섭습니다. 시청에 주의하시길 바랍니다.https://youtu.be/bU1QPtOZQZU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6
0
0
왜 여자들끼리 자주 붙어있으면 생리주기가 비슷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생리주기의 경우 정확하게 일정한 주기가 아닌 조금씩은 불규칙한 주기입니다. 그래서 불규칙과 불규칙이 만나며 우연히 동일한 주기가 될 경우가 존재합니다. 그래서 생리주기가 겹칠 수 있는 것이죠. 물론 친하지 않은 친구와 비교를 해도 같아지는 시기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붙어있을 경우 생리 주기를 공유하기도하면서 더 체감하기 때문에 붙어다니면서 생리주기가 같아졌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6
0
0
핸드폰의 충전이 100%가 되면 충전 전압과 핸드폰 전압이 동일해져서 충전이 중단되는 형태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스마트폰이 완충될 경우 스마트폰의 방전되는 정도만큼 충전된다고 보시면됩니다. 이는 스마트폰의 충전속도보다는 훨씬 느린 충전속도이며 전력소비를 최소화했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2.06
0
0
달탐사나 화성탐사 같은 우주탐사의 실익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탐사를 통한 실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탐사를 통해 새로운 사실을 깨달을 수 있으며, 지구에 없으며 우리에게 유익한 물질을 발견할 수도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6
0
0
왜 나이가 들수록 사람의 눈은 푹 들어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나이가 들수록 피부의 탄력이나 수분함량을 잃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쪼그라들면서 피부가 얇아져 뼈대가 보일 수 있죠. 그래서 나이가 들수록 눈 주변이 움푹 들어가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3.02.06
5.0
1명 평가
0
0
보온병은 어떠한 원리로 냉기와 온기를 유지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보온병의 보온 보냉 효과는 보온병 외부와 내부의 열교환을 차단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입니다. 보온병을 툭툭 쳐보시면 안이 비어있다는 느낌이 드실겁니다. 그 부분을 진공으로 두거나 열 전도성이 낮은 물체를 채워 넣음으로써 내외부의 열교환을 거의 0으로 만들죠. 그래서 보온, 보냉 효과를 볼 수 있는 원리입니다.
학문 /
화학
23.02.06
0
0
겨울에 배터리가 빨리 방전되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배터리, 건전지는 화학 전지로 내부에 전해액 성분이 존재합니다. 이는 전해질 역할로 +, -극을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전압을 만들어주기 때문에 건전지로 전류를 만들 수 있습니다. 전해액은 전류를 만들어내면서 점점 에너지를 잃게되며 방전이 됩니다. 하지만 추운날의 경우 전해액이 굳게 되는데, 전해액이 굳어짐으로써 원래 낼 수 있는 효율을 다 내지 못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일부 굳은 전해액은 극성을 띠어도 움직이지 않기 때문이죠. 그래서 추운날에는 배터리의 방전이 빠른 이유입니다.
학문 /
화학
23.02.06
0
0
에베레스트는 구름위에 있는데 어떻게 눈이 쌓이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에베레스트는 대류권(비, 눈 등 기상현상이 있는 높이) 내에 있기 때문에 구름은 에베레스트보다 높은 곳에서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비나 눈도 내릴 수 있죠. 비와 눈이 에베레스트 꼭대기에 내린 뒤 얼어버렸기 때문에 눈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구름은 항상 똑같은 높이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닌 높낮이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에베레스트에 얼음이 얼려진 상태에서 구름이 낮게 형성되면 그러한 착각을 할 수 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6
0
0
달이 밝게 빛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달이 빛이 나는이유는 태양빛을 반사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달이 지구를 공전할때 위치에 따라 태양 빛을 반사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초승달, 반달, 보름달 등으로 보이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2.06
0
0
좋은 말과 음악은 식물을 더 잘자라게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소리는 공기를 진동시키는 파동으로 식물에게 전달 될 수 있습니다. 노래를 틀어주게 되면 공기가 진동하여 식물에게 파동이 전파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진동이 식물 내의 전기적신호에 변화를 준다는 연구결과도 있고요. 그래서 음악은 식물에게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2.06
0
0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