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바닷속에서 화산이 폭발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바닷속에서도 화산이 폭발할 수 있습니다. 화산은 판과 판이 수렴하는 부분에서 발생하므로 지상이든 바다든 상관없이 마그마가 분출될 수 있습니다. 마그마는 지층 내부 멘틀의 상층부에서부터 나오기 때문에 굉장히 뜨겁고 고체가 용융된 상태이죠. 이것이 바닷속 판의 경계부에서 분출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9
0
0
폴라로이드 사진은 어떻게 인화가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폴라로이드의 원리는 물체나 대상을 카메라로 찍으면 폴라로이드 필름에 상이 맺힙니다. 필름이 까만 이유는 내부에 들어있는 현상액과 인화액이 빛에 노출됨을 막기 위함이죠. 그리고 사진이 찍힌 필름이 나오면서 필름에 있는 현상액과 인화액이 롤러에 눌려 터지면서 서로 섞이게 되는것이죠. 그래서 수 분내에 필름이 현상화되며 사진을 볼 수 있는것입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01.09
0
0
얼음은 어떻게 물 위에 뜰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대부분의 물질은 액체에서 고체로 되면서 부피가 줄어듭니다. 하지만, 물의 경우는 특별합니다. 물이 얼음이 되면서 부피가 커집니다. 혹시, 페트병에 물을 넣어 얼린경험이 있으시다면 바로 알아채실겁니다. 페트병에 물이 얼어있으면 빵빵하게 돼버리는데, 얼음이 물보다 부피가 크기 때문이죠. 물 분자는 액체 상태에서 자유롭게 있다가 어는점이 되면서 배열을 이룹니다. 이 때 6각 배열로 정렬하면서 얼음(고체)이 되는데, 6각 배열은 기존 물 분자 6개가 있던 공간보다 큰 공간을 차지합니다. 또한 6각 구조 내부로는 물 분자가 위치하지 않게 되죠. 이러한 원리로 얼음이 되면서 부피가 커진거죠. 그리고 물의 질량은 여전히 얼음의 질량과 동일합니다. 즉, 물의 밀도가 얼음의 밀도보다 크기 때문에 얼음이 물 위에 뜨는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9
0
0
태양계에서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행성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경우 생명체가 존재하며, 다른 행성의 경우 생명체가 살 수 없습니다. 화성에서는 물의 흔적을 찾았지만 아직 생명체의 존재의 흔적은 찾지 못하였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9
0
0
빛에 관한 궁금한 점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빛은 전자기파입니다. 빛은 전기장과 자기장의 상호 진동으로 진행해 나갑니다. 그래서 우리가 보는 모든 빛(가시광선, 적외선, 자외선 등)은 전자기파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9
0
0
3개월동안 사람이 떨어지는 상태면 어떻게 죽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3개월 동안 어딘가를 향해 떨어지게 된다고 쳤을 때 음식과 수분을 섭취할 수 없기 때문에 영양분과 탈수를 겪으며 죽습니다. 사람은 물과 음식없이는 3주도 버티기 어렵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1.09
0
0
에어프라이는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에어프라이기는 뜨거운 열기를 사용하여 음식을 익힌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에어프라이기 내부에서 뜨거운 공기를 순환시키며 음식을 익히는 것입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01.09
0
0
우주에 쌍 없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어려운 문제이며 해석하기 나름의 문제로 볼 수 있습니다. 우리 우주는 사실 쌍이나 어떤 대칭이 깨졌기 때문에 존재합니다. 만약 우주가 정말 아름다워 대칭적이며 쌍을 이루고 있다면 우리는 존재하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입자와 쌍을 이루는 것은 반입자로 입자와 반입자가 만나면 빛(에너지)을 발하며 사라집니다. 그런데 우리 우주가 빛이아닌 물질로 구성되어있다는 것을 보면 반입자의 비율이 굉장히 적고 입자가 굉장히 많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쌍 없이 존재하고 있죠. 하지만 우주를 설명하는데 있어 반입자와 입자로 설명을 할 수 있으며 이는 쌍을 가지고 설명하기 때문에 쌍없이 설명하기는 어려운 점도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9
0
0
라디오 주파수 과학적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라디오 주파수는 교류 회로를 구성하여 안테나 송신부를 통해 특정 파장의 전파를 생성해 만들 수 있습니다.교류 회로는 교류 전압, 전류의 특성상 진동하는 회로입니다. 전류의 흐름을 바꿈으로써 자기장의 변화를 만들고, 자기장의 변화는 전기장의 변화를 만듭니다. 또한 전기장의 변화는 또다시 자기장의 변화로 이어지며 연쇄 작용에 의해 전기장과 자기장의 진동인 전자기파(빛)가 만들어집니다. 이 때 교류회로의 주파수를 설정하여 특정 주파수를 만들 수 있으며, 라디오에서 이와같은 원리를 이용해 전파를 보냅니다.또한, 전파를 받는 수신부에서는 안테나를 통해 전파를 전달 받아 전파를 다시 소리로 변환하여 우리에게 들려주는것이죠.
학문 /
전기·전자
23.01.09
0
0
오뚝이는 왜 계속 일어서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오뚝이를 들어보시면 아시겠지만 오뚝이의 무게중심은 아래에 위치합니다. 그래서 오뚝이를 쓰러뜨려도 무게중심이 아래에 있기 때문에 다시 되돌아오게됩니다. 쉽게 생각해서 페트병에 1/3정도의 물을 담고 살짝 기울이면 쓰러지지 않고 되돌아오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원리입니다.
학문 /
물리
23.01.09
0
0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