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나무도 생물처럼 수명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나무도 수명이 존재합니다. 배 나무의 경우 15~20년 정도, 무화과 사과 나무의 경우 30~40년 정도이며 수명이 긴 나무의 경우 300~400년도 살 수 있다고 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1.04
0
0
스마트 체중계는 어떤 원리로 체중을 재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인바디의 원리와 비슷합니다. 인바디 측정기의 원리와 유사하게 스마트 체중계의 원리는 사람의 몸 부위 마다 미세한 전류를 흘려보냄으로써 신체의 저항값을 측정하며 지방량, 근육량 등의 비율을 계산하는 것입니다. 지방 부위나 근육(단백질) 부위의 구성하고 있는 물질이 다르기 때문에 저항값도 다르게 나타납니다. 저항값이 다르게 나타남을 이용해 전류를 흘려 보냄으로써 각 부위의 저항을 측정해냄으로써 지방, 근육의 비율을 계산해내는 원리입니다. 지방의 경우는 기름기가 많고 수분이 적어 저항이 높으며, 근육(단백질)의 경우 수분이 많고 기름기가 적어 저항이 낮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1.04
0
0
토성의 위성 타이탄에서 사람이 살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타이탄에서는 생명의 움직임, 근거를 정확하게 찾아낸게 없습니다. 그래서 아직 타이탄에 생명체가 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또한 타이탄은 물이아닌 메탄이 액화된 상태로 흐르고 있으며, 물은 얼어있는 상태로 존재한다고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4
0
0
인바디는 어떻게 올라가기만 하면 모든 것이 대부분 다 나오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인바디 측정기의 원리는 사람의 몸 부위 마다 미세한 전류를 흘려보냄으로써 신체의 저항값을 측정하며 지방량, 근육량 등의 비율을 계산하는 것입니다. 지방 부위나 근육(단백질) 부위의 구성하고 있는 물질이 다르기 때문에 저항값도 다르게 나타납니다. 저항값이 다르게 나타남을 이용해 전류를 흘려 보냄으로써 각 부위의 저항을 측정해냄으로써 지방, 근육의 비율을 계산해내는 원리입니다. 지방의 경우는 기름기가 많고 수분이 적어 저항이 높으며, 근육(단백질)의 경우 수분이 많고 기름기가 적어 저항이 낮습니다.
학문 /
물리
23.01.04
0
0
사람이 화성에 가서 살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화성에 인류가 정착하여 살기는 현재로썬 불가능하다고 보시는게 맞습니다!화성에는 대기가 존재하지만 산소가 희박하기 때문에 호흡을 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꼭 우주복을 입어야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4
0
0
물이 얼음이 되면 부피가 늘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대부분의 물질은 액체에서 고체로 되면서 부피가 줄어듭니다. 하지만, 물의 경우는 특별합니다. 물이 얼음이 되면서 부피가 커집니다. 혹시, 페트병에 물을 넣어 얼린경험이 있으시다면 바로 알아채실겁니다. 페트병에 물이 얼어있으면 빵빵하게 돼버리는데, 얼음이 물보다 부피가 크기 때문이죠. 물 분자는 액체 상태에서 자유롭게 있다가 어는점이 되면서 배열을 이룹니다. 이 때 6각 배열로 정렬하면서 얼음(고체)이 되는데, 6각 배열은 기존 물 분자 6개가 있던 공간보다 큰 공간을 차지합니다. 또한 6각 구조 내부로는 물 분자가 위치하지 않게 되죠. 이러한 원리로 얼음이 되면서 부피가 커진거죠. 그리고 물의 질량은 여전히 얼음의 질량과 동일합니다. 즉, 물의 밀도가 얼음의 밀도보다 크기 때문에 얼음이 물 위에 뜨는것이죠.
학문 /
화학
23.01.04
0
0
태양이 수명을 다해 소멸하게 된다면 지구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나이 45억년 정도입니다. 지구 행성의 수명은 태양계 내의 별인 태양의 폭발 시기 까지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태양의 현재 나이는 46억년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태양의 수명은 대략 100억년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54억년 뒤에 태양이 죽음에 다다르게되면 적색거성이 되며 팽창하다가 일부는 성운이 되고 핵은 백색 왜성이 됩니다. 이 때 태양이 팽창하며 여러 행성에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 때가 행성의 마지막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태양이 적색거성이 되면 크기가 100배 이상까지 커지기 때문에 지구나 화성까지 태양에 흡수될 수 있습니다. 또한 적색거성의 단계는 태양이 생을 마감하기 전 단계로 식고 있는 중이기 때문에 지금보다 추운 환경이 될 수 있습니다. 만약 크기가 많이 커진다면 화성정도까지 먹힐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4
0
0
태양은 언제 생겨났고 수명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은 별 중에 하나로, 별은 주로 핵융합 반응에 의해 빛과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태양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은 수소핵 2개가 헬륨핵이 되는 반응입니다. 이 과정에서 수소핵 2개의 질량을 더하면 헬륨핵 질량보다 큰것을 알 수 있는데, 반응 과정에서 질량 손실이 에너지로 변한 것이죠. 이를 핵융합반응이라고합니다. 이 때 손실된 질량이 에너지로 변하는 과정은 E=mc^2을 통해 계산할 수있습니다.태양의 수명은 100억년 정도이고, 현재 태양의 나이는 46억년이라고 밝혀져있습니다. 수명이 있는 이유는 태양을 구성하는 핵융합 에너지원인 수소와 헬륨의 핵융합 반응이 끝나는 때가 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4
0
0
사람은 고도가 높은 곳을 갈수록 왜 귀가 멍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높은 지대에 올라가거나 빨리 달리는 차에서 귀가 먹먹해지는 느낌을 받는 이유는 외부의 압력의 변화로인해 신체 내부의 압력을 맞춰주기 때문입니다. 이는 귀에 있는 유스타키오관에서 외부 압력과 내부압력이 평형을 이루게끔 조절을 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침을 삼키면서 압력이 맞춰지기 때문에 귀가 먹먹해지는게 풀릴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1.04
0
0
녹조나 적조가 발생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해수의 수온이 높아지고, 햇빛의 양이 많아지게 되면 바다 내의 영양분이 많아지게 됩니다. 그러면, 녹조류와 적조류, 플랑크톤의 증식이 활발해지면서 녹조, 적조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죠. 보통 무더운 여름 8~10월 내에 녹조, 적조 현상이 잘 발생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1.04
0
0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