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라이거는 왜 새끼를 못 낳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자와 호랑이를 교배해 태어난 라이거는 정상적인 교배가 아닌 다른 종끼리의 교배입니다. 그래서 온전치 못한 2세가 나오며 부작용이 따른것이죠. 라이거의 수컷은 생식 능력이 없다는 부작용이 존재하며, 암컷은 생식능력을 갖고 태어나기도 한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1
0
0
낮보다 밤에 소리가 더 퍼지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소리의 굴절 현상 때문입니다. 맑은 날 낮에는 지열로인해 지면이 하늘보다 뜨겁습니다. 이 상황에서 소리를 내게되면 지면에서의 소리의 속력이 뜨거운 지면에서 빠르고 상대적으로 차가운 하늘에서는 느려 하늘로 휘어집니다. 그래서 소리가 멀리까지 전달되지않죠. 하지만 흐린날의 경우 지면과 하늘 사이의 온도차가 맑은날에 비해 적게 납니다. 그래서 소리가 상대적으로 더 멀리까지 전달되죠. 이러한 현상은 맑은날 흐린날을 따질수도 있지만, 낮과 밤에도 적용되는 현상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1
0
0
보온병의 원리를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보온병의 보온 보냉 효과는 보온병 외부와 내부의 열교환을 차단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입니다. 보온병을 툭툭 쳐보시면 안이 비어있다는 느낌이 드실겁니다. 그 부분을 진공으로 두거나 열 전도성이 낮은 물체를 채워 넣음으로써 내외부의 열교환을 거의 0으로 만들죠. 그래서 보온, 보냉 효과를 볼 수 있죠,
학문 /
물리
22.12.11
0
0
달 모양 관련해서 질문드려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 초승달을 보고 있을 때 우리나라 반대편 나라나 위치에서는 낮이며 초승달을 볼 수 없습니다. 하지만 반대편 나라가 밤이되었을 때 그믐달 모양을 볼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1
0
0
우주를 이루는 물질중에서 가장 많은 것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관측된 물질 중 우리 우주를 구성하고 있는 것 중 가장 많은 것은 수소입니다. 가장 가벼우며 가장 안정적이기 때문이죠. 또한 우리 우주에서 직접관측되지 않았지만 간접적으로 관측된 것중 가장 많은 것은 암흑 에너지이며, 다음으로 암흑 물질이 가장 많습니다. 우리 눈에 보이는 물질은 고작 4~5%정도 됩니다. 하지만 아직 암흑에너지나 암흑물질이 어떠한것인지는 모르며 밝혀내려고 연구중에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1
0
0
정전기방지 스프레이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정전기 방지 스프레이에는 계면 활성제가 함유되어 있습니다. 계면 활성제는 수분을 잘 끌어들이는 성질이 있는데, 수분을 이불이나, 옷에 끌어들여 전기가 잘 흐르게끔(전자(-)가 잘 이동하게 끔) 만들어 줍니다. 그래서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죠.
학문 /
전기·전자
22.12.11
0
0
어둠 속에서의 시야에 대해서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빛(광자)이 한개도 없다면 볼 수 없는게 맞습니다. 하지만 지구에는 어디에나 빛이 존재하며 밤이든 낮이든 빛이 존재합니다. 왜냐하면 하늘에는 별이나 달이 떠있으며 이들은 빛을 지구에 전달하기 때문이죠. 또한 도심지에 가로등도 빛이 될 수 있어 이 빛이 창문을 통해 미량이라도 들어오면 볼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11
0
0
바다에 사는 고래가 왜 포유류일까?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포유류는 알을 낳는 단공류를 포함하여 새끼에게 젖을 통하여 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동물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포유류의 정의는 생각보다 복잡하여 여러 조건(새끼, 수유, 털, 털의 변화로 비늘 및 가시 등)을 따져 포유류인지 아닌지를 판단합니다. 그래서 고래는 젖을 통해 양분을 공급하기 때문에 포유류이며 또한 오리너구리라는 동물도 알을 통해 새끼를 낳지만 새끼에게 수유를 하여 양분을 공급하기 때문에 포유류에 속합니다. 알을 낳는 포유류는 바늘두더지도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11
0
0
타임머신의 이론적 가능은 어떤원리에서 시작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시간 여행, 날아다니는 차는 이론적으로 가능하긴 합니다. 하지만 현실에 적용하기에는 제한이 따르기 마련이죠.시간 여행의 경우 미래로는 이동이 가능합니다. 과거는 불가능하죠.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빛의 속력과 비슷한 속력으로 여행을 다녀오거나, 중력이 강한 행성을 다녀오게 되면 지구에 있는 사람들보다 시간이 느리게 흘러 마치 미래로 이동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러한 일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광속까지 얻는 추진력(에너지)이 필요하고, 광속에 비슷한 속력으로 이동하는 동안 외부와 충돌없이 안전하게 운행해야합니다. 그리고 중력이 강한 행성에 가기 위해서는 가는데 까지 필요한 연료와, 강한 중력을 견딜 수 있는 육체가 필요하죠. 그래서 영화에서는 쉽게 가능하지만 현실에선 거의 불가능하시다고 생각하시면됩니다.
학문 /
화학
22.12.11
0
0
냉장고와 에어컨은 같은원리로 냉기를 뿜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같은 원리입니다.에어컨에서 찬바람을 생성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에어컨 내부에서 순환하는 냉매가 존재합니다. 이 냉매가 외부에서 들어온 공기의 열을 기체가 되는데 사용합니다. 그러면 냉매는 액체에서 기체로 상태가 변하고, 외부 공기는 열을 빼앗겨 차가워 지는것이죠. 그래서 우리에게 시원한 바람을 제공합니다. 그리고 이 기체가 된 냉매는 물에 의해 식혀져 다시 액체가 되고, 또 다시 이 액체가 된 냉매는 외부의 공기의 열을 빼앗아 기체가 되는것을 반복하는것이죠.냉장고의 경우 냉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되어 있으며, 냉각을 많이 시킬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에어컨의 경우 냉기를 저장시키지 못하고 냉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방이나 거실단위로 크죠. 그래서 냉장고보다 에어컨의 전기 소모량이 더 클수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2.11
0
0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