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짙푸른숲새113
짙푸른숲새11322.12.11

바다에 사는 고래가 왜 포유류일까?

바다에 산다고 해서 무조건 어류가 아닙니다. 땅에 산다고 해서 무조건 포유류도 아닙니다. 포유류의 기준은 새끼를 낳아 젖을 먹여 키우는 것이라고 하는데 어류와 포유류의 구별방법 및 의미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1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어류와 포유류의 차이점은 꼬리지느러미에 있습니다.

    꼬리지느러미가 수평이면 포유류.

    꼬리지느러미가 수직이면 어류입니다.

    포유류는 폐로 호흡하고,어류는 아가미 호흡을 하고 있습니다.

    바닷속 포유류의 대표적인 포율류는 범고래,귀신고래,흰돌고래,남아프리카 물개,바다코끼리가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고래가 포유류인 이유는 알을 낳는게 아니라 새끼를 낳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고래는 아가미 호흡을 하지않고 물위로 올라와 산소호흡을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포유류의 의미는 젖먹이 동물을 의미합니다.

    포유류의 가장 큰 특징이 바로 새끼에게 젖을 먹인다는 것이죠.

    고래는 알이 아닌 새끼를 낳아 아가미가 아닌 폐로 호흡하고 새끼에게 젖을 먹입니다.

    포유류의 모든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죠.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고래는 어류가 아닌 포유류인데 어류와 다른 점이 많다. 오래전부터 고래를 어류로 알고 있었던 때가 있었다. 사실 참치와 돌고래는 겉보기에 매우 비슷하게 보인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포유류에 속하는 고래 꼬리모양이 어류와는 다르다. 고래 꼬리는 수평으로 돼있는 반면 수직으로 된 물고기의 그것과는 사뭇 다르다. 그리고 물고기는 체온이 외부 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변온동물인데 반해 고래는 체온을 유지할 수 있는 항온동물이다. 육상 포유류는 몸에 난 털이 보온 효과가 있으나 해양 포유류들은 털이 적거나 거의 없으며 대신 표피 밑에 두꺼운 지방층이 있어 바닷물에 체온 빼앗기는 것을 방지한다. 물고기는 대부분 알을 낳아 이것이 물속에서 부화해 새끼가 된다. 그러나 고래는 새끼를 낳아 젖을 먹여 키운다. 물고기는 물속에 녹아 있는 산소를 아가미를 통해 호흡하지만 고래는 수면위로 올라와 허파로 공기 호흡을 한다. 고래는 한 번 호흡하면 오랫동안 잠수할 수 있도록 적응이 돼 있다. 고래 혈액에는 헤모글로빈이 많이 들어있어 많은 양의 산소를 운반할 수 있다. 또 근육에는 미오글로빈을 함유, 산소를 저장할 수 있다. 헤모글로빈이나 미오글로빈에는 철분이 많이 들어 있는데 이것이 산소와 결합하면 붉은색을 나타내기 때문에 고래근육은 다른 동물 근육보다 더 붉게 보인다.

    출처 : 한국수산경제(http://www.fisheco.com)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상어와 고래를 예시로 들어보면,

    포유류의 가장 큰 특징은, 새끼를 낳고 젖샘이 있어 수유를 하는 것입니다.

    상어의 경우 아가미가 있고, 고래는 없는데, 이러한 점이 상어를 어류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상어의 아가미 덕에 상어는 물속에서 살 수 있지만, 고래는 물 밖으로 나와 산소를 마셔야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포유류의 가장 큰 특징은 새끼를 낳는다는 것과 젖을 먹인다는겁니다. 고래는 이런 포유류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포유류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포유류는 알을 낳는 단공류를 포함하여 새끼에게 젖을 통하여 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동물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포유류의 정의는 생각보다 복잡하여 여러 조건(새끼, 수유, 털, 털의 변화로 비늘 및 가시 등)을 따져 포유류인지 아닌지를 판단합니다. 그래서 고래는 젖을 통해 양분을 공급하기 때문에 포유류이며 또한 오리너구리라는 동물도 알을 통해 새끼를 낳지만 새끼에게 수유를 하여 양분을 공급하기 때문에 포유류에 속합니다. 알을 낳는 포유류는 바늘두더지도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포유류의 특징은 새끼를 낳아 기르고 젖을 먹입니다.

    또 고래는 꼬리를 위아래로 흔들면서 헤어치는데

    어류는 양옆으로 흔듭니다. 이게 가장 큰 차이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간이 속해있는 포유류는 젖을 분비하는 젖샘이 있어 젖으로 새끼를 키운다. 이 점은 포유류가 다른 종류의 동물과 구분되는 가장 큰 특징이다. 고래가 물고기가 아니라 포유류인 까닭도 바로 여기에 있다.

    최근 수유가 포유류의 진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연구에 따르면, 젖을 먹일 수 있도록 한 유전적 변화가 파충류로부터 포유류의 진화를 불러왔다는 것이다.

    수유와 함께 포유류가 갖는 또다른 대표적인 특징으로는 태생이 있다. 태생은 알을 깨고 태어나는 난생과 대비되는데, 어미 뱃속에서 어느 정도 자란 다음 태어나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모든 포유류가 태생인 것은 아니다. 예외적인 종류가 지구상에 딱 세 종류가 있다. 입이 오리처럼 넓적하게 생긴 오리너구리, 길고 끈끈한 혀가 있고 온몸에 가시가 돋아있는 짧은코가시두더지, 짧은코가시두더지보다 몸집이 큰 긴코가시두더지, 이렇게 세 종류의 포유류는 지금도 알을 낳는다.

    이들을 단공류라고 하는데, 단공류 역시 여느 다른 포유류와 마찬가지로 젖으로 새끼를 키운다. 그래서인지 단공류의 알은 다른 알에 비해 새끼의 성장에 필요한 노른자위가 작다.

    포유류는 약 2억년 전에 난생의 파충류로부터 처음으로 출현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포유류의 대부분은 난생에서 태생으로 전환했고, 젖을 먹이며 새끼를 키웠다. 그렇다면 젖을 먹인 게 먼저일까? 아니면 태생이 먼저일까?

    이를 알아보기 위해 스위스 로잔대학의 진화생물학자인 헨릭 캐스만 박사 연구팀은 오리너구리를 포함해 몇몇 포유류를 대상으로 수유와 난생과 관련된 유전자에 대해 비교 연구를 실시했다.

    연구팀은 먼저 알을 낳는 데 필수적인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유전자를 조사했다. 알에는 새끼가 자라는 데 중요 영양원이 되는 바텔로제닌이라는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다. 연구팀은 닭에서 이 단백질의 생산에 관여하는 유전자 세 개를 찾아냈다.

    그런 다음 연구팀은 사람, 주머니쥐, 개, 오리너구리, 이렇게 네 종류의 포유류의 게놈에서 닭에서 찾아낸 세 가지 유전자가 있는지를 조사했다. 그러자 네 포유류 모두의 게놈에는 이 세 가지 유전자와 비슷한 유전자 부위가 존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인간, 주머니쥐, 개의 경우에는 이 세 가지 유전자가 돌연변이로 인해 작용하지 않았다. 세 유전자는 순차적으로 활동이 중단되었는데, 마지막의 경우는 지금으로부터 3천만년에서 7천만년 전에 기능이 상실되었다. 반면 오리너구리의 경우에는 세 가지 중 한 유전자가 여전히 기능을 하고 있었다. 그래서 오리너구리는 여전히 알을 낳고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연구팀은 젖을 만드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를 이들 네 포유류를 대상으로 알아보았다. 그러자 네 포유류 모두에서 젖에 포함되어 있는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가 존재하는 것을 밝혀냈다. 연구팀의 분석결과, 이 유전자는 2억년에서 3억1천년 전에 살았던 포유류의 공통 조상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태생에 필요한 태반이 진화하기 전에 이미 포유류가 젖을 먹이기 시작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포유류는 알을 낳기를 그만두기 전에 이미 수유를 시작했다. 젖을 먹이면서 더 이상 새끼에게 알로 영양을 공급할 필요가 없어졌고 그 결과, 포유류는 알을 더 이상 낳지 않게 되었던 것이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수유가 포유류의 진화를 이끌었다고 해석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고래는 포유류로 분류된고 있습니다. 아가미 호흡이 아닌 허파 호흡을 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고잇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