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질량보존의 법칙을 무시하면 어떻게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질량보존의 법칙은 과거 과학의 발전과정중에서 나온 법칙으로 현재는 질량보존의 법칙이 성립하지 않음을 알게되었습니다. 그래서 지구상에서도 질량 보존의 법칙이 유지되지 않죠. 이를 알 수 있는 예시로는 핵분열(핵폭탄, 원자력 발전 등)과정이 있습니다. 핵분열 과정은 무거운 원자가 작은 원자로 쪼개지며 쪼개질 때 총 질량이 보존되지 않고 손실되는 경우입니다. 손실된 질량은 E=mc^2의 변환식에 의해 에너지로 바뀌며, 빛과 열 에너지로 발산됩니다.
학문 /
물리
22.12.08
0
0
추운 겨울날 손 과 발이 왜 가려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겨울은 북서쪽에서 불어오는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을 받습니다. 그래서 겨울동안은 춥고 건조한 기후가 유지됩니다. 겨울은 매우 건조하기 때문에 공기중과 노출된 손, 발, 얼굴 등에서 수분이 날아가 피부를 갈라지게 합니다. 그래서 피부가 갈라지며 자극을 주기 때문에 간지러움을 유발하죠.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분크림, 핸드크림, 바디 로션 등을 발라 보습하여 수분을 유지하는것이 좋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2.08
0
0
인간이 달에서 살아갈수 있는 조건이 무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이 살기 위해서는 물, 영양분(식량), 공기(산소)가 필요합니다. 달에는 물, 영양분, 공기가 전부 없기 때문에 사람이 살수 없는 환경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8
0
0
지구인이 만약 목성에 떨어지면 어떤일이 일어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목성에 떨어지게 되면 죽습니다. 목성은 지구보다 중력이 2.5배정도 더 크기 때문에, 사람이 걷기만 하여도 자신의 몸보다 무거운 짐을 짊어지고 걷는것과 같은 효과를 줍니다. 게다가 그냥 걷는 것이 아닌 떨어지게 되므로 목성 내에 있는 고체 부위의 부분과 충돌하며 죽게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8
0
0
해바라기 꽃은 왜 해를 따라 도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굴광성 식물들은 옥신이라는 호르몬에의해 해를 따라 움직입니다.해를 따라 움직이는 식물에는 옥신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됩니다. 옥신은 빛이 들어오는 방향으로 휘어져 자라게끔 만듭니다. 식물은 체내의 양분이 필요로한데, 광합성을 통해 빛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바꾸어 에너지를 얻기 위함입니다. 그래서 햇빛의 방향으로 성장하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8
0
0
지하철 손잡이 높이는 어떻게 설계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청소년부터 성인까지의 평균적인 키를 고려하여 손을 적절히 들었을 때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설치합니다. 국가마다 평균적인 신장은 다르지만, 청소년부터 성인까지를 고려하여 설치하게 될 경우 비슷한 위치로 선정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2.08
0
0
달맞이 꽃은 왜 밤에 피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달맞이 꽃의 경우 다른 꽃과 달리 독특하게 밤에 피는 이유가 있습니다. 이는 달맞이 꽃의 번식과 생존의 비결인데, 다른 꽃이 밤에 꽃잎을 닫고 질 때 달맞이 꽃 만이 나방이나 야행성 곤충에 의해 꽃가루받이를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8
0
0
가장 강한 곤충은 어떤게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가장 강한 곤충을 말할 때 가장 강한이라는 기준이 모호합니다. 추위에 가장 강할 경우도 있으며, 더위에 가장 강할 경우도 있고, 물없이 살아가는데 있어 가장 강한 곤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죠. 기준을 정해주시면 그에 대한 답변을 달아드리겠습니다.참고로 추위에 가장 강한 곤충은 알레스카 딱정벌레로 영하 60도까지 버틸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08
0
0
기름진 음식을 먹을때 비닐장갑을 끼고 먹어도 기름이 묻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름은 아주 작은 입자(분자)로 이루어져있습니다. 그리고 비닐장갑은 완전히 막혀있는 것이 아닌 아주 미세한 틈이 존재합니다. 작은 기름 입자가 비닐장갑의 아주 틈새사이로 통과하여 손에 닿게 되는 것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2.08
0
0
거울의 원리가 무엇인가요 어떻게 모습이 비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 유리 뒷면에 아말감, 수은 등으로 코팅처리를 하면 빛을 반사하는 거울을 만들 수 있습니다. 거울은 빛을 정반사하기 때문에 사물들의 모습이 그대로 보입니다. 우리 눈은 빛이 들어오는데로 사물을 식별합니다. 빛이 사물에 반사되어 거울로 들어가고 다시 거울에서 반사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우리가 거울로 사물을 볼 수 있는 이유입니다.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일반 유리 뒷면에 아말감, 수은 등으로 코팅처리한 것입니다. 초기의 거울은 구리를 매끈하게 갈아 반사되는 빛을 통해 모습을 보는 원리로 사용했다고 합니다. 물체의 표면을 매끈하게 만들어주면 빛을 잘 반사하기 때문에 금속(금, 은, 동 등)의 경우 거울 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학문 /
물리
22.12.08
0
0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