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세상에서 제일 가느다란 것은 뭐 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가장 가르다란 것은 빛 입자 한개라고 볼 수 있습니다. 광자(빛)는 질량이 없는 물질이며 두께도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2.06
0
0
남극에서 사는 동물은 북극에서 살 수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펭귄은 북극에 살 수 있으며 실제로도 실험한 사례도 존재합니다. 물론 북극곰 또한 남극에서 살 수 있습니다. 북극과 남극은 환경이 비슷하기 때문에 펭귄이나 북극곰이 살기에 두 곳다 적합한 환경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6
0
0
세탁용 세제가 빨래가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세제에 포함된 성분(분자)에는 친수성과 친유기성을 띠는 성질을 가진 분자가 존재합니다. 그래서 기름 때 부분에는 친유기성이 기름 입자를 감싸게 되고 감싼 부분 표면은 친수성의 성질을 띠기 때문에 물에 잘 녹을 수 있죠. 그래서 기름때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12.06
0
0
스텔스 전투기는 어떻게 레이더에 안잡히나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스텔스기는 눈으로는 관측이 되지만, 레이더 망에는 포착이 되지않습니다. 보통 비행기의 위치를 파악할 때 레이더를 사용하며, 이는 비행체에 전파를 보내 반사되어나오는 전파를 다시 받는 식으로 감지를 합니다. 그런데 비행체가 없다면 당연히 전파는 반사되지않고 되돌아오지도 않지요. 스텔스기는 이 원리를 역이용하여 스텔스기로 들어오는 전파를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 전파망에 포착되지 않게합니다. 그래서 레이더망에 포착되지않죠.
학문 /
전기·전자
22.12.05
0
0
낮에는 해가 보이고 밤에는 별과 달이 보이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자전도 합니다. 자전에 의해 태양이 보이고 안보이기를 반복하죠. 그래서 태양이 보일 때를 낮이라고 하며, 낮에는 태양 빛이 너무 밝아 하늘에 떠있는 별을 볼 수 없습니다. 또한 태양이 보이지 않을 때를 밤이라고하며, 태양 빛이 없어 어둡기 때문에 하늘에 떠있는 별빛을 볼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5
0
0
딥런닝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뜻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머신러닝은 데이터를 사용하여 학습을 시켜 모델을 생성하고, 이 모델에 새로운 데이터를 넣어 예측 값을 얻어내는 방법입니다. 딥러닝은 스스로 학습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모델을 생성해 새로운 데이터를 넣어 예측값을 얻어냅니다. 또한 새로운 데이터를 활용해 스스로 학습이 가능합니다. 즉, 데이터가 주어지면 스스로 분류하거나 모델을 형성할 수 있죠.
학문 /
기계공학
22.12.05
0
0
물리 마력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말의 힘을 마력이라고 하죠. 마력은 말이 끄는 평균적인 힘으로 나라마다 조금씩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영국에서의 마력을 기준으로 1마력( 1hp (horsepower) ) = 745.7W입니다. 즉, 말은 1초에 745N을 1m 들어올릴 수 있습니다. 다시말하면, 말의 힘으로 1초에 75kg의 물건을 1m 들어올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말의 힘의 정의는 과거 말의 기준으로 평균적으로 끌어 당기는 힘으로 말이 걸으면서 끄는 힘이나 세게 끄는 힘으로 측정한 정도입니다. 현재의 말은 과거보다 잘먹고 운동 체계도 갖춰져 있기 때문에 훨씬 셉니다. 보통 4마력(4hp) 정도의 힘이라고 합니다. 강한 말의 경우는 4마력보다 센말도 존재합니다.
학문 /
물리
22.12.05
0
0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은 어느 행성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을 제외하고 태양계에서 가장 큰 천체, 가장 큰 행성은 목성입니다. 목성은 지구의 지름의 약 11배 가량 크며, 크기는 약 1400배 정도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5
0
0
인류 역사상 최초의 우주선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공식적인 세계 최초의 우주선은 1957년 소련에서 발사한 스푸트니크 1호 우주선으로 인공위성을 위해 쏘아올린 우주선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2.05
0
0
액화 현상에대한 궁금증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뜨거운 차에서 증발하는 수증기(기체)가 공기 중의 기체에게 열을 빼앗기면서 온도가 떨어지게 되는데, 그러면서 액화가 되어 뿌옇게 보이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2.12.05
0
0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