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인간뇌의 능력은 어디까지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의 뇌는 대부분이 사용됩니다. 각 부분에 따라 하는 역할이 다르며 다른 행동에 대해서 각기 반응하는 뇌의 영역도 다릅니다. 뇌파를 분석하고 연구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이러한 분야에 대해 초점을 맞춰 찾아보시면 조금 더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듯 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30
0
0
과학이 엄청 발전했는데도 불구 하고 전쟁은 왜 안끝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쟁과 과학의 관련도가 어느정도 있지만 과학의 발전이 전쟁의 종식이라고 볼 순 없습니다. 단순한 예시로 과학이 발전하였지만 우리는 여전히 누군가에게 화를 내고, 누군가와 다툼을 하죠. 이는 과학의 발전과는 무관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30
0
0
지금 컴퓨터는 몇 비트 시대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컴퓨터는 기본적으로 2비트 체계를 사용하며, 현재의 윈도우는 32비트 운영체제나 64비트 운영체제를 사용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30
0
0
새 중에 매는 하늘에서 높이 떠서 한참동안 날개짓을 하지 않고도..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새가나는 원리는 비행기가 양력을 이용해 날아가는 원리와 비슷하지만, 추진력을 얻는데 있어 작용-반작용을 사용합니다.비행을 하는데 크게 두 가지 원리가 있습니다. 첫째, 양력을 얻는 원리가 있으며 둘째론 작용-반작용이 있습니다.양력을 얻는 원리는 압력차에 의한 힘에 의한 것입니다. 이는 비행체가 추진력(속력)을 얻고 난 뒤부터 지속적으로 하늘에 떠있을 수 있는 원리입니다. 비행체의 날개에서 주로 얻게되는데,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으로, 아랫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하여 윗부분에서 공기의 흐름, 유속을 빠르게 해줌으로써 압력을 낮추는 것입니다. 그러면 날개의 아랫부분에서 윗부분으로 힘을 받게되어 뜰 수 있습니다. 비행기나 새의 날개의 경우 양력을 얻기에 적합한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 아랫부분은 평평하죠.작용-반작용은 새의 날개짓을 통해 공기를 지면으로 밀어내는 힘(작용-반작용)으로 새가 뜰 수 있는 추진력을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행하기 위해 초반에 강한 날개짓을 통해 공기를 지면으로 수직하게 튕겨내면서 새의 몸체가 위로 뜰 수 있는 것이죠. 그리고 날개짓으로 추진력을 얻고 양력을 통해 비행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즉, 새가 제자리 비행을 할 수 있는 이유는 날개의 모양에 의해 양력을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30
0
0
갑자기 돌풍이 부는원인은 왜그런지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람은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작용합니다. 기체의 이동은 온도차, 기압차에 의해 발생하고 이게 곧 바람이 되는것이죠.잔잔하다가 갑자기 돌풍이 부는 이유 또한 작은 지역적으로 큰 온도차, 기압차가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학문 /
화학
22.11.30
0
0
CO2용접기에 CO2가 필요한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CO2가 필요한 이유는 용접시 공기 중 산소, 질소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30
0
0
탈취제는 냄새를 없애나요 덮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탈취제는 냄새 분자를 흡착시켜 떨어뜨리거나 가두는 방식입니다. 냄새는 분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기중을 떠도는 기체로 구분됩니다. 이러한 기체를 탈취제가 끌어들여 무겁게 만들어 떨어뜨리거나 탈취제 내에 기체 분자를 흡착시켜 잡아두는 방식이죠.
학문 /
화학공학
22.11.30
0
0
지구온난화 때문에 날씨 변화가 심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과거와 달리 기후의 패턴이 변하는 이유는 지구온난화의 영향일 수 있습니다. 물론 100% 지구 온난화로 인해 이러한 현상이 발생한다고는 말씀드리기가 어렵습니다. 기후의 경우 다양한 변수로 인해 매번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죠. 오늘과 같이 추운 날 또한 비가 온 뒤 충분히 발생할 수 있는 기후 변화입니다. 비가 올 경우 찬 기단과 따뜻한 기단이 만나면서 비가 내릴 수 있는데, 비가 내리고 난 후 찬기단이 우리나라를 점유하며 기온이 급격히 낮아지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30
0
0
전기자동차가 새로운 전환기를 맞아 요즘 활황인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전기자동차의 단점은 장시간 사용이 어렵다는 점입니다. 즉, 전기를 이용한 배나 비행기의 경우는 한계가 분명합니다. 왜냐하면 배나 비행기는 대부분 장시간 이용하며, 에너지가 많이 들기 때문입니다. 물론 기술이 발달하여 전기 베터리의 기술이 좋아져 소형으로 만들어지면 이 때에는 충분히 가능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30
0
0
볼록거울과 오목거울의 차이점은?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볼록거울은 넓은 범위를 보여주는 대신 크기가 작게 보여 실제 거리보다 멀리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볼록 거울은 사이드 미러, 편의점이나 마트 내에 모서리 부분에 사용되는 방범용 거울로도 사용됩니다.오목거울은 좁은 범위를 보여주며 크기를 크게 보여줍니다. 즉, 빛을 모아주는 역할을 하죠. 이러한 오목 거울은 전파 망원경, 안테나, 태양열 발전 등에 사용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1.30
0
0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