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지금 과학수준으로 인간의 달착륙이 힘든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어떤 기사인지 링크를 첨부해주시면 더욱 답변을 다는데 수월하겠습니다.기사를 보니 130km까지 최근접하면서 유인우주선으로 가장 멀리 비행기록을 세웠다고 하네요.인간의 달 착륙은 가능하지만 쉬운 기술이 아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실험하고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3
0
0
우박의 생성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은 수증기, 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높은 상공에서 낮은 온도에 노출된 구름 속 물은 얼기 시작하죠. 그리고 얼음 알갱이는 주변 수증기, 물 등과 접촉하며 얼음 알갱이의 크기가 커지게 됩니다. 이때 특정 크기 이상으로 커지게 되면 이 얼음 알갱이가 무거워져 지상으로 떨어지는것이죠. 이를 우박이라고하죠.
학문 /
생물·생명
22.11.23
0
0
색맹 은 어떤 원리로 나타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색맹, 색약은 유전적 요인입니다. 쌍커풀, 귓볼, 홍채의 색과 같이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 중 하나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23
0
0
풍력 발전기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풍력 발전기의 경우 거대한 크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효율성을 따져보아야합니다. 그 지역의 평균 풍속을 측정하고 이 풍속에 대해 가장 잘 돌아갈 수 있는 날개를 제작해야하죠. 그리고 날개의 크기가 크면 무게 때문에 더 안돌아갈 수 있으며, 너무 작으면 바람의 영향을 덜 받아 회전하지 않을 수 있죠. 이를 고려하여 제작한 것이 지금의 풍력 발전기의 날개입니다. 즉, 너무 크기가 크면 바람은 많이 맞을 수 있지만, 무게 때문에 잘 돌아가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23
0
0
겨울이 되면 베란다 창에 물이 많이 생기는 원인을 과학적으로 설명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습기가 창문에 생기는 이유는 외부와 내부의 온도차가 심할 때 생길 수 있습니다.집에서 난방을 틀고 생활하다 보면 집안 공기 중에 수증기가 많아집니다. 또한 습한날에는 더욱 많죠. 그런데, 추운 겨울 집 밖은 차갑고 집안은 따뜻할 경우 집 창문은 밖의 온도에 의해 차가워집니다. 그리고 공기중에 떠돌던 수증기가 창문에 닿게되면 열을 빼앗겨 물이되면서 습기가 되는 것이죠.
학문 /
토목공학
22.11.23
0
0
바닷가 갯벌에 빠졌을 때 잘 빠져나올 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갯벌에 빠지게 되면 최대한 움직임을 줄이고 눕는 자세를 취해 갯벌과 닿는 면적을 높여 저항, 마찰을 올려야합니다. 그래야 갯벌에 빠지지 않죠. 또한 갯벌은 사람의몸보다 밀도가 크기 때문에 당황하여 허우적거리지만 않으면 뜰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허우적거리지 않으며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사람이 없을 경우에는 누운 상태에서 발을 펴고 수영하듯이 조금씩 저어주면 빠져나올 수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23
0
0
사람이 물 위를 걸을 수 있는 조건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이 물위를 달리기 위해서는 112km/h 이상의 속력으로 질주하셔야합니다. 사람의 몸의 밀도는 수영장이나 계곡, 바닷물의 밀도보다 낮기 때문에 보통은 뜹니다. 그래서 수영을 할 수 있죠. 하지만 걷기위해서는 발에 넓은 튜브나 부력이 높은 물체를 두고 올라서 걸어야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23
0
0
물에도 유통기간이라는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물에도 유통기한이 있습니다. 하지만, 물을 보관할 때 햇빛이 들지 않고 서늘한 곳에 보관하면 적힌 유통기한보다 길게 드실 수 있습니다. 유통기한이 있는 이유는 햇빛을 받거나 온도가 올라가면서 물의 맛이 변질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햇빛이 드는 곳에 두게되면 pet병에서 포름알데히드, 안티몬 등의 유독물질이 나올 수 있습니다. 물론 굉장히 작은 양이며 인체에 거의 무해하지만 햇빛에 오래 두게 되면 좋지 않죠.
학문 /
화학
22.11.23
0
0
도로 터널의 조명은 왜 오렌지색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과거에는 수명이 길고 교체주기가 긴 나트륨 램프를 사용했기 때문에 주황색등이 가득합니다.또 다른 이유는 주황색 불빛이 눈부심을 줄여주며 주변 차량의 움직임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는 조명이기 때문이며, 운전자에게 긴장감을 높여주는 색상이기 때문에 주황색 불빛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요새는 하얀색 LED 등으로 교체하는 추세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23
0
0
가을이 오면 나무잎들의 색이 다 다르게 변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봄부터 여름까지 엽록소가 만들어지면서 초록 잎을 유지하였지만 가을이 되면서 이 엽록소가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이유는 떨켜층에 의해 나뭇잎에 수분이 부족해지고 영양분이 쌓여 산성을 띠게 되면서 엽록소가 분해됩니다. 엽록소가 분해되며 노란, 주황, 빨강, 핑크 등으로 색이 바뀌어 단풍이 지는 것입니다.또한 색이 다른 이유는 색소의 종류와 함유량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붉은색은 엽록소가 분해되며 안토시아닌을 생성하며 띠게되고, 노란색은 크산토필, 카로티노이드가 생성되면서, 갈색은 크산토필, 타닌이 생성되면서 띠게되는 색입니다.엽록소가 분해되는 이유는 겨울 동안 나무는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고 나무 내에 있는 수분을 최소화(수분이 얼면 부피가 증가해 손상을 입기때문에)하는 작업을 시작합니다. 그 중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잎과 나뭇가지 사이에 떨켜층을 형성하여 나뭇잎에 수분 공급을 중단시키고 나뭇잎으로부터 에너지(양분) 공급을 중단 받아 나뭇잎의 농도가 올라 산화되면서 엽록소가 분해돼 단풍이 들게하며 이후에 낙엽이 되어 떨어지게 만들죠.
학문 /
화학
22.11.23
0
0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