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rogermaan
rogermaan22.11.23

우박의 생성 원리는 무엇인가요

하늘에서 떨어지는 우박은 비와 눈과는 확실히 다르더라고요 상당히 위험해 보이던데 우박이 생성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수증기, 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높은 상공에서 낮은 온도에 노출된 구름 속 물은 얼기 시작하죠. 그리고 얼음 알갱이는 주변 수증기, 물 등과 접촉하며 얼음 알갱이의 크기가 커지게 됩니다. 이때 특정 크기 이상으로 커지게 되면 이 얼음 알갱이가 무거워져 지상으로 떨어지는것이죠. 이를 우박이라고하죠.


  • 우박은 대기 상층에 있는 차가운 공기와 바로 아래에 있는 따뜻한 공기가 상승할 때 생깁니다.

    상승한 공기가 주변의 공기보다 따뜻하여 부력을 받아 더 높은곳으로 상승하게 되어

    구름 속의 얼음 입자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물방울이 계속 얼음에 달라 붙어 점점 커지게 되어 우박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23

    구름이 상층의 매우 낮은 영하 40도정도의 대류를 만나면 구름속의 미세 물방울(수증기)은 얼음이 됩니다.

    이 미세 물방울은 주위의 빙정들과 서로 달라붙게 되고 커지면 떨어지는데 이것이 눈입니다.

    냉장고를 열게 되면 하얀 구름 같은 것이 나오게 되는것을 보실수 있을겁니다.

    이것은 공기중의 수증기가 냉장고의 차가운 온도 때문에 순간적으로 빙정이 되는 현상입니다.

    이 미세한 수증기 빙정이 서로 달라 붙으면 눈이 되는 것입니다.

    눈이 내려오다가 하층의 더운 공기를 만나면 일부 녹으면서 진눈깨비가 됩니다.

    하지만 이 눈이 떨어질때 지표에서 올라오는 강한 상승기류가 있다면 상승기류로 인해 다시 하늘로 올라가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구름에 있던 물방울이나 다른 빙정들과 달라붙어 더 큰 덩어리가 되고 지표에서 올라오는 상승기류보다 무겁게 되면 아래로 떨어지는데 이것이 우박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은 비가되어 떨어지기 전 강한상승기류에 의해 다시구름속으로들어가 위아래로이동하며 물방울들을 흡수하고 얼어붙게됩니다.


    점점 무거워지다가 상승기류를 이겨내면 땅으로떨어지게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구름에는 빙정이라는 아주 작은 얼음 알갱이들이 떠 다닙니다.

    이 빙정은 과냉각 된 물방울과 주변의 수증기를 흡수하여 점차 커지게 되고 자신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낙하하게 되면 우박이 됩니다.

    그 과정에서 상승기류를 만나 다시 상승하여 주변 수증기와 물방울을 흡수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면 점차 우박의 크기는 커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