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자리를 음력으로 봐야 정확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별자리는 양력으로 보시는게 정확합니다. 월별 대표 별자리가 존재하며, 이에 따른 별자리는 양력을 기준으로 정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1
0
0
액상비누가 거품이 되는 원리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샴푸나 린스, 로션 등 대부분의 펌프는 펌프 부분과 빨대(용액을 끌어올리는 부분)부분으로 나뉩니다. 펌프를 누르면 빨대 부분과 펌프부분의 부피가 줄어들면서 용액을 끌어올리게 됩니다. 그래서 펌프를 누르면 용액이 끌어올라 오면서 빨대에 차있던 용액을 밀어내며 우리의 손으로 나오는것이죠.그런데 특정 물비누의 경우에는 펌프 부분에 공기가 들어가는 공간이 넓게 형성되어있습니다. 펌프를 누를 때 펌프 부분에 차있던 공기와 물비누(용액)가 섞이며 분출되는것이죠. 펌프를 떼면 다시 공기가 펌프 부분에 주입됩니다. 공기와 물비누가 뒤섞이면 거품이 형성되는 원리(거품은 비누막이 공기를 감싸면서 형성됨)를 사용하여 만든것이죠.
학문 /
화학공학
22.11.21
0
0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다는데 지구온도가 왜 낮은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온도는 1.5도를 훨씬 넘는 평균 온도 16도 이상입니다.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다고 지구온도가 꼭 3도가 상승하진 않습니다. 3도보다 조금 낮게 상승할수도 있고, 더 높게 상승할 수도 있습니다. 3도는 예측값으로 정확한 값은 아닙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1
0
0
우주에있는 행성들의 생성과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초기 우주에 가스와 먼지, 입자들이 운동을 하고 있었을 것이며, 중력에의해 집단을 형성해가며 태양과 같은 별이나 행성이 만들어졌습니다. 이 과정에서 질량을 가진 두 물체에 대해 운동을 하고 있을 경우 원, 타원 궤도 운동이 가능합니다. 물론 쌍곡선 포물선과 같은 운동도 가능합니다. 여기서는 태양계의 형성과정에 초점을 두며 타원 궤도 운동을 하고 있었다고 생각할 수 있죠. 이 때 궤도 운동을 시작할 당시 가스, 먼지의 각운동량(회전)이 정해졌을 것입니다. 각운동량은 천체 운동에서 보존되는 물리량 중 하나입니다. 이 각운동량(회전)의 방향이 반시계 방향이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행성이 반시계방향으로 공전과 자전을 하는것이죠. 만약 초기의 각운동량이 모든 물질이 제각각이었다면 시계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행성이 여럿 있었을 것이며, 초기 각운동량의 방향이 시계방향이었다면 대부분의 행성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었을 것입니다.물론 현재도 행성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겪고 있는 계가 있을 것입니다. 아주 오랜기간 천천히 뭉쳐 행성이나 별과 같은 천체를 만들기 때문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1
0
0
흰색은 어떤 원리로 빛을 반사하는 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색깔의 정의를 이해하시면 좋을듯 합니다.모든 빛을 반사하는 성질을 가진 물질의 색은 흰색으로 정의하였습니다.그리고 모든 빛을 흡수하는 성질을 가진 물질의 색을 검은색으로 정의하였고요.또한, 파란색(특정색) 파장의 빛만을 반사하는 물질을 파란색(특정색)이라고 정의하였습니다.그래서 흰색은 모든 빛을 반사합니다. 질문자님의 질문은 정의의 문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학문 /
물리
22.11.21
0
0
안 좋은 기억은 빨리 지워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상황과 경우에 따라, 사람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보통 힘들거나 안좋은 기억이 강하게 남습니다. 하지만 너무 충격적인 경험이나 사건에 대해서는 그 충격으로 기억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훗날에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도 존재하죠. 군대 시절의 경우 크게 기억날만한 사건이 없었다면 기억나지 않을 수 있으며, 전역 이후 회상하거나 이야기를 한적이 없다면 더더욱 기억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21
0
0
지난 주말에 가까운 바닷가 방파제로 가족 낚시를 가서...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닷물과 민물은 환경이 다릅니다. 바닷물에는 염분이 가득하며, 민물은 염분이 없습니다. 바닷물에 살고 있는 물고기들은 염분이 있는 환경에 적응하였기 때문에 물고기의 몸에서 삼투현상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민물에 가게되면 물고기 몸 내의 농도가 높아 삼투현상이 일어나 물이 유입돼 죽을 수 있습니다. 민물고기의 경우는 반대로 바다로 가게되면 삼투현상에 의해 몸내의 농도가 낮아 바다로 물이 빠져나가 말라 죽을 수 있습니다.반면에 연어, 황어, 송어 바다에 살다 강으로 알을 낳으러 가고, 뱀장어의 경우는 강에 살다 바다에 알을 낳으러 갑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1.21
0
0
코로나는 재감염되면 위험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든 바이러스에 해당되는 말입니다. 바이러스는 변형, 변이가 잘되며 우리가 코로나나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갖게 되어도 변이나 변형을 일으킨 바이러스에 의해 재감염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 감염은 기존 바이러스보다 약할 수 있으며, 더욱 강할 수도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21
0
0
과학적으로 불꽃슛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불이 붙기 위해서는 열(불)과 산소와 연료(비닐, 종이, 나무, 가스 등)가 있어야합니다. 즉, 연료는 축구공, 배구공, 피구공 등이 될 수 있으며, 산소는 공기중에 충분히 존재합니다. 문제는 열인데, 강한 슛을 통해 공의 속도를 굉장히 빠르게 해주면 공기와의 마찰로 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열기가 공을 발화시키면 불꽃슛이 가능하죠. 하지만 불을 붙이기 위한 마찰열을 만들기 위한 공의 속력은 음속의 3배 이상은 나와야합니다. 마하 3이상, 초속 1000m 이상입니다.
학문 /
물리
22.11.21
0
0
벌써 12월이 다가오는데 날씨가 왜 이렇게 따뜻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온난화의 영향도 있으며, 기단의 영향도 있습니다. 단순히 우연하게 따스한 기단의 세력이 강해 잠시 따뜻할 수 있으며, 비가 오기전일 경우 따뜻할 수 있습니다. 물론 온난화의 영향으로 이러한 현상이 생기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21
0
0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