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외계 생명체는 정말로 존재 하는것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미지인 영역이라 정확하게 과학적인 증거를 대며 답변이 어렵습니다. 우리는 아직 태양계도 제대로 파악한적이 없고 외부 은하나 외부 행성에 대해 망원경으로 관측한 사실만 있을뿐 행성 내부에 어떤 원소나 존재가 있는지는 무지합니다. 그래서 외계생명체로 발견된 흔적은 아직 없죠. 혹시나 이 드넓은 우주에 생명체가 존재하고 우리가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있다면 가까운 미래에 발견할 확률도 존재합니다. 또한, 개인적으로는 외계 생명체가 존재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3
0
0
구름색이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하얀 구름은 수증기와 물 분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물 분자의 크기가 다양한 크기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크기의 입자가 존재하면 특정 파장의 빛만 산란 되지 않고 모든 파장 영역대의 빛이 산란할 수 있습니다. 빨간색 빛, 노란색 빛, 초록색 빛, 파란색 빛 등 모든 빛이 구름내에 존재하는 물 분자로부터 산란이 가능하죠. 모든 색의 빛이 산란되고 빛의 합성으로 인해 하얀색 빛으로 우리눈에 들어오게 되어 구름이 하얗게 보입니다.먹구름(회색 구름)은 비가 내릴 수 있는 구름이고, 일반구름과 달리 수증기, 물의 함량이 높고 물방울의 크기가 큽니다(비내리기 직전, 비가 내리고 있는 상황). 그래서 빛이 먹구름 내에 물방울에 산란하지 못하고 흡수되어 어둡게 보이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3
0
0
J1407 B라는 외계행성은 태양계보다 큰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J1407 B 라는 외계행성은 고리를 다 포함해도 태양계보다 크지 않습니다. 반경은 0.4AU 정도로 지구와 태양사이거리의 40퍼 정도를 차지하고 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3
0
0
뜨거운물이 찬물보다 더 빨리 어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음펨바 효과인 찬물과 뜨거운 물 중 어느 것이 더 빨리 어느냐에 대해 완벽히 풀리지는 않았습니다. 찬물이 뜨거운 물보다 빨리 어는 것이 상식적이고 어느 정도 맞는 이야기지만, 뜨거운 물이 찬물 보다 빨리 어는 것을 관측한 사실도 있기 때문이죠. 또한, 이 관측 사실에 대해 실험조건이나 환경등에 영향을 받아 뜨거운물이 찬물보다 빨리 얼었다라는 반박도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로썬 다양한 변수에 의한 조건과 환경에 따라 뜨거운물이 빨리얼수도 있고 찬물이 빨리 얼수도 있다라고 밖에 대답을 못드리겠습니다.
학문 /
화학
22.11.13
0
0
봄가을에 일교차가 큰 이유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계절이 바뀌는 시기(여름->가을)에는 낮에는 햇빛의 양이 여전히 강하며, 한랭한 기단과 온난한 기단이 세력 싸움을 하는 시기입니다. 그래서 낮에는 따스하며 맑은 공기를 느낄 수 있죠. 그리고 저녁이 되면서 햇빛이 사라지며 한랭한 기단의 영향을 받아 급격히 쌀쌀해지죠. 그래서 환절기에 일교차가 심하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2.11.13
0
0
비가 올때 관절이 쑤시는다는 연관성이 과학적으로 증명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기압의 변화때문입니다. 비가 오기전에는 저기압이 형성되고 이러한 기압의 변화가 뇌의 시상하부를 자극해 교감신경을 활성화 시킵니다. 교감신경의 활성화로 신경말단에 노르아드레날린이 분비되는데 이러한 호르몬이 관절 주위 신경을 자극하며 통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몸이 쑤시는 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11.13
0
0
새는 어떻게 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새가나는 원리는 비행기가 양력을 이용해 날아가는 원리와 비슷하지만, 추진력을 얻는데 있어 작용-반작용을 사용합니다.비행을 하는데 크게 두 가지 원리가 있습니다. 첫째, 양력을 얻는 원리가 있으며 둘째론 작용-반작용이 있습니다.양력을 얻는 원리는 압력차에 의한 힘에 의한 것입니다. 이는 비행체가 추진력(속력)을 얻고 난 뒤부터 지속적으로 하늘에 떠있을 수 있는 원리입니다. 비행체의 날개에서 주로 얻게되는데,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으로, 아랫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하여 윗부분에서 공기의 흐름, 유속을 빠르게 해줌으로써 압력을 낮추는 것입니다. 그러면 날개의 아랫부분에서 윗부분으로 힘을 받게되어 뜰 수 있습니다. 비행기나 새의 날개의 경우 양력을 얻기에 적합한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 아랫부분은 평평하죠.작용-반작용은 새의 날개짓을 통해 공기를 지면으로 밀어내는 힘(작용-반작용)으로 새가 뜰 수 있는 추진력을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행하기 위해 초반에 강한 날개짓을 통해 공기를 지면으로 수직하게 튕겨내면서 새의 몸체가 위로 뜰 수 있는 것이죠. 그리고 날개짓으로 추진력을 얻고 양력을 통해 비행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13
0
0
스프레이 파스가 효과파른 이유는 무엇이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파스는 진통제 효과, 소염 치료효과가 있는 약물을 체내에 스며들게 하는데, 이 때 사용되는 과학적 원리는 삼투압 원리입니다.파스의 살리실산메틸이 피부로 흡수되면 항염작용이 일어나 염증 효과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염증 효과는 피부와 체내 근육에 자극감을 주어 아픈 부위의 통증이 덜 인식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또한 살리실산메틸이 분해될 때 메탈올이 생기는데, 메탄올이 증발하며 시원함을 느낌니다. 또한 파스에는 멘톨 성분이 있습니다. 멘톨 성분은 혈관을 수축하고 피부를 냉각시켜 시원한 느낌이 들게하며 통증을 완화시킵니다.
학문 /
화학
22.11.13
0
0
물질이 불완전연소하면 까매지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질문자님 생각이 맞습니다. 빛을 다 흡수해서 검정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색을 결정하는것은 분자나 원자에 의한 것으로 빛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입니다. 탄 물질은 대부분 탄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탄소는 모든 빛을 흡수하여 검은색으로 보이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탈 때 나오는 연기에 포함된 성분이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가 많기 때문에 검은색이나 회색 빛을 띱니다. 즉 이러한 연기는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는 분자나 원자가 포함되어 있어 어둡게 보이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2.11.13
0
0
공기중에는 산소도 있지만 질소외 다른 기체도 있는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공기 중 산소 외 대부분의 기체는 거의 그대로 나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즉, 산소만이 우리 몸에 흡수되어 에너지를 생산하는 호흡 작용을 하죠. 하지만, 스쿠버다이빙의 경우 질소나 산소도 과하게 흡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질소 중독 또는 산소 중독에 걸려 판단력이 흐려지거나 뇌에 환각 증세가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질소나 산소 중독에 걸리는 이유는 강한 기체 압력 때문에 체내에 흡수되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우리가 살고있는 공기중에는 중독을 일으킬만한 압력이 아니기 때문에 온전히 생활할 수있죠.
학문 /
화학
22.11.13
0
0
190
191
192
193
194
195
196
197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