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22.11.13

새는 어떻게 날 수 있을까요?

날개는 달렸지만

날아오르는 모습을 보면 그다지 날개를 힘껏 움직이는 것 같지도 않습니다

아무리 날개가 있어도 몸의 무게가 있는데

어떻게 추락하지 않고 날아다닐 수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13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새가 하늘을 비행하는 원리는 비행기의 원리와 비슷합니다. 새의 날개도 비행기와 유사하게 단면이 유선형으로 되어 있습니다. 날개의 윗면은 둥글게 되어있고 아랫면은 납작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 위쪽과 아랫쪽의 공기 속도에 차이가 발생하여 위로 뜨는 양력이 작용합니다. 새는 뼈속이 비어있어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비행하기에 적합한 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새는 비행기에 있는 엔진이 없어서 공기를 아래로 밀어보내는 힘으로 떠오를 수 있습니다. 날개를 들어 올릴 때는 깃을 세로로 세워서 저항을 작게하고, 날개를 내릴 때 일제히 깃털을 닫아서 공기저항을 최대로 만들어서 상승합니다. 날개를 힘껏 움직이지 않아 보여도 공중에 떠 있을 수 있는 것은 상승기류 만으로 공중에서 비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날개의 길이와 폭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 새는 가슴 근육이 매우 발달하였고, 뼈가 비어 있어 몸무게가 매우 가벼운 동물입니다.

    새가 날개짓을하면서 생긴 추진력으로 하늘을 날 수 있고,

    날개를 움직이면서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기 때문에 위, 아래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처음 날아오를 때 날개의 퍼덕임으로 날아오른 뒤 날개를 크게 뻗어 양력을 최대로 받습니다.


    고도가 내려가면 다시 날개짓을 하여 고도를 높여주게됩니다.


    감사합니다.


  • 날개를 이용하여 바람을 일으키고 추진력은 얻어 날수 있습니다.

    꼬리를 방향을 조정하고 균형을 잡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몸을 가볍게 하기위해 몸속에는 공기주머니를 가지고 있고, 뼈는 속이 비어 있습니다.

    또한 배설물을 바로 배출할수 있도록 대장은 없으며, 직장은 최소화 되어 있습니다.

    방광도 없고 항문과 요도도 하나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큰 날개, 균형잡을수 있는 꼬리, 몸속의 공기주머니, 바람을 유연하게 흐르게 할수 있는 유선형의 몸체등이 종합되어 새는 하늘을 잘 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가나는 원리는 비행기가 양력을 이용해 날아가는 원리와 비슷하지만, 추진력을 얻는데 있어 작용-반작용을 사용합니다.

    비행을 하는데 크게 두 가지 원리가 있습니다. 첫째, 양력을 얻는 원리가 있으며 둘째론 작용-반작용이 있습니다.

    양력을 얻는 원리는 압력차에 의한 힘에 의한 것입니다. 이는 비행체가 추진력(속력)을 얻고 난 뒤부터 지속적으로 하늘에 떠있을 수 있는 원리입니다. 비행체의 날개에서 주로 얻게되는데,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으로, 아랫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하여 윗부분에서 공기의 흐름, 유속을 빠르게 해줌으로써 압력을 낮추는 것입니다. 그러면 날개의 아랫부분에서 윗부분으로 힘을 받게되어 뜰 수 있습니다. 비행기나 새의 날개의 경우 양력을 얻기에 적합한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 아랫부분은 평평하죠.

    작용-반작용은 새의 날개짓을 통해 공기를 지면으로 밀어내는 힘(작용-반작용)으로 새가 뜰 수 있는 추진력을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행하기 위해 초반에 강한 날개짓을 통해 공기를 지면으로 수직하게 튕겨내면서 새의 몸체가 위로 뜰 수 있는 것이죠. 그리고 날개짓으로 추진력을 얻고 양력을 통해 비행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몸의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배설물을 담아두는 직장과 방광이 없습니다. 새가 똥을 많이 싸는 이유죠.

    그리고 새의 깃털은 매우 가벼우며 얇고 밀도가 낮은 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새의 폐에는 기낭이라는 공기주머니가 있어 몸을 가볍게 하고 공중을 잘 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큰 비행기가 나는것을 보면 그리 신기한 일도 아닐겁니다. 어떤 물체의 Lift force가 크면 떠오릅니다. 새는 전체 표면적이 날개가 넓기 때문에 속도가 없어도 쉽게 자리에서 뜨는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