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발 볼이 넓으면 수영할 때 유리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수영하는데 있어 조금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발볼이 넓어 발바닥이 넓을 경우 물을 차는데 있어 더 유리한 점이기 때문이죠. 극단적으로 오리발이 그 예입니다. 오리발은 굉장히 넓은 발바닥을 갖게 해주므로 조금만 발을 흔들어도 높은 추진력을 얻게해주죠.
학문 /
토목공학
22.11.11
0
0
토성의 테두리는 어떻게 생기게 된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토성뿐아닌 목성이나 해왕성도 고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토성만큼 뚜렷하지는 않죠.토성의 고리의 경우 행성 생성 초기부터 가지고 있던 것일 가능성이 크다고 합니다. 행성이 생성될 때 태양계의 면에 얇은 디스크 형태로 물질이 퍼져 있다가 먼지와 가스가 뭉치며 행성이 탄생할 때 미쳐 뭉치지 못한 잔여물로 고리를 이루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고리를 가진 행성에 근접한 혜성이나 소행성 등 외부 천체에서 떨어져나온 잔여물이 행성 중력에 사로잡혀 공전하며 고리를 형성했을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물론, 토성과 고리의 성분을 가져와 분석해야 정확한 원인을 규명할수 있습니다! 먼 훗날에 탐사선을 통해 분석하여 정확한 원인을 파악할 것으로 생각되네요.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1
0
0
계절에 따라 모기 물린 후 간지러운 정도가 다른 이유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기가 피를 빨려고 물때 지방조직을 녹이는 성분과 히루딘이라는 성분을 내보내면서 피를 빱니다. 그런데, 모기의 종류마다 다르게 히루딘을 많이 내뱉는 모기가 있으며, 적게 내뱉는 모기도 있기 때문에 모기마다 가려운 정도가 다릅니다.우리 몸에서는 외부에서 들어온 모기의 타액을 이물질로 인식하고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면역반응이 일어나는데, 이때 가려움을 유발하는 히스타민이 함께 분비 된다. 히스타민은 혈관을 확장시키고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가려움증과 함께 붓고 빨갛게 됩니다. 이를 더 자극하게 되면 면역반응이 더 올라가 가려움이 증가됩니다. 가려움 예방 약을 바르시는게 좋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1
0
0
헬룸가스처럼 안전하고 재미있는 특성을 것들이 또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산소 기체외 안전하거나 인체에 해롭지 않은 기체는 잘 없습니다. 헬륨도 많이 마시거나 자주 지속적으로 흡입하게 되면 질식하거나 할 위험이 따릅니다. 그래서 적절한 양으로 한번만 하고 쉬었다가 또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산소도 과하게 많이 흡입하게 되면 어지럼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그래도 액체 질소를 가지고 건빵이나 시리얼 등의 과자를 얼려 하나씩 먹여보는것도 재밌는 놀이가 될 수 있습니다. 단 액체질소는 -100도 훨씬 이하로 굉장히 차갑기 때문에 꼭 안전보호구를 착용하여 놀이에 임하셔야하며 보호자가 필수입니다.
학문 /
화학
22.11.11
0
0
보이지 않지만 낮에도 별은 제자리에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별은 태양을 포함하여 낮에도 떠있습니다. 태양빛이 워낙 밝아 다른 별들을 볼 수 없는 것이죠. 낮에도 별을 보시고자 한다면 전파망원경을 사용하여 태양빛을 제거(백그라운드 제거)하는 분석 작업을 실시하여 별빛을 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1
0
0
최근 지구와 가까운 블랙홀이 발견 되었습니다. 블랙홀은 향후 지구에 위험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1600광년이면 굉장히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당장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블랙홀이 만약 지구와 가까워 진다면, 먼 미래에는 블랙홀에의해 지구가 삼켜질 수 있습니다. 다만, 그 시기가 언제일지 모르며 블랙홀과 지구가 가까워지는지도 아직은 모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1
0
0
과학적으로 인정된 인종의 종류는 총 3가지가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과학적으로 크게 니그로 인종(아프리카, 오세아니아에 분포)의, 코카서스 인종(유럽, 서아시아, 남아시아, 북아프리카에 분포), 몽골인종(동아시아, 북아프리카에 분포) 등 3종으로 나뉩니다. 하지만 엄밀히는 더욱 많은 인종으로 나뉠 수 있으며, 3종 외에도 다른 인종도 존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1
0
0
사람 체온은 36.5도인데... 왜 25도만 넘어도 더울까? 오히려 추워야 되지않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추위나 더위는 우리 피부의 온도보다 낮거나 높을 때 느끼는 것입니다. 우리 표면 피부의 온도는 평균적으로 대략 30도정도 됩니다. 또한, 부위에 따라 더 낮기도한 부위도 있으며 온도가 높은 부위도 있습니다. 그리고 환경의 온도를 상대적으로 느끼기 때문에 이러한 온도보다 낮으면 시원함이나 추위를 느끼고, 이보다 높으면 따스함이나 더위를 느끼죠. 그런데, 더위의 경우는 피부 표면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일 때 느낍니다. 그래서 25도만 넘어도 더위를 느낄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1.10
0
0
산에서 발생하는 안개가 구름인가요? 왜 그런 현상이 일어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가 오고 난 뒤 산에서 습해진 공기와 풀잎이나 나뭇잎에서 물의 증발이 일어납니다. 증발된 수증기가 산을 오르는 기류를 만나 천천히 올라가게 되면 팽창되고 기온이 떨어지게되죠. 그러면서 수증기는 물로 변하게 되는데 이때 안개나 구름이 되는것입니다. 그래서 습한날 산에 보면 작은 안개와 구름이 많이 보이는 이유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0
0
0
달과 지구가 가까워 지는 날, 몸무게가 가벼워 질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달과 지구가 가까워지는 날 몸무게가 가벼워 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굉장히 미미하기 때문에 밥이나 물을 덜먹어서 몸무게가 줄어든 것인지 분간이 안갈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10
0
0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