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눈을 녹일때 쓰는 염화칼슘과 소금의 차이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염화물계 제설제(염화칼슘, 소금 등)는 공기중 수증기를 흡수하는 성질이 강합니다. 그래서 주변으로부터 수증기를 흡수하여 수용액 상태가 되며, 이 수용액이 얼음과 닿아 얼음의 열을 뺏기도하며 얼음과 섞여 어는점을 낮추기도합니다. 어는점이 낮아지게 되면 얼어있던 얼음이 녹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원리로 염화물계 제설제를 뿌리면 눈이 금방 녹아버리죠.
학문 /
토목공학
22.11.03
0
0
화석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벽에 갇혔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뼈가 땅에 묻히고 잘 썩지 않기 때문에 화석이 될 수 있습니다. 뼈가 안썩는 이유는 뼈의 성분과 관련있습니다. 뼈가 땅에 묻히고 수분이 빠져나가는데 이때 주된 성분은 칼슘성분입니다. 이 칼슘성분을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은 거의 없기 때문에 분해가 일어나지않고 그대로 보존되는것이지요.그래서 땅에 묻힌 뼈가 퇴적물들과 함께 퇴적되고 압력이 가해지며 화석이 되는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11.03
0
0
인류가 반세기안에 화성 정착에 성공할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계보다 훨씬 멀리 있는 지구와 유사한 행성으로 테라포밍하기에는 너무 거리가 멀며 아직 기술력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또한, 화성이나 달로 테라포밍하려고해도 인간이 살 수 있는 환경이 아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습니다. 특히 달의 경우는 대기가 없어 자외선, 우주선, 방사선, 운석 등을 막아주지 못하여 더욱 위험합니다. 하지만 화성의 경우는 어느정도 지구와 비슷한 환경입니다. 다만, 물이 없고 식물이 자라날만한 환경이 아니기 때문에 작물을 재배하거나 물을 공급받기에 어려운 점이 있죠. 하지만 이러한 것도 전부 인공적으로 설비를 갖추어 놓는다면 테라포밍도 가능할 것으로 봅니다. 그것이 언제가 될진 모르겠지만요.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3
0
0
흰머리,동안,늙는것과 관계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젊은 나이에 흰머리가 나면 그것을 새치라고 하는데, 새치는 유전적인 영향이 큽니다. 검은색 머리가 나려면 색소세포가 온전해야하는데 새치는 그렇지 못한 경우이기에 어릴 때부터 흰머리가 나는것이죠. 또한 나이가 들면 흰머리가 많아지는데 이는 신체의 노화로 인해 생기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2.11.03
0
0
사람은 눈을 얼마동안 안 깜빡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평균적으로 20초정도 안 깜빡일 수 있습니다. 눈을 깜빡이지 않으면 눈 표면에 있는 수분이 날아가 건조해지며, 갈라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눈 알이 항상 촉촉한 이유는 눈 표면이 갈라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뿐더러 먼지나 이물질로 안구가 손상되지 않게 하기 위함입니다. 그래서 오래 뜨고있으면 눈에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어쩔수 없이 감는 이유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11.03
0
0
바닷물은 왜 짤까요? 모든 바다의 짠 정도는 같은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멧돌이야기는 어느정도 과학적인 비유라고 생각합니다!바닷물에는 Na+이온, Cl-이온 등 염분(소금)이 다수 존재하고, 또 다양한 이온과 미네랄 등의 성분도 있기 때문에 바닷물이 짜며 독특한 맛을 냅니다.바닷물의 염분 농도는 지역적으로는 비슷하나 전 세계 어느 바다에서나 같은것은 아닙니다. 바닷물의 농도가 짙은 바다인 사해가 대표적인 예가 되겠습니다. 바다의 염분은 바다 속 암석이나 광물로부터 발생합니다. 바다 속 암석, 광물에 함유된 나트륨이 바닷물에 용해되며 바다의 염분 농도가 올라가는 것이죠. 때문에 어느 바다에서나 염분 농도가 같지 않은 이유입니다. 또한, 암석이나 광물로부터 염분이 계속해서 유입되고 있어 바닷물의 염분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습니다. 만약 소금의 채취량이 광물로부터 유입되는 염분량보다 많을 경우에는 바닷물의 염분 농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3
0
0
모기의 수명은 얼마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모기는 피를 먹어 영양분을 흡수합니다. 모기의 수명은 수컷의 경우는 10일 정도, 암컷의 경우는 42~56일 정도 살 수 있다고 합니다.모기는 따뜻한 곳에서는 지속적으로 살 수 있습니다. 겨울에 모기는 살 수 없지만 집안과 창고와 같이 따뜻한 장소가 있다면 살 수 있습니다. 또한, 모기는 겨울의 추운 환경에서 동면에 들어가 활동에너지를 줄여 오래 살 수 있습니다. 그리고 따뜻해지면 알을 낳아 번성을 하죠. 그래서 모기가 멸종하지 않고 매년 등장하는 이유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1.03
0
0
비오샤바르 법칙이 무엇인지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오-샤바르 법칙(Biot–Savart law)은 전류의 흐름이 자기장을 만들어낸다는 법칙입니다. 자연계에서 전하의 흐름은 전류이며, 이 전류가 있을 경우 주변으로 자기장이 형성됩니다. 자기장의 세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며, 전류의 세기와 비례합니다. 또한, 자기장의 방향은 전류의 방향과 수직합니다. 이를 수식을 이용하여 법칙을 만든 것이죠. 이를 이용하면 전류가흐르는 상황에서의 자기장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구할 수 있습니다. 유용한 법칙이죠.
학문 /
물리
22.11.03
0
0
지구에서 무중력 상태를 구현하는 원리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무중력 상태란 중력이 없거나, 중력을 느끼지 못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즉, 우리가 자유낙하를 하면 중력에 몸을 맡겨 떨어지기 때문에 중력을 느끼진 못합니다. 발을 땅에 디뎌야 중력을 느낄 수 있는 것이죠. 하지만 엄밀히 말하자면 공기저항 때문에 낙하를 알아챌 수 있으며, 중력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래서 공간이 넓은 비행기나 엘리베이터에서 낙하를 하게 된다면, 몸이 붕 뜸을 느낄 수 있고 무중력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3
0
0
중력과 수명의 연관관계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개인의 수명은 80~100년 정도이며 중력으로인해 이러한 수명이 줄거나 늘진 않습니다. 다만, 다른 사람들과 다른 시간의 흐름으로는 지낼 수 있습니다.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중력이 강한곳에서 시간이 느리게 흐르는데, 시간이 느리게 흐른다는 의미는 중력이 약한곳에 비해 느리게 흐른다는 것입니다. 만약 질문자님께서 지구에 있다고 중력이 강한 곳에 1년을 살다오신다면, 질문자님은 지구와 별반 다를 것 없이 단순히 1년을 지내다 오신겁니다. 하지만 지구에서의 시간은 1년 이상이 흘러있을 수 있습니다. 즉, 시간의 흐름이 다른 것이며 마치 시간 여행의 효과로 미래로 간 것이죠. 하지만 질문자님의 삶에 있어 수명이 늘거나 줄지는 않은 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1.03
0
0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