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핸드폰 전자파가 인체에 많은 영향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스마트폰은 마그넷이나 전자파가 나오긴 하지만 인체에 유해할 정도의 전파가 방출되지는 않습니다. 스마트폰을 제작할 때에도 안전규정을 지키며 생산하기 때문에 큰 걱정은 안하셔도 괜찮을거 같습니다. 또한, 전선이나 tv, 컴퓨터 등에서도 마찬가지로 인체에 유해할 정도의 전파는 방출되지 않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31
0
0
n이 충분히 클 때 이항분포를 정규분포로 바꿀 수 있는데 정확히 몇을 크다고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공식이나 기준이 따로있는 것이 아닌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n횟수는 크면 클수록 정규분포에 가까워집니다. 다만 적절한 기준에 대해서는 분포도를 그려 분석을 시행해야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30
0
0
현재도 사상사 수백명의 달하는 재해가 종종 일어 납니다. 이런 재해는 양자역학 불확정성 원리에 따라 어느 시점부터 노력해서 예방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고의 경우 위험에 대해 항상 생각하고 있어야하며 위험한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피하거나 적절한 대처를 해야합니다.미래가 정해져있는지 정해지지않았는지는 어려운 문제이며 견해가 나뉩니다. 개인적으로는 미래는 정해져있다고 생각하며, 우리가 예측하거나 풀어내지는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30
0
0
지진이 일어나기 전 알아챌 수 있는 징조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지진 전조 증상은 지하수의 수위, 수온, 냄새, 라돈 함유량 등의 변화와 가스의 분출 유무, 지진계, 지진파를 통해 모니터링 함으로써 과학적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9
0
0
사람에 머리카락은 왜 색깔이 변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털색, 머리카락 색 등이 다른 이유는 유전적 성질 때문입니다. 유전적 성질에 의해 사람(인종)이나 동물마다 털의 색이 다르게 진화해 왔습니다. 마치 쌍커풀이 있고 없고와 귓볼이 있고 없고와 같은 유전적 특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머리카락의 색의 경우 색소의 정도나 다른 색소를 함유하고 있어 다르게 나타납니다.
학문 /
화학
22.10.29
0
0
미래의 로봇을 컨트롤할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로봇은 사람이 컨트롤할 수 있습니다.컴퓨터는 사람에 의해 코딩 된 부분만 작동하게 되어있습니다. 우리가 무언갈 작동하게 끔 해놓지 않으면 스스로 할 수 있는 것이 없습니다. 인공지능(딥러닝) 또한 마찬가지로 스스로 학습하여 무언갈 판단하거나 결과를 내놓는 일을 한다고는 하지만 전부 알고리즘을 짜놓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입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0.29
0
0
불꽃축제에 이용하는 폭죽을 만드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불꽃놀이는 아래 그림과 같은 화약 덩어리가 불꽃에 의해 추진력을 얻어 공중으로 올라가 특정 시간이 지나 특정 높이에 도달하게됩니다. 이 높이에 도달하게된 화약은 내부 작은 화약들의 도화선에 불을 붙이게 되면서 터지게 되고, 터지는 폭발력으로 넓게 퍼지며 작은 화약들이 터져 불꽃을 만들어냅니다. 이 때 불꽃 색은 금속 가루를 이용하여(리튬-빨간색, 나트륨-노란색, 칼륨-보라색, 구리-청록색을 띰) 색을 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29
0
0
우주에는 인간보다 뛰어난 지적 생명체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외계 생명체에 대한 정보는 하나도 없습니다. 그래서 더 뛰어난 생명체가 있을지는 의문이네요...아직 미지인 영역이라 정확하게 과학적인 증거를 대며 답변이 어렵습니다. 우리는 아직 태양계도 제대로 파악한적이 없고 외부 은하나 외부 행성에 대해 망원경으로 관측한 사실만 있을뿐 행성 내부에 어떤 원소나 존재가 있는지는 무지합니다. 그래서 외계생명체로 발견된 흔적은 아직 없죠. 혹시나 이 드넓은 우주에 생명체가 존재하고 우리가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있다면 가까운 미래에 발견할 확률도 존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9
0
0
사람이 추운데도 졸리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몸이 지치고 에너지가 떨어지게되면 몸이나 뇌에서는 휴식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긴박한 상황에서도 잠이 오는 것이죠.
학문 /
토목공학
22.10.29
0
0
제로콜라에는 설탕이 없는거 아닌가요? 우연히 쏟았는데 덜 닦았는지 끈적거리네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제로콜라에는 설탕대신 아스파탐이라는 성분이 들어갑니다. 아스파탐은 설탕보다 200배나 단 특징이 있어 미량만 넣어도 달달한 맛을 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칼로리 제품이죠. 그래서 제로콜라에 설탕이 없더라도 쏟았을 때 끈적거림이 남을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0.29
0
0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