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과학적으로 타임머신이라는것이 먼미래에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리학에서 상대성 이론을 따르면 미래로의 시간 여행이 가능하며, 과거는 불가능합니다.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빛의 속력과 비슷한 속력으로 여행을 다녀오거나, 중력이 강한 행성을 다녀오게 되면 지구에 있는 사람들보다 시간이 느리게 흘러 마치 미래로 이동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러한 일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광속까지 얻는 추진력(에너지)이 필요하고, 광속에 비슷한 속력으로 이동하는 동안 외부와 충돌없이 안전하게 운행해야합니다. 그리고 중력이 강한 행성에 가기 위해서는 가는데 까지 필요한 연료와, 강한 중력을 견딜 수 있는 육체가 필요하죠. 그래서 영화에서는 쉽게 가능하지만 현실에선 현재로써는 거의 불가능하시다고 보면 됩니다. 하지만 미래에 빛의 속력에 가깝게 낼 수 있는 비행선이 등장하면 가능한 일일지도 모릅니다.
학문 /
화학
22.10.26
0
0
왜 바다의 염분은 줄어들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바닷물에는 Na+이온, Cl-이온 등 염분(소금)이 다수 존재하고, 또 다양한 이온과 미네랄 등의 성분도 있기 때문에 바닷물이 짜며 독특한 맛을 냅니다.바닷물의 염분 농도는 지역적으로는 비슷하나 전 세계 어느 바다에서나 같지 않습니다. 이유는 바다의 염분은 바다 속 암석이나 광물로부터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바다 속 암석, 광물에 함유된 나트륨이 바닷물에 용해되며 바다의 염분 농도가 유지되거나 계속해서 올라가고 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6
0
0
물에 태양빛이 이렇게 반사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난반사가 되는 부분도 있지만 물이 출렁출렁 파동을 만들면서 두꺼운 부분과 얇은 부분을 만들게 되는데, 이러한 부분에서 렌즈역할을 합니다. 볼록한 부분은 볼록렌즈 역할로 돋보기처럼 빛을 모아주며, 오목한 부분은 빛을 퍼뜨립니다. 그래서 저러한 무늬가 생기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6
0
0
현재까지 내린 우박 중 가장 큰 것은 어떤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은 수증기, 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높은 상공에서 수증기가 물이 되고 이 물방울들이 모여 빗방울 크기가 되면 떨어집니다. 그런데 온도가 낮은 상공에서 이 빗방울이 급격히 얼게될 때가 있는데, 이를 우박이라고 합니다.그런데, 우박이 어느정도 크기를 가지고 떨어져야하는데, 강한 상승기류를 만나게 되면 떨어지다 다시 상승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 주변 수증기를 머금어 크기가 더 커지게 됩니다. 이를 반복하다 더이상은 상승기류가 우박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할 때 떨어지게 되는 것이죠. 즉, 상승기류의 세기와 수증기량이 우박의 크기를 결정합니다.가장 큰 우박은 직경 1.8m로 미국 네브래스카에서 발생했습니다. 가장 무거운 우박은 972kg 으로 방글라데시에서 발생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6
0
0
무지개가 생기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무지개는 물방울에 통과된 태양빛이 굴절하면서 파장별로 색깔이 분해되어 우리눈으로 들어오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때 물방울을 통과한 빛이 파장별로 색깔이 분해되는데, 빨주노초파남보 모든 파장의 빛을 볼 수 있는 것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6
0
0
햇빛을 통해 비타민D 합성하려고 산책하는데요 긴팔.긴바지 입고있는 부분에도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타민 D는 자외선에 의해 합성됩니다. 우리 몸에 있는 7-드하이드로콜레스테롤이 자외선으로 인해 프리비타민 D3로 전환이되고, 프리비타민 D3는 태양열을 받아 비타민 D가 됩니다. 그런데, 옷을 입게되면 자외선이 투과를 하지 못하기 때문에 옷 입은 부분에서는 비타민 D의 합성이 어렵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6
0
0
태양의 수명은 얼마나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의 수명은 100억년 정도이고, 현재 태양의 나이는 46억년 이라고 밝혀져 있습니다. 즉, 태양이 생을 마감하기 까지 54억년 정도 남았습니다.네, 태양이 수명을 다하면 더 이상 열과 빛을 낼 수 있는 연료가 떨어져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태양계는 불이 꺼지게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6
0
0
헨드폰의 터치 스크린은 무엇으로 인지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스마트폰은 정전기를 이용한 원리입니다.과거에는 압력으로 인지하였지만, 현재는 정전기를 이용한 신호를 사용합니다.우리 몸의 피부에는 수분 유분등이 존재하며, 이곳에는 미세하게 전자(-)가 분포합니다. 즉, 정전기가 분포하고있죠. 그래서 터치 스크린에 피부를 닿게해 터치하면 정전기에 반응하여 전기적 신호를 만들어 작동을 하는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26
0
0
구름이 하나 없는 날이면 하늘이 파랗잖아요? 파란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공기(기체)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 될 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데, 이러한 빛이 산란되다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 반면에 붉은 빛은 대기를 잘 투과하여 우리눈에 곧 들어오기 때문에 태양과 우리눈 선상에 있으며, 하늘의 색에 기여하지 않습니다.산란이란 쉽게 생각해 빛의 경로가 바뀐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6
0
0
초승달과 금메달 구분하는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초승달은 오른쪽으로 굽어있습니다. -> ) 그리고 ∩로 떠올라 ∪ 이렇게 저뭅니다.그믐달은 왼쪽으로 굽어있습니다. -> (그리고 ∪로 떠올라 ∩ 이렇게 저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6
0
0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