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수소에너지는 어떻게 환경오염을 안시키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소연료를 사용한 수소자동차는 물의 전기분해의 역반응을 이용한 원리입니다. 수소연료전지에 연료로 사용되는 수소를 주입합니다. 주입된 수소는 수소(+)와 전자(-)로 이온화되며, 전자(-)는 양극(+)으로 이동하고 수소(+)는 음극(-)으로 이동하며 전류(전하의 흐름)를 만들어냅니다. 이 전류를 이용해 차를 움직이게하죠. 그리고 공기중에 있는 산소를 음극으로 주입해주는데, 음극으로 이동해온 수소(+)와 산소가 반응하여 물을 만들어내죠. 즉, 수소연료의 배출물은 자연에 무해한 물이 됩니다. 그래서 수소가 신재생, 친환경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0.22
0
0
수용액에서의 산성과 염기성에 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산성과 염기성을 띤 다는 것은 수용액 상태에서 H+, OH-를 내놓기 때문에 전해질이 되며, 전기가 통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22
0
0
전기모기채 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사람의 피부에 닿게되면 따끔한 정도이며 비교적 안전한 편입니다. 하지만 사람에게 하면 피부에 상처가 나거나 할 수 있어 사람에게 하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그렇지만 감전이 될 정도는 아닙니다. 벌레가 죽을 정도이고 사람이 위협받을만한 전류가 흐르는 것은 아닙니다. 물론 전기모기체보다 걸이용 벌레 퇴치제가 더 안전합니다. 모기나 벌레들을 끌어들여 전기 쇼크를 줘 죽이게 하는 장치라 사람이 닿지 않는 곳에 설치가 가능하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죠. 참고로 전기채의 전압은 2000V이고 흐르는 전류는 10mA 이하입니다. 이러한 전류가 사람몸에 흐르면 위험하지만, 사람의 몸의 저항이 굉장히 크기 때문에 전기채를 건드려도 전류가 안흐른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22
0
0
안개가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안개에 미세먼지가 함유되어 가라앉게되면 미세먼지를 제거할 순 있습니다. 하지만 안개는 지면으로 가라앉거나해도 증발해버리기 때문에 결국 미세먼지는 다시 대기중으로 갈 수 있죠. 그래서 안개를 포집하거나 한다면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학문 /
화학
22.10.22
0
0
단풍이 피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봄부터 여름까지 엽록소가 만들어지면서 초록 잎을 유지하였지만 가을이 되면서 이 엽록소가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이유는 떨켜층에 의해 나뭇잎에 수분이 부족해지고 영양분이 쌓여 산성을 띠게 되면서 엽록소가 분해됩니다. 엽록소가 분해되며 노란, 주황, 빨강, 핑크 등으로 색이 바뀌어 단풍이 지는 것이죠.또한 색이 다른 이유는 색소의 종류와 함유량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붉은색은 엽록소가 분해되며 안토시아닌을 생성하며 띠게되고, 노란색은 크산토필, 카로티노이드가 생성되면서, 갈색은 크산토필, 타닌이 생성되면서 띠게되는 색입니다.엽록소가 분해되는 이유는 겨울 동안 나무는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고 나무 내에 있는 수분을 최소화(수분이 얼면 부피가 증가해 손상을 입기때문에)하는 작업을 시작합니다. 그 중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잎과 나뭇가지 사이에 떨켜층을 형성하여 나뭇잎에 수분 공급을 중단시키고 나뭇잎으로부터 에너지(양분) 공급을 중단 받아 나뭇잎의 농도가 올라 산화되면서 엽록소가 분해돼 단풍이 들게하며 이후에 낙엽이 되어 떨어지게 만듭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2
0
0
스파이더맨 영화에서 나오는 드론영상기를 사용하면 진짜 영화처럼 만들 수 있는걸까요? 대략적인 설명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영화에 사용되는 것은 대부분 CG이지만, 만약 드론을 사용하면 실감나는 촬영이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드론이 지나는 경로를 따라 시점이 이동하므로 날아다니거나, 높이 뛰어오르는 것을 표현할 수 있을듯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2
0
0
역고드름이 생기는 원인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역고드름이 생성되는 원리는 얼음의 부피, 모세관 현상이 주된 원리입니다.영하의 온도에서 수면이 서서히 얼기 시작합니다. 이 때 모든면이 동시에 얼지 않고 가장자리부터 서서히 얼기 시작합니다. 그러면 가장 늦게 얼게되는 부분이 생기기 마련이죠. 그런데, 수면이 얼면서 작은 구멍이 만들어질 때 얼음의 부피가 커져 물이 짓눌려 구멍에서 물이 볼록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또한 물의 표면장력에 의한 모세관 현상으로 구멍위로 물이 볼록 나올 수 있으며, 기포를 가진 물도 나올 수 있습니다. 이 때 볼록나온 물의 표면부터 얼기시작하며 기둥의 모양이 시작되는데, 모세관현상과 얼음의 부피증가로 물이 솓구쳐 나오면서 계속해서 기둥을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역고드름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22
0
0
하늘의 구름이 느리게, 빠르게 이동하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의 이동하는 속도는 바람의 영향을 받습니다. 바람은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작용합니다. 기체의 이동은 온도차, 기압차에 의해 발생하고 이게 곧 바람이 되는 것이죠.또한, 기단의 영향을 받으며 기단 또한 기압과 기온등에 의해 생겨난 것입니다. 결국 기온, 기압에 의해 움직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2
0
0
개미는 멀리 이동하면 어떻게 알고 돌아올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개미들은 서로 화학물질을 내뿜어 소통을 하거나 길을 찾는데, 이 때 사용하는 화학물질은 페로몬입니다. 페로몬을 통해 길을 찾기 때문에 무리에서 이탈해도 다시 찾아올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2
0
0
우박이 만들어지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은 수증기, 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높은 상공에서 수증기가 물이 되고 이 물방울들이 모여 빗방울 크기가 되면 떨어집니다. 그런데 온도가 낮은 상공에서 이 빗방울이 급격히 얼게될때가 있는데, 이를 우박이라고 합니다.눈은 우박과 달리 수증기가 물이되고 작은 물 알갱이가 얼게 됩니다. 이 작은 눈 알갱이는 주변의 수증기나 물이 달라붙어 그 크기가 커져 눈이 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0.22
0
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