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해수면이 상승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꼭 빙하가 녹는다고해서 해수면이 상승하는것은 아닙니다. 물에담긴 얼음이 녹는다고해서 물의 높이가 높아지지 않는것과 비슷합니다. 하지만 남극대륙의 경우는 대륙위에 눈과 얼음이 있어 이것이 녹아 물에들어갈 경우 해수면 상승이 가능합니다. 또 다른 요인으로는 온난화가 있습니다. 온난화로 인해 해수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해수의 부피가 증가하면서 해수면이 상승할 수 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1
0
0
액체가 고체보다 열팽창 정도가 큰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온도와 상태의 개념을 이해하시면 아! 하고 바로 이해가 가실겁니다.물리학에서 온도란 입자, 분자의 평균 운동에너지(진동에너지+운동에너지)입니다. 즉, 온도가 높다는 것은 입자들의 운동이 활발하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열이라는 것은 외부에서 입자에게 힘을 가하거나 에너지를 가해 운동에너지를 증가시키는 것입니다.고체상태는 원자, 분자가 규칙적인 배열을 한 상태로 결합력으로 인해 아주 가까이 붙어있는 상태입니다. 액체는 불규칙적인 배열로 서로간의 결합력이 약하며 비교적 자유로운 상태입니다. 본론으로 돌아와 액체와 고체의 열팽창을 따졌을때, 같은 열에너지에 대해 액체가 훨씬 더 팽창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고체는 액체보다 강한 결합력으로 결합되있어 외부에서 힘을 받아도 자유로워지는 정도가 작아 부피 팽창이 작습니다. 그런데 액체의 경우 고체보다 자유롭기 때문에 외부에서 힘을 받아 훨씬더 자유로워질 수 있기 때문에 부피 팽창이 고체보다 크죠.
학문 /
화학
22.10.21
0
0
내가 먹는 음식이 후손의 유전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충분히 가능하다고봅니다. 부모와 자식은 닮으며 이러한 닮음이 계속해서 유전적으로 잔달될 수 있습니다. 부모와 자식은 외형적인 모습뿐아니라 생각과 입맛등이 닮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좋아하는 음식이나 싫어하는 음식등이 자손에게 전달될 수 있죠.
학문 /
생물·생명
22.10.21
0
0
폴터가이스트 현상을 과학적으로 접근한다면?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체에 접촉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움직이게 할 수는 있습니다.쇠로된 물체의 경우 물체를 자화시켜 자기장을 형성하거나 전기장을 형성시켜 움직이게 할 수 있죠.그냥 물체의 경우 중력을 가할 수 있는데, 비현실적이지만 암흑물질(눈에보이지 않는 질량을 가진 물질)이 일시적으로 뭉쳐 강한 중력을 행사한 경우에 물체가 움직일 수 있습니다.그리고 음파를 보내 공기를 진동시켜 물체를 떨리게할 수도 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1
0
0
거미줄은 끈적거리는데 거미는 어떻게 잘 다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거미줄은 거미 내의 몸에서 액체상태로 존재하다가 뿜어내면서 섬유화하여 이 거미줄을 이용해 집을 짓습니다. 그래서 무한한것은 아니며, 어느정도 사용하게되면 흡수한 영양분으로 생성해낼 수 있습니다.거미는 집을 지을 때 걸음수를 기준으로 거의 오차없는 간격으로 집을 짓습니다. 그래서 대칭적인 모양의 집이 대부분이죠.또한 거미줄의 끈적임은 모든 부분이 끈적이는 것이 아닌 거미가 발라놓은 끈적임 성분이 있는 부분 때문에 끈적입니다. 거미는 이를 기억해 끈적이지 않은 부분을 기어다니는 것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10.21
0
0
거미는 집을 지을때 어떻게 일정하게 잘 만들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거미는 대단한 건축가입니다. 놀라울 정도로 정밀하죠.거미는 집을 지을 때 걸음수를 기준으로 거의 오차없는 간격으로 집을 짓습니다. 그래서 대칭적인 모양의 집이 대부분이죠.또한 거미줄의 끈적임은 모든 부분이 끈적이는 것이 아닌 거미가 발라놓은 끈적임 성분이 있는 부분 때문에 끈적입니다. 거미는 이를 기억해 끈적이지 않은 부분을 기어다니는 것이죠.
학문 /
토목공학
22.10.21
0
0
우박의 원리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빗방울이 급격히 얼게되면서 떨어지는 것이 우박입니다. 종종 여름에도 우박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이상기후에 의해 상공의 온도가 영하로 급격히 떨어지는 경우입니다.구름은 수증기, 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높은 상공에서 수증기가 물이 되고 이 물방울들이 모여 빗방울 크기가 되면 떨어집니다. 그런데 온도가 낮은 상공에서 이 빗방울이 급격히 얼게될 때가 있는데, 이를 우박이라고 합니다.눈은 우박과 달리 수증기가 물이되고 작은 물 알갱이가 얼게 됩니다. 이 작은 눈 알갱이는 주변의 수증기나 물이 달라붙어 그 크기가 커져 눈이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1
0
0
지구가 엄청난 속도로 회전을 하는데 왜? 못느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는 아주 큰 구이고, 중력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지구의 중력과 지면의 수직항력을 구심력 삼아 지구를 따라 원운동 하고 있습니다. 이 때 중력(만유인력)에 의해 원심력을 느낄 수 없기 때문에(만유인력은 우리가 원운동 할 때 필요한 구심력 보다 크기 때문에) 지구가 도는 것을 체감하기 힘든 것이죠.또한, 지구는 아주 큰 구이고 우리는 지구 안에서 작은 존재로 지구가 구형임을 못느끼고 평평하다고 생각합니다.그리고 지구 자전에 의한 원운동은 등속 원운동입니다. 사람에 비해 지구가 굉장히 크기 때문에 사람의 입장에서는 거의 등속 직선운동(우리가 볼때 지면이 평평해 보이는 이유와 같음)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등속 운동을 할 경우 우리가 움직이는지 멈춰있는지 알기 어렵기 때문에 지구가 움직이는 것을 느끼기 어렵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1
0
0
태풍은 어디서 부터 시작이 되서 오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부근의 바다에서 만들어집니다. 적도 부근에서 태양 에너지를 받아 물이 증발하여 상승하며 구름이 다수 만들어집니다. 여름이나 가을에 적도 부근에서는 이러한 구름이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태풍이라고합니다. 태풍은 바람의 흐름을 타 중위도, 고위도까지 올라옵니다. 올라올때 바다 위를 지나면서 오는데 바다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머금고 세력을 키우며 올라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나 다른 나라를 강타하죠. 태풍은 육지내에서 더 이상 수증기를 공급 받지 못하기 때문에 세력이 약해지며 소멸합니다.태풍의 경로는 바람, 기압, 온도 등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그래서 어쩔 때는 우리나로 오다가 일본이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때가 있으며, 그대로 우리나라를 강타할 때도 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1
0
0
정전기가 일어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몸의 피부에는 수분 유분등이 존재하며, 이곳에는 미세하게 전자(-)가 분포합니다. 이것이 정전기입니다. 우리는 생활하면서 물건과 마찰하거나 어떠한 사물과 마찰할 일이 잦은데, 이 때 마찰에 의해 전자를 뺏기거나 얻으면서 정전기가 생기게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21
0
0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