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24의 숫자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하루를 24시간으로 정한것은 먼 과거의 일이고 관습으로 이어져왔기 때문에 알기가 어렵다고합니다. 그리고 수학적인 이유도 있는데, 이는 진실일지 아닐지는 모릅니다. 수학적으로 360의 각을 나누는데 있어 각도기 없이 24등분이 가능하여 하루를 24등분으로 나누어 시간을 셌다는 이야기도 있으며, 12등분하여 2바퀴를 기준으로 시간을 쟀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24로 정한 정확한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20
0
0
알코올램프로 요리가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계란후라이나 계란말이, 햄 구이, 오징어 구이, 라면 등이 가능할 것으로 봅니다. 알코올램프는 요리를 하기에는 강한 화력이 아니기 때문에 간단한 조리정도를 할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10.20
0
0
매탄올과 에탄올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메탄올은 인체에 굉장히 해로우며 에탄올은 인체에 그렇게 해롭지 않습니다.그래서 손소독제나, 연료, 사람과 닿는 화학 약품은 대부분 에탄올을 사용합니다. 메탄올을 마시거나 얼굴 주변에 묻게돼 눈에 들어가면 눈이 실명할 수 있다는 위험이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0.20
0
0
전기차의 구동원리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기차는 전동기의 원리로 모터의 회전량을 조절하며 속력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전동기(모터)는 전자기 유도 현상을 원리로 작동합니다.전자기 유도 현상이란 코일(도선)이 있고, 코일 주변에 자석(또는 전자석)이 움직이거나 자기력이 변화하고 있을 때 코일(도선)에 유도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전동기(모터)를 뜯어보시면 아시겠지만, 자석이 있고 중간에 코일이 있을겁니다. 이 자석이 중간에 위치한 코일에 자기장을 만들어주고, 우리는 전기를 연결하여 코일에 전류를 흘려보내줍니다. 그러면 코일에는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전류가 흐르는 도선은 마치 하나의 자석처럼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전류가 흐를 때 자석이 되는 것을 전자석이라고하죠. 코일에 전류가 흘러 전자석이 되고, 코일 주변에 자석이 놓여 있기 때문에 전자석이 자석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회전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코일에는 톱니바퀴가 연결되어 모터 역할을 하는것이죠. 또한, 전류의 세기가 셀수록 모터가 빨리돌며, 약할수록 느리게 돕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20
0
0
수소자동차가 움직이는 원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소연료를 사용한 수소자동차는 물의 전기분해의 역반응을 이용한 원리입니다. 수소연료전지에 연료로 사용되는 수소를 주입합니다. 주입된 수소는 수소(+)와 전자(-)로 이온화되며, 전자(-)는 양극(+)으로 이동하고 수소(+)는 음극(-)으로 이동하며 전류(전하의 흐름)를 만들어냅니다. 이 전류를 이용해 차를 움직이게하죠. 그리고 공기중에 있는 산소를 음극으로 주입해주는데, 음극으로 이동해온 수소(+)와 산소가 반응하여 물을 만들어내죠. 즉, 수소연료의 배출물은 자연에 무해한 물이 됩니다. 그래서 수소가 신재생, 친환경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0.20
0
0
만약에 지구에 산소농도가 2배가 된다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산소농도가 2배라면 식물의 크기가 커질 수 있으며, 곤충의 크기도 지금보다 훨씬 커질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20
0
0
먹으면 배가 부른데 양에 차이가 있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신체에서 가장 잘 늘어나는 부위가 바로 위장입니다. 위장은 평균적으로 4L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먹방 유튜버들이 많이 먹을 수 있는 이유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20
0
0
전기자동차는 밧데리 방전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지자동차 베터리는 충전식 배터리로 방전시에 충전이 가능하도록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충전을 하셔서 사용하면 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20
0
0
숯과 다이아몬드의 분자구조가 유사하다는 것이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음, 다르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숯은 목재를 이용하여 만든것이며, 목재 표면에 탄소가 달라 붙는다고 이해하시면 될 듯합니다.다이아몬드의 경우는 3차원 상 규칙적인 배열을 하고 있습니다. 숯과는 달리 정렬되고 규칙적인 모습니다. 하지만 공통적인 특징은 탄소로 이루어져있다보니, 탄소의 6각 구조를 띤다는 점입니다. 탄소로 이루어진 물질은 모두 탄소간 결합으로 6각구조를 기본으로 합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10.20
0
0
모기가 피를 빤 이후의 행동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흡혈한 뒤 벽이나 구석 부분, 어두운 부분에 숨어 소화를 합니다. 모기는 흡혈하고 나면 몸이 무거워지기 때문에 어느정도 소화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이죠.
학문 /
생물·생명
22.10.20
0
0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