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적조현상과 녹조현상은 왜 일어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해수의 수온이 높아지고, 햇빛의 양이 많아지게 되면 바다 내의 영양분이 많아지게 됩니다. 그러면, 녹조류와 적조류, 플랑크톤의 증식이 활발해지면서 녹조, 적조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죠. 보통 무더운 여름 8~10월 내에 녹조, 적조 현상이 잘 발생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9
0
0
겨울철 정전기가 자주 일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정전기는 습도가 낮을 수록 잘 발생합니다.우리몸에는 미세한 전류가 흐르고 있습니다. 이 전류는 전자(-)의 이동으로 만들어지죠. 이 말은 우리 몸에 전자(-)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 전자가 문 손잡이, 철판, 철 등으로 이동할 때 정전기가 발생하죠.그런데 습도가 높을 때에는 정전기가 덜 발생합니다. 습도가 높으면 공기중에 수증기량이 많다는 의미이고, 또 이 물 분자는 +, - 극을 가지고 있어서 전자를 잘 끌어당겨 우리 몸을 중성으로 만들죠. 그래서 습한 여름에는 정전기 현상이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반대로 건조한 겨울에는 공기중에 수증기량이 없고 우리 몸에는 전자(-)가 많이 분포하기 때문에 정전기가 잘일어납니다.정리하자면, 습도로 기준잡으면 습도가 60%이상일 경우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습도가 30%이하이면 정전기가 잘 발생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19
0
0
우주에서도 세균 박테리아가 살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우주의 빈공간에서 세균, 박테리아가 사는것은 무리가 있습니다. 왜냐면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인 우주의 압력차이와 온도차이에 의해 몸이 부서지거나 터질 수 있습니다. 또한, 우주의 방사선이나 자외선에 의해 금방 죽을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런 우주에서도 버틸 수 있는 생물인 '곰벌레'가 있습니다. 진공의 환경을 버텨낼 수 있는 생물이죠. 하지만 자외선에는 약해 금방 죽어버립니다.또한 박테리아가 우주에서 생존할 수 있냐 없냐에 대한 과학적 논의가 있었는데, 아직 살수 있다는 증거가 불충분하고 관측사례가 없어 못산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9
0
0
반딧불은 빛을 내는데.. 괜찮은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반딧불이는 몸에서 루시페린이라는 물질을 내뿜는데 이 루시페린이 공기중 산소와 만나 화학반응을 하며 빛을 냅니다. 그리고 반딧불이는 공기가 맑은 지역에 서식하고 있어서 도심에서 보기가 힘든게 아쉬운 점입니다. 논이 많은 곳이나 숲이 우거진곳, 산이 많은곳에 가야 볼 수 있게되었습니다. 반딧불의 밝기는 3 [㏓](럭스) 정도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집의 밝기는 300~400 [㏓] 정도입니다.집형광등도 그렇게 뜨겁지 않은 편이며 이보다 훨씬 약한 세기의 빛을 내는 반딧불이의 몸은 아주 미약한 따스함만 있습니다. 그래서 괜찮은 것이죠. 또한 깜빡임을 반복하고 있어 열기가 거의 없다 생각하시면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9
0
0
음식을 먹으면 가끔 트름이 왜 나오는 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위장속에서 음식물의 화학적 소화가 진행되면 음식물과 위산의 반응에 의해 가스가 발생합니다. 가스가 가득차면 위를 채워 트름이 나오게 되는것이죠. 탄산을 마시면 위속에서 이산화탄소 기체가 발생하는데 이 또한 같은 원리로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것이죠.음식을 먹고 트름을 많이하면 소화가 잘되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또한 소화가 안된다고 탄산음료를 먹는것은 소화에 도움을 주진 않죠. 단순히 안나오는 트름을 나오게끔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학문 /
화학
22.10.19
0
0
지구를 관통하는 구멍이 있을 때, 뛰어내리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만약 지구 중심을 통과해 반대편까지 거대한 구멍을 뚫게돼 뛰어내리면 왕복운동을 하게됩니다.단, 공기저항이 없을 때는 반대편 끝까지 도달할 수 있는 왕복운동을 합니다.하지만 공기저항이 있다면 점점 지구의 중심부근으로 가게되죠. 영영 갇혀버리죠.현실적으로 뚫기는 불가능하지만 뚫었을 경우 대기도 지구 중심으로 끌려들어가 공기 저항이 생기는데, 결국 진폭이 줄어드는 진동운동을 하다 중심에 갇히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9
0
0
석유는 어떻게 생겨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석유의 만들어지는 과정은 무기성인설, 유기성일설 두 가지의 설이 있습니다.무기성인설 의 경우 지하의 금속탄화물과 물이 고온 고압 환경에 놓여 반응해 탄화수소(석유)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으며, 탄화수소, 물, 황 등이 섞이면서 고온 고압으로 반응하여 탄화수소가 발생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유기성인설 의 경우 지하에 매몰된 유기물(동물, 식물, 공룡 등)이 지열과 지압을 받아, 토양의 촉매 작용으로 탄화수소로 변성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여기서 등장하는 탄화수소가 석유를 의미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9
0
0
마그네슘은 왜 연소시 강한 빛이 나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마그네슘에 불을 붙이면 매우 빠른 산화 반응이 일어나며 산화마그네슘이 됩니다. 불을 붙여주면 산소와의 반응이 굉장히 빠르기때문에 고온의 열을 내고 강한 빛을 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원소입니다. 그래서 섬광탄이나 공업용 불꽃으로 사용됩니다.
학문 /
화학
22.10.19
0
0
편광 렌즈는 일반 렌즈와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일반렌즈의 경우는 모든 방향의 빛을 투과시켜 눈에 전달됩니다.하지만, 편광렌즈의 경우 렌즈에서 편광 작용이 일어나는데, 특정방향의 빛만을 투과시켜 빛의 양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죠. 그래서 눈부심이 덜하고 눈에 피로가 덜 가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전자기기에서 나오는 빛이 안보이거나 검게 보일 수도 있습니다. 전자기기를 보는 방향에 따라 편광된 빛이 나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10.19
0
0
검전기는 전기를 어떻게 감지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검전기는 콘센트나 도선 등에 물리적인 접촉을 해야만 측정이 가능합니다.단, 검전기와 전기가 흐르는 부분의 접촉시 작은 극판을 가진 축전기라는 것을 이용하게 되는데, 축전기 내 극판간 간격이 있어 비접촉 검전기라고 합니다. 이러한 검전기를 전기가흐르는 부분에 접촉시키면 축전기 내의 한 극판에 전하가 쌓이며 전압을 갖게됩니다.(하나의 전지가 되는 것이죠.) 이와 연결된 검전기에도 전하의 분포가 바뀌어 금속 박막이 벌어지거나 하는것을 보고 전기가흐름을 판단하는 것이죠.
학문 /
전기·전자
22.10.19
0
0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