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창조과학회의 주장들은 신빙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창조론을 믿는 사람도 있으면 진화론을 따르는 사람도 있습니다. 우주초기와 과거 생명의 근원은 아직 미해결된 문제이기 때문에 두 가능성을 다 열어두고 보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과학을 하기위해서는 가설을 세우고 검증해야하므로 하나의 주장에 서서 그 주장이 맞는 것을 증명해야하죠. 그래서 창조과학이 있고 진화론을 믿는 과학도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8
0
0
밤에는 별이 보입니다. 낮에는 왜 파랗게 보이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데,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산란이란 쉽게 생각해 빛의 경로가 바뀐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하늘에서 파란색의 파장 영역대의 빛이 공기와 산란하여 여기저기 튀다 우리 눈으로 들어온 것이죠. 반면에 다른 빛은 모두 공기를 투과하여 지면에 닿기 때문에 하늘의 색에는 기여하지 않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8
0
0
삼투압의 원리와 짠 음식을 먹으면 목마른 이유가 관련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삼투압이란 농도가 높은 수용액, 농도가 낮은 수용액이 투과가 가능한 막을 두고 분리돼 있을 때, 분리막을 통해 농도가 낮은 쪽의 수분이 농도가 높은 쪽의 수용액으로 이동하는 현상입니다.그래서 짠음식을 먹게될 경우 세포, 혈중 농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그러면 우리 뇌는 농도를 낮추기 위해 물을 더 필요로 하게 됩니다. 그래서 갈증이 유발되고 수분을 필요로해 물을 찾게되는 것입니다. 얼굴이 붓는 이유도 이 때문이죠. 세포내 염분 농도가 높아 물이 흡수되며 붓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2.10.18
0
0
여름은 더운데 왜 습도가 높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여름에는 고온 다습한 북태평양 기단의 영향을 받고,겨울에는 한랭 건조한 시베리아 기단의 양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여름에는 굉장히 더우면서 습하죠. 사막은 우리나라와 다른 기단의 영향을 받으며 건조하고 고온의 기단 영향을 받습니다. 그래서 비도 잘 내리지 않고 더위가 지속되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8
0
0
천고마비 계절 가을, 하늘이 높아 보이는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가을에는 다른 계절에 비해 대기가 깨끗한 상태입니다. 왜냐하면 차고 건조한 기단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대기 중에 수증기량도 적고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맑은 기후이죠. 또한 미세먼지도 적은 시기입니다. 그래서 높은 곳에서부터 대기와 충돌해 빛의 산란이 일어나는데 이 때문에 가을 하늘이 높이 보이는 것이죠.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데,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8
0
0
바다속에서 가장 깊은 곳은 어디이며 얼마나 됩니까?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까지 인간이 잠수정을 타고 도달했던 최대 깊이는 10984m(마리아나 해구의 챌린저 해연;)입니다. 이정도 깊이에서의 수압은 무게로치면 11톤 정도가 짓누르는 힘입니다.바다의 최대 깊이는 마라이나 해구의 챌린저 해연으로 11034m입니다.참고로 현재 인류는 바다 깊숙이 탐사는 하였지만 바다의 전부를 살펴보거나 파악한 것은 아닙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8
0
0
아무것도 없는 곳에서 생명이 탄생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무것도 없는 곳에서 생명이 탄생한다는 탄생설은 이미 과학적으로 불가능하단것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초파리(날파리)는 정말 탄생설을 믿게 할만큼 어디선가 나타나죠.초파리는 미세한 틈을 타서 들어와 당이나 산이 가득한 음식에 알을 낳기도 하지만, 애초에 우리가 샀던 과일 껍질에 알이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과일을 먹고 방문을 닫아놓거나 화장실 문을 닫아놔도 초파리가 생길 수 있죠. 그래서 과일을 다 먹고 남은 음식물을 밀폐하여 보관하거나 빠르게 버리는것이 가장 좋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8
0
0
허리케인은 왜 우리나라에는 생기지않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과 허리케인은 같은 것입니다. 이와 더불어 싸이클론도 같은 의미입니다. 북서태평양 근해에서 발생하는 태풍을 태풍이라 부르고, 대서양, 북태평양 동부 부근에서 발생한 태풍을 허리케인, 인도양에서 발생하면 사이클론이라고 부릅니다.그래서 우리나라도 태풍(허리케인)이 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8
0
0
테라포밍(terra forming)은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계보다 훨씬 멀리 있는 지구와 유사한 행성으로 테라포밍하기에는 너무 거리가 멀며 아직 기술력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또한, 화성이나 달로 테라포밍하려고해도 인간이 살 수 있는 환경이 아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습니다. 특히 달의 경우는 대기가 없어 자외선, 우주선, 방사선, 운석 등을 막아주지 못하여 더욱 위험합니다. 하지만 화성의 경우는 어느정도 지구와 비슷한 환경입니다. 다만, 물이 없고 식물이 자라날만한 환경이 아니기 때문에 작물을 재배하거나 물을 공급받기에 어려운 점이 있죠. 하지만 이러한 것도 전부 인공적으로 설비를 갖추어 놓는다면 테라포밍도 가능할 것으로 봅니다. 그것이 언제가 될진 모르겠지만요.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8
0
0
역학적에너지 어떻게 구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역학적에너지는 운동에너지와 퍼텐셜에너지의 합으로 정의합니다.운동에너지는 1/2 m v^2퍼텐셜에너지(위치에너지) 9.8mh즉, 1/2 mv^2+9.8mh이죠.만약 용수철이 있다면 용수철에 의한 퍼텐셜 에너지를 생각해야하는데 용수철의 퍼텐셜 에너지는 1/2 k x^2 으로 주어집니다. k는 용수철상수, x는 용수철이 줄어든 길이죠.
학문 /
화학
22.10.18
0
0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