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왜 화를 내면 열리오르고 혈압이 올라가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화가 나면 몸에서 스트레스 호르몬이 분비됩니다. 그러면 혈관이 수축하면서 혈류가 빨라지기 때문에 혈압이 오르는 것이죠. 화를 다루는 연습과 억울한 일을 당하셨을 때 화로 대처하시지 마시고 조금 더 이성적으로 상황을 잘 파악해 대처하시길 바랍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6
0
0
물 속에서도 불이 꺼지지 않게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불을 붙이기 위해서는 열(불)과 산소와 연료(종이, 나무, 가스 등)가 있어야합니다. 물 안에서 순간적으로 불이 붙을 수 있는 이유는 불을 붙이기 위한 요소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산소와 가스를 내뿜고 여기에 강한 열을 가하면 물속에서도 불을 붙일 수 있습니다. 열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불이 아니더라도 강한 빛이나 가열된 수증기등을 통해 제공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6
0
0
일론 머스크의 현실은 가상 현실일지도 모른다는 주장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세상에는 다양한 이론이나 가정이 존재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이론이나 가정 중 터무니 없거나 상상력을 자극하는 것들도 많죠. 우리는 우리의 우주에 대해 아직 무지하며 아는 것이 많지 않습니다. 또한 우주의 생성조차 잘 모르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러한 이야기들이 나올 수가 있는 것이죠. 하지만 우리 세계가 가상현실이다라는 주장이 틀렸다 맞다 할 수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아직 우리는 우주를 밝혀내는 중이며 저러한 주장(가설)도 사실일 수 있기 때문이죠. 이것이 틀렸다면 틀렸다는것을 밝혀내야하며, 주장하는 사람은 자신의 주장이 맞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밝혀내야합니다. 그러니 앞으로의 행보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할만한 근거를 제시하는지 지켜보는 수 밖에 없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6
0
0
풍력 발전기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어떻게 에너지가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풍력 발전기는 바람을 이용하여 풍력 발전기의 날개를 회전시켜 전자기 유도 현상으로부터 전기를 얻는 원리입니다.풍력 발전기는 전자기 유도 현상을 원리로 작동합니다. 바람이 불면 풍력발전기의 날개가 회전 함으로써 날개 끝에 달려있는 자석이나 코일이 회전하며 유도 전류를 만드는데, 이 전류를 모아 전기로 사용합니다.전자기 유도 현상이란 코일(도선)이 있고, 코일 주변에 자석(또는 전자석)이 움직이거나 자기력이 변화하고 있을 때 코일(도선)에 유도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합니다.풍력발전기는 날개에 바람으로 인해 회전 시킴으로써 날개 끝에 달린 자석이 코일 주변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터빈 끝에 달린 코일이 자석 주변으로 하면서 코일에서 유도 전류가 발생하는데 이를 모아 전기로 사용하는 원리입니다. 회전 방향과 상관없이 코일에 전류를 모을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6
0
0
지금 추세라면 화석연료는 언제쯤 고갈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화석연료는 석유는 40~50년 정도, 석탄은 122년 정도 남았습니다. 하지만 과거부터 이정도의 예상치였으며 새롭게 발견되거나 할 경우에는 또 늘어날 수 있습니다.현재는 친환경 에너지, 2차 에너지로 변환하려는 노력과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자원이 고갈하기 전에 친환경 에너지를 사용하여 에너지를 얻는 날이 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어쩔수 없이 꼭 그래야만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6
0
0
단풍은 어떤원리로 물이들고 또 단풍색은 왜 가지각색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봄부터 여름까지 엽록소가 만들어지면서 초록 잎을 유지하였지만 가을이 되면서 이 엽록소가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이유는 떨켜층에 의해 나뭇잎에 수분이 부족해지고 영양분이 쌓여 산성을 띠게 되면서 엽록소가 분해됩니다. 엽록소가 분해되며 노란, 주황, 빨강, 핑크 등으로 색이 바뀌어 단풍이 지는 것이죠.엽록소가 분해되는 이유는 겨울 동안 나무는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고 나무 내에 있는 수분을 최소화(수분이 얼면 부피가 증가해 손상을 입기때문에)하는 작업을 시작합니다. 그 중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잎과 나뭇가지 사이에 떨켜층을 형성하여 나뭇잎에 수분 공급을 중단시키고 나뭇잎으로부터 에너지(양분) 공급을 중단 받아 나뭇잎의 농도가 올라 산화되면서 엽록소가 분해돼 단풍이 들게하며 이후에 낙엽이 되어 떨어지게 만듭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16
0
0
희귀한 확률로 흰색의 몸을 가진 동물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사람에게도 색소가 거의 없는 알비노가 있습니다. 알비노는 희귀 유전질환입니다. 몸에 색소가 거의 없는 유전적인 질환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16
0
0
수소차는 어떤 원리를 이용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소연료를 사용한 수소자동차는 물의 전기분해의 역반응을 이용한 원리입니다. 수소연료전지에 연료로 사용되는 수소를 주입합니다. 주입된 수소는 수소(+)와 전자(-)로 이온화되며, 전자(-)는 양극(+)으로 이동하고 수소(+)는 음극(-)으로 이동하며 전류(전하의 흐름)를 만들어냅니다. 이 전류를 이용해 차를 움직이게하죠. 그리고 공기중에 있는 산소를 음극으로 주입해주는데, 음극으로 이동해온 수소(+)와 산소가 반응하여 물을 만들어내죠. 즉, 수소연료의 배출물은 자연에 무해한 물이 됩니다. 그래서 수소가 신재생, 친환경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6
0
0
전기차 배터리는 겨울철에 빨리 닳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화학 배터리인 리튬이온 배터리의 특성상 온도가 떨어지면 배터리가 빨리 소모됩니다.이유는 리튬 이온 배터리는 내부에 전해질이 액체로 되어있기 때문인데요. 추운 겨울이 되면서 액체의 전해질이 굳으며 배터리의 소모가 빨리 될 수 있습니다. 한편, 이를 극복하기 위해 고체 이온 배터리를 개발중이며 같은 부피의 배터리일 경우 고체 이온 배터리가 더욱 오래가며 추운 겨울에도 배터리가 빨리 소모되지 않는다고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6
0
0
날씨가 흐리면 왜 몸 컨디션이 별로일까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날씨가 흐려 기분탓도 있지만 습하기 때문에 스트레스 지수가 올라가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보통 21~26도의 온도와 40~50% 정도의 습도에서 쾌적함을 느끼게 되는데, 습도가 올라가면서 불쾌감이 상승하기 때문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16
0
0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