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달의 크기가 다르게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가 자전하고 달이 공전하며 달이 떠오르는 거처럼 보이는데, 이때 달과의 거리가 미묘하게 달라지기도 하지만 떠오를 때의 주변 건물, 산 등과 가까운 상태에 놓여 주변 환경에 의해 우리의 인지능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마치 착시효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되고, 인지의 문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시로 에빙하우스의 착시를 검색해보시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9
0
0
생쥐는 원래 치즈를 안좋아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만화에서는 상상력이 가미됐기 때문이며 생쥐는 실제로 치즈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생쥐는 치즈보다 견과류, 쌀 등이나 벌레를 더 좋아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9
0
0
놋은 현대 기호로 표현하면 뭐죠? 그리고 녹는 점이 얼마나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놋그릇은 구리(Cu)와 주석(Sn)의 합금으로 만들어집니다. 우리나라의 놋그릇의 경우는 구리 78%, 주석 22%의 비율로 섞어 제작합니다. 녹는점은 875~994도 정도라고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9
0
0
개미가 나무를 오를때 특별히 선호하는 방향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개미가 나무에 오를 때 오르기 쉬운 방향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최대한 굴곡지지 않은 방향을 따라 이동합니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 오르고 내려오는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개미굴 출입구에 이끼가 많은 것은 개미굴을 숨기기 위함이고 기타 물질이 개미굴로 들어오지 못하게 이끼가 바리케이트 역할을 해주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비가 올 경우에는 이에 대비해 개미굴 출입구를 높게 쌓아 올린다고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9
0
0
버스 유리창을 깨고 탈출할 땐 왜 모서리부터 깨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모서리가 가장 깨기 쉬우며 탈출에도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창문의 중앙부분은 마치 유리와 유리의 구조에서 사방으로 유리가 잡아주고 있으니 탄성이 있으며 깨기 위해서는 강한 힘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모서리 부분은 유리와 유리의 구조에서 일부분의 방향만 유리가 잡아주고 있으니 탄성이 덜하며 중앙 보다 깨기가 수월하죠. 그래서 가장자리부터 깨라고 하는 것입니다. 또한 가장자리를 깨면서 문틀에 유리가 끼는걸 방지해 탈출할 때 상처가 덜 생길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09
0
0
향수의 다양한 향은 어떤 원료로부터 만들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향수의 다양한 향이나 음식, 꽃, 과일에서 풍기는 향은 모두 화학 물질, 분자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향수의 다양한 향은 화학 물질, 분자를 조합해 좋은 향이 나도록 연구해 향에 이름을 붙임으로써 정해집니다. 그리고 이러한 향을 나는 향료에 알코올과 증류수를 첨가해 향수를 제작합니다. 알코올과 증류수의 비율을 적절히 조절하여 향수를 옷이나 몸에 뿌렸을 때 발향의 정도가 다르게끔 만들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공학
22.10.09
0
0
태풍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은 있지만, 그 방법으로인해 생태계가 파괴될 수 있으며, 인명피해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를 막기 위한 자원이 많이 들고, 실제로 수행할 경우 앞서 언급한 부작용이 존재하기 때문에 실현은 어렵다고 봅니다. 인공적으로 바람을 불어 태풍을 소멸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인공적으로 바람을 불기 위해서는 한반도보다 몇 배로 큰 바람 생성기가 필요한데, 이러한 것은 사실상 불가능이라 봐야합니다. 또한, 태풍의 눈에 폭탄을 투하해 태풍을 소멸시키는 방법도 있는데, 이러한 것도 생태계의 파괴, 환경 파괴로 이어질 수 있으니 좋지않죠. 태풍이 올 때 잘 대비하여 피해를 최소화하여 지나가게 하는게 현재로썬 가장 효율적인 방법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9
0
0
연간 강수량이 많은데도 불구하고, 열대우림에는 다양한 식물종이 서식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토양에 영양분이 전부 씻겨내려가지는 않으며, 죽은 벌레나 동물의 사체가 영양분을 제공해줄 수도 있습니다. 또한, 많은 식물이 존재하기 때문에 토양에 뿌리가 많게되는데 이 뿌리가 영양분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충분한 영양분과 넉넉한 물의 양으로 인해 다양한 식물 종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9
0
0
UFO처럼 날개 없이도 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을 하는데 크게 두 가지 원리 중 베르누이 원리로 양력을 얻는 방법이 아닌 작용-반작용을 이용하면 추진력을 통해 날 수 있습니다.작용-반작용은 프로펠러에서 공기들을 지면으로 밀어내는 힘이나 엔진에서 분출되는 가스를 통해 비행체가 뜨는것을 의미합니다.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공기를 지면으로 수직하게 튕겨내면서 비행체가 뜨는것이고, 가스를 지면으로 밀어내면서 비행체는 공중으로 뜨는 것이죠. 이를 이용한 예시는 로켓, 드론, 헬리콥터 등이 있습니다. 즉, 미래가 아닌 현재에도 가능한 기술입니다.UFO를 본적이 없어 어떻게 날지는 모르겠으나 영화에서 본 UFO를 생각하면 로켓이 비행하는 경우와 유사하다고 생각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9
0
0
미세플라스틱을 계속 섭취하다보면 몸에 어떤 영향을 끼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가 마시는 물이나 음료 등 페트병으로 감싸져 있는데, 이 페트병에는 미세 플라스틱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왜냐하면 품질 검사를 통해 미세플라스틱이 없어야 인정이 되기 때문이죠. 또한 미세플라스틱은 일반 플라스틱이 작게 분해되며 만들어집니다.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요인으로는 자외선 노출, 파도에 의한 물리적 마찰, 산소 이용성, 난류 등이 원인이 됩니다. 그래서 바다에 미세 플라스틱이 많이 있고, 우리가 마시는 음료에는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페트병에 담긴 음식물이 있을 경우 햇빛이 닿지 않는곳에 보관하시는게 가장 좋습니다.만약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하게 되면 호흡기와 소화 기관의 세포에 미세 플라스틱이 접촉되며 인체에서 흡수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흡수로인해 조직에 염증이 생기고, 세포 증식이 억제되며, 괴사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9
0
0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