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에어컨을 튼 패쇄공간에 선풍기를 틀면 산소가 소모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니요. 선풍기는 산소를 소모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에어컨과 선풍기를 폐쇄된 공간에서 사용하여도 산소가 소모되진 않습니다.
학문 /
화학
23.07.31
0
0
우리나라 과학자가 노벨물리학상을 받으신분이 계시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노벨 물리학상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많은 학자분들께서 열심히 연구하고계시니 기다리다보면 좋은 연구를하여 노벨 물리학상도 타는 날이 오리라 믿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31
0
0
그래픽 카드의 존재 이유가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그래픽카드 GPU는 병렬 연산에 특화된 연산장치입니다. 이미지 파일이나 행렬과 같은 연산에 있어 특화되어있습니다. 이미지나 행렬과 같은 연산 과정에서 독립적인 계산을 반복하여 여러번 수행해야합니다. CPU를 사용할 경우 독립적인 연산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시간이 오래걸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GPU를 사용하면 독립적인 계산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지 않고 각 부분에서 동시에 진행하기 때문에 빠른 연산 처리가 가능하죠.쉽게 비유하여 설명하면 CPU는 어려운 문제를 잘 풀고, GPU는 많은 양의 단순한 문제를 잘 풀어내는 특징이 있습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07.31
0
0
안녕하세요,, 적외선 치료기에 노출 되면 화상을 입을 수도 있나요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적외선의 경우 에너지가 높지 않기 때문에 웬만해서는 화상을 입진 않습니다. 다만, 사용 준수 시간보다 길게 쐴경우 낮은 에너지라도 화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피부가 예민하실 경우는 기존 사용 시간보다 적게 쬐이거나, 거리를 멀리두고 쬐이는 것이 좋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31
0
0
'엘리뇨'와 '라니냐'에 대해 알려주십시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적도 부근 열대 태평양은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태양에너지가 유입되는 곳입니다. 평소 태평양의 서쪽은 해수면 온도는 상대적으로 높고 태평양의 동쪽은 낮은 해수면온도 분포를 보입니다. 엘리뇨가 나타나는 이유는 무역풍이 약화됨에 따라 평상시 바다 밑에서 올라오던 차가운 물이 상승하지 못하게 되어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차가운 물이 상승하지 못하여 태평양의 동쪽 해수면 온도가 평상시보다 높은 상태로 지속되는 현상이 바로 엘니뇨가 되겠습니다.라니냐의 경우는 엘니뇨와 반대로 무역풍이 강화되면서 발생되는 현상으로 서태평양의 수온이 상승하고 동태평양의 수온이 하강하며 발생하는 현상이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31
0
0
'남향'의 집을 선호하는 이유를 과학적으로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해가 동쪽에서 서쪽으로 지지만, 정확하게 북과 남쪽의 중앙인 머리위로 지나가는 것이 아닌 남쪽 방향에 치우쳐져 지나갑니다. 그래서 겨울에는 집에 햇빛이 잘들어 따뜻하게 지낼 수 있으며, 여름에는 습기가 잘 증발해 곰팡이가 생기는것을 방해합니다. 그래서 남향을 선호하고 있죠.
학문 /
생물·생명
23.07.31
0
0
우주 공간에서도 위, 아래 개념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에서는 위 아래 구분되는 개념은 아직 없습니다. 우주의 중심을 알아내지 못했을 뿐더러 위아래의 정의도 없습니다. 즉 모든 방향으로 동등한 등방성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31
0
0
포스트잇 접착력은 어떻게 발명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포스티잇은 접착력이 약하지만 잔여물이 잘 남지않는 감압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뗏다 붙였다 할 수 있는 것입니다.여기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감압성 접착제입니다. 감압성 접착제의 성분은 고분자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고분자물질이 접착력을 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7.31
0
0
상온 초전도체가 현실적으로 말이 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초전도체는 특정 온도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전기저항이 0이 되며, 저항에 의한 열이 없어 전력 손실이 최소화 됩니다. 또한, 자기장의 차단하는 특징(마이스너 효과)이 있어 자석을 가져다 대면 자석이 뜨게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즉, 특정 온도가 극저온의 환경일 수도 있고, 상온일수도 있습니다. 현재 이슈되는 초전도체는 상온에서 초전도현상을 유지했다는 연구결과입니다. 이는 아직 신중히 검토중이며 오류일지, 아니면 정말 구현이 가능한지는 기다려봐야겠습니다.과학계에서는 상온에서 초전도체를 만들어내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만약 상온에서 초전도체를 만들어내게 되면 전력손실이 0에 가깝기때문에 굉장한 효율을 낼 수 있습니다. 이는 엄청난 혁명이라고 볼 수 있죠. 전기세가 대폭 감소할 수 있죠. 또한, 전기적 흐름에서 생기는 발열을 없앨 수 있습니다. 그래서 초전도체를 연구하시는 분들은 상온에서 초전도 현상을 볼 수 있는 물질을 찾고자 끈임없이 연구하고 있는 중이죠.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955269#nonehttps://arxiv.org/abs/2307.12008에서 pdf를 받아서 보실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31
0
2
암흑물질을 채취해서 가져올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 암흑물질에 대해 아직 어떻게 생긴지 아무도 모르기 때문에 답을 드릴 수 없습니다. 암흑물질에 대해서는 실험적으로 현상은 관측되었지만 근본적인 물질이 어떠한 것인지는 아직 밝혀진것이 없으며, 현재도 연구중에 있습니다. 암흑물질이 무엇인지 밝혀내기 위해 실험도 진행되고있습니다. 이에 대해서 현재도 핫한 연구주제이며 앞으로 어떻게 밝혀질지는 기다려봐야겠네요.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7.31
0
0
37
38
39
40
41
42
43
44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