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사진과 거울의 차이를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거울은 평면거울에 반사된 상이 눈으로 들어오는 것이며, 사진은 작은 렌즈를 통해 물체의 빛을 모아 인화하여 사진으로 만든것이기 때문에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실물에 가까운 것은 거울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사진은 입체적인 우리의 모습을 카메라 눈 하나로 2차원 사진으로 담기 때문이죠. 우리의 눈은 두 개이며 공간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거울로 보는 우리의 모습도 공간감을 느낄 수 있으며 실물과 비슷하죠. 하지만, 거울은 좌우가 반전되었기 때문에 타인이 인식하는 나와 본인이 인식하는 나의 모습이 다르게 와닿을 수는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2.10.01
0
0
가을 낙엽은 잎 색이 왜 달라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가을이 되면서 나뭇잎에 엽록소가 분해돼 노란, 주황, 빨강, 핑크 등으로 색이 변하기 때문입니다.단풍이 지고 낙엽이 떨어지는 이유는 나무의 겨울나기(월동준비)준비를 하는것입니다. 겨울 동안 나무는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고 나무 내에 있는 수분을 최소화(수분이 얼면 부피가 증가해 손상을 입기때문에)하는 작업을 시작합니다. 그 중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해 잎과 나뭇가지 사이에 떨켜층을 형성하여 나뭇잎에 수분 공급을 중단시키고, 나뭇잎에서 나무로 영양분이 전달되지 않게 됩니다. 이렇게 겨울나기를 준비하기 시작하는 시기는 온도가 떨어지고, 일교차가 커지는 시기입니다. 나무도 생물이기 때문에 주변 온도를 감지하고 변화를 시작하죠.봄부터 여름까지 엽록소가 만들어지면서 초록 잎을 유지하였지만 가을이 되면서 이 엽록소가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이유는 떨켜층에 의해 나뭇잎에 수분이 부족해지고 영양분이 쌓여 산성을 띠게 되면서 엽록소가 분해됩니다. 엽록소가 분해되며 노란, 주황, 빨강, 핑크 등으로 색이 바뀌어 단풍이 지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1
0
0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세수를 하고 나면 피부를 보호하고 있던 유분이 닦여 나가게됩니다. 그리고, 피부에 있던 수분이 겨울의 건조한 공기중으로 증발해버리죠. 그래서 더 건조해지는것입니다. 얼굴 피부에 수분을 잡아두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유분막이 필요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10.01
0
0
미래에는 실제로 인터스텔라 같은 영화처럼 먼지가 뒤덮히는 세상이 올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미래는 어떻게 될지 그 누구도 예측하기 힘듭니다. 그래서 정확한 답변이 어렵겠네요. 먼 미래에는 빙하기가 반드시 올 것이며, 지구의 멸망도 반드시 올 수 있다고는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1
0
0
과학 연구를 할 때 실험자 오류는 어떤 경우에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예를 들어 실험자가 질량을 가진 중성의 두 극판은 아주 가까이 두면 만유인력이 강해져 서로 끌어 당긴다라는 가설을 세운 뒤 다음과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중성의 두 극판이 있습니다. 이 두 극판을 진공관에 넣어 1nm 간격을 두고 배치해 두었습니다. 시간이 지나자 이 두 극판의 간격이 1nm 이하가 되었습니다. 이에, 실험자는 두 극판의 만유인력에 의해 간격사이가 좁아졌다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이것이 실험자 오류(experimenter bias) 입니다.실험자는 만유인력이란 지식이 있었고 가설을 세워 실험을 해 결과를 냈으며, 결과 역시 만족스러웠을 것입니다. 하지만, 시간에 따라 간격의 차이를 측정하였다면 실험자는 자신의 가설이 틀림을 알아차렸을 것이지만 가설에만 초점을 맞췄기 때문에 제대로된 원인을 파악하지 못하였죠. 위 실험 상황에서는 중력뿐아닌 진공에너지 차이인 카시미르 효과에 의한 힘도 발생합니다. 그래서 실험자의 오류로 인해 정확한 현상의 해석을 하지 못한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0.01
0
0
깁스 절단하는 글라인더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의료용 톱, 글라인더는 회전이나, 진동을 통해 열을 발생시켜 깁스를 녹이는 원리입니다. 그리고, 의료용 톱, 글라인더는 안전을 위해 살이 닿게되면 멈추게 되는데, 이 원리는 사람의 몸에는 미세한 전류가 흐르고 있어 정전기를 감지하여 멈추는 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0.01
0
0
가을하늘은 왜 파란색깔띠는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데,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산란이란 쉽게 생각해 빛의 경로가 바뀐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하늘에서 파란색의 파장 영역대의 빛이 공기와 산란하여 여기저기 튀다 우리 눈으로 들어온 것이죠. 반면에 다른 빛은 모두 공기를 투과하여 지면에 닿기 때문에 하늘의 색에는 기여하지 않습니다.가을에는 다른 계절에 비해 대기가 깨끗한 상태입니다. 왜냐하면 차고 건조한 기단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대기 중에 수증기량도 적고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맑은 기후이죠. 또한 미세먼지도 적은 시기입니다. 그래서 높은 곳에서부터 대기와 충돌해 빛의 산란이 일어나는데 이 때문에 가을 하늘이 높이 보이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10.01
0
0
사람은 왜, 체온이 36.5도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의 몸에는 효소라는 것이 있습니다. 효소는 화학적 반응을 촉진시켜주는 촉매역할을 하죠. 우리 몸에는 다양한 화학 반응이 일어납니다. 영양분을 분해하여 체내로 흡수해 우리 몸을 구성하거나 생명 활동을 하게 해주죠. 또한, 노폐물과 독소를 뺄 때에도 효소가 관여합니다. 이 효소는 36도씨 정도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성화됩니다. 그래서 사람은 효율적으로 진화해 왔으며 온도는 효소가 잘 작용할 수 있는 36.5도씨가된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10.01
0
0
KTX는 약 시속 300KM을 달립니다 더빠른 기차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하이퍼루프가 있습니다. 하이퍼루프의 목표 속도는 시속 1,200km 이며 진공관을 통해 이동하는 기차입니다. 공기 저항, 마찰을 최소화하여 굉장히 빠른 속도를 낼 수 있죠. KTX나 SRT의 경우 330km/h 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10.01
0
0
한국 전투기 기술은 어느정도 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음, 과학적인 질문이 아니라 답변이 어렵네요.. 경제, 무역 분야에 질문을 올리시면 원하시는 답을 정확하게 얻을 수 있을 듯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10.01
0
0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