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폰 사용시 잔상이 생기는 이유가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번인 현상은 OLED를 사용하면 발생할 수 있습니다. OLED는 유기물을 사용하여 자체 발광을 할 수 있게끔 만든 디스플레이입니다. OLED의 단점은 유기물을 사용하므로 유기물의 수명이 다하면 변색이 돼 번인 현상(잔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를 보완하고자 유기물 대신 무기물을 사용한 디스플레이도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9
0
0
단단한 돌맹이는 어떻게해서 만들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생성 초기에 뜨거운 환경에서 무거운 원소들과 다양한 원소들이 녹아 있었습니다. 지구가 서서히 식으면서 이들이 뭉쳐 돌멩이, 바위를 형성하게 되었죠. 그리고 지구가 만들어지고 모래, 돌멩이, 바위 등 여러 물질이 있었으며, 오랜 시간동안 돌이 깎여 모래가 되고, 이 모래들이 땅에 묻혀 긴 시간동안 고온과 고압 환경에서 퇴적되어 돌이 만들어지기도 하였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9
0
0
휘발유성분은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휘발유는 30~150도 정도에서 기화가 일어나며 이 기체를 수집하여 액화함으로써 추출이 가능합니다.등유는 150~200도 정도, 경유는 230~350도 정도에서 추출이 가능합니다.원유를 가열함으로써 원유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 원유의 온도가 30~150일때는 휘발유가 기화되므로 휘발류가 추출되어 나오는 관을 열어 추출을 하죠. 이 때 경유나 등유의 관은 닫혀있습니다.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끓는점에 맞게 각각의 추출물이 연결된 관을 여는 식으로 추출을 합니다. 그리고 원유에서는 중유가 30~50%정도로 가장 많이 추출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9
0
0
압력단위는 보통 bar를 쓰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bar는 10만Pa(파스칼)을 1bar로 정의합니다. Pa(파스칼)은 단위 면적 1m²에 1N의 힘이 작용할 때의 압력입니다. 보통 bar는 기상 연구를 하는데 사용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29
0
0
태풍 진로확인을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기상 데이터를 기반으로하여 예측합니다. 각 지역에 풍향, 풍속, 강수량, 온도 등을 측정하는 관측장비가 있으며 여기서 관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치모델링을 통해 태풍의 경로나 강도, 바람의 세기 등을 예측 합니다. 예측결과를 얻기위해서는 위치정보와 시간정보, 온도, 습도, 풍향 등 다양한 변수를 담고 있는복잡한 미분방정식을 풀어내어 해를 구함으로써 특정 위치에 특정 시간에 어떤 상태일것이라는것을 예측하는것이죠. 하지만, 이러한 예측이 완벽한 예측은 아닙니다. 모델링을 하였다 하더라도 현실에서 발생하는 모든 현상을 완전히 고려한것은 아니니까요. 또한 관측값을 통해 예측을 실시하기도하는데, 관측값이 온전한 값일 수도 없습니다. 관측에는 항상 오차나 오류가 존재하기 때문이죠. 이러한 이유로 완벽한 예측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29
0
0
엘리베이터의 작동원리는 어떤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엘리베이터는 고정 도르레의 원리를 사용합니다. 엘리베이터는 도르레로 연결되어 있으며, 엘리베이터와 탈부착 가능한 거대한 추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추의 무게를 조절해 엘리베이터를 내려가게하거나 올라가게 하는것입니다. 마치 헬스기구 중 무게 조절이 가능한 턱걸이 헬스기구를 생각하시면 이해가 쉬울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09.29
0
0
제비는 어떻게 예전의 둥지를 찾아오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제비도 철새의 종류로 철새와 같은 방법으로 길이나 집을 찾을 수 있습니다. 또한, 새들은 귀소 본능이 있습니다. 그래서 지형을 파악하고 기억해두어 잘 찾아오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9
0
0
핵 미사일을 공주메서 요격하면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상에도 피해가 발생합니다. 핵 폭탄의 폭발로인해 충격파의 영향력이 있을 수 있으며, 섬광으로 눈에 타격을 줄 수도 있으며, 방사선과 방사능 물질이 방출되어 환경 및 사람에게 피해를 줍니다. 그리고 핵폭발 후 버섯구름의 형성으로 방사물질이 퍼져나가 방사 물질을 포함된 비가 내려 우리에게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또한, 햇빛을 차단해 기온을 떨어뜨릴 수도 있죠. 그래서 핵폭탄은 위험하며 좋지 않은 무기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29
0
0
우리 신체 중 가장 예민한 부분은 어디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질문자님께서 생각하신 것이 맞습니다. 후각이 가장 예민하며 가장 빨리 둔해지기 때문에 피로가 가장 빠르게 온다 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29
0
0
전자의 이동방향과 전류의 이동방향은 반대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전류의 정의(약속) 때문이죠. 전류(시간당 이동한 전하량)의 이동방향은 (+) 양성자, 양의 전하를 가진 물질의 이동 방향을 기준합니다. 그래서 전자(-) 음전하의 이동은 상대적으로 + 전하와 반대이므로 전류의 방향과 반대입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도선은 도체이며 자유전자만 움직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고려하는 상황들의 대부분은 전자의 움직임이며 이를 이용하여 전류를 계산합니다. 그리고 그 방향은 전류의 반대 방향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9
0
0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