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미국의 금문교, 한국의 서해대교와 같은 현수교가 가지는 교량으로서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교량의 장점은 교통상 먼 거리를 가로질러 짧고 빠르게 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섬과 섬, 섬과 육지, 육지와 육지 간 교량으로 인해 먼 거리를 빠르게 이동할 수 있죠. 또한, 교량은 미관상 보기 좋을 수 있으며 웅장함을 선사할 수 있는 점도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27
0
0
전압은 높을수록 좋은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압을 낮추기도 하고 높이기도 하는 이유는 저항이 있기 때문입니다.전압은 도선에 전류를 흐르게 합니다. 그리고 도선에는 저항이 있습니다. 저항이 있는 도선에 전류가 흐르면 전기적 마찰에 의해 열이 발생합니다. 이 열은 에너지의 손실을 의미합니다. 즉, 전압을 높이면 전류가 많이 흐르게 되면서 도선에 열이 많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압을 너무 낮추면 전류가 잘 흐르지 않아 송신에 문제가 발생하죠. 그래서 전압은 무작정 높인다고 좋은것이 아닙니다. 효율을 생각해서 높여야 하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7
0
0
우주가 최초로 시작한게 어떻게 시작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의 탄생에 있어 현재 과학적으로 이게 절대적으로 맞는것이다 라고 할만한 연구까진 진행된것은 없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가장 각광받는 이론은 빅뱅 이론이죠. 한 점에서 폭발하여 우주가 탄생되었다는것이죠. 하지만 이 폭발이 어떻게해서 발생했는지는 아직 모릅니다. 무에서 유가 창조 되었다면 어떤 원리로 창조 되었는지를 설명해야합니다. 이를 설명하는데, 물리적인 법칙에 위배가 될 수도있으며, 위배가 되지않는 선에서 설명을 하려고 하여도 또 다른 무언가를 입증해야합니다. 또는, 빅뱅이전 두 개 이상의 에너지가 충돌하여 하나는 우리 우주가 되고 다른 부분에선 다른 우주가 되었다 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아직 빅뱅이 어떻게 일어났는지는 알 수 없는 영역이며 풀어나가야할 숙제입니다.우주의 미래는 우주가 계속해서 팽창 할지, 아니면 팽창을 멈추고 평탄한 우주가 될지, 팽창을 멈추고 수축을 시작할지는 아직 연구중에 있으며 어떤 우주가 될지는 미지합니다. 현재 우주는 이러한 변화가 일어나기 전인 변곡점에 걸쳐 있는것으로 연구가 되고 있습니다. 현재 물질과 빛의 양의 밀도를 계산하여 우주가 팽창할것이라 추정도하지만 아직 밝혀지지 않은 암흑에너지와 암흑물질의 양의 정도에 따라 우주가 어떻게 변할지 바뀔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아직은 미지의 영역(95% 정도)이고 앞으로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를 연구하여 밝혀냄으로써 우주의 미래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7
0
0
서태평양 해역에서의 태풍의 발생 횟수, 강도가 높아짐과 동시에 발생 위도가 올라오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해수의 온도가 적도 부근에서 가장 높으며, 해수 온도가 높은 부분이 확장 되었을 경우에 조금 더 높은 위도에서 태풍이 만들어 질 수 있습니다.태풍의 강도는 수증기량과 저기압 시스템의 발달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래서 늦여름, 가을에도 강한 태풍이 올 수 있으며, 태풍이 만들어질 때의 환경이 수증기량이 많고 강한 저기압을 만들게 될 때 강한 태풍이 됩니다. 그런데 적도부근 말고 조금 더 높은 위도에서 해수의 온도가 높아지면 이로 인해 물의 증발량이 올라가고 수증기량이 많아져 높은 위도에서도 태풍이 만들어 질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7
0
0
우주의 언제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알려주시겠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의 탄생에 있어 현재 과학적으로 이게 절대적으로 맞는것이다 라고 할만한 연구까진 진행된것은 없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가장 각광받는 이론은 빅뱅 이론이죠. 한 점에서 폭발하여 우주가 탄생되었다는것이죠. 하지만 이 폭발이 어떻게해서 발생했는지는 아직 모릅니다. 무에서 유가 창조 되었다면 어떤 원리로 창조 되었는지를 설명해야합니다. 이를 설명하는데, 물리적인 법칙에 위배가 될 수도있으며, 위배가 되지않는 선에서 설명을 하려고 하여도 또 다른 무언가를 입증해야합니다. 또는, 빅뱅이전 두 개 이상의 에너지가 충돌하여 하나는 우리 우주가 되고 다른 부분에선 다른 우주가 되었다 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아직 빅뱅이 어떻게 일어났는지는 알 수 없는 영역이며 풀어나가야할 숙제입니다.우주의 미래는 우주가 계속해서 팽창 할지, 아니면 팽창을 멈추고 평탄한 우주가 될지, 팽창을 멈추고 수축을 시작할지는 아직 연구중에 있으며 어떤 우주가 될지는 미지합니다. 현재 우주는 이러한 변화가 일어나기 전인 변곡점에 걸쳐 있는것으로 연구가 되고 있습니다. 현재 물질과 빛의 양의 밀도를 계산하여 우주가 팽창할것이라 추정도하지만 아직 밝혀지지 않은 암흑에너지와 암흑물질의 양의 정도에 따라 우주가 어떻게 변할지 바뀔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아직은 미지의 영역(95% 정도)이고 앞으로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를 연구하여 밝혀냄으로써 우주의 미래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7
0
0
1,5도상승의 공포? 라고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온난화로 남극과 북극의 눈과 얼음이 계속해서 녹고 있습니다. 북극의 경우 대륙이 없고 빙하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남극은 대륙 위에 눈과 얼음이 뒤덮고 있죠. 북극의 빙하가 녹게 될 경우 해수면의 상승은 없다고 보시는게 맞습니다. 왜냐하면 물 위에 얼음이 둥둥 떠있다가 얼음이 녹아도 수위가 안 올라가는 이유와 같습니다. 물은 얼음이 되면서 부피가 커지는데, 그 부피가 커지는 만큼 수면 위로 뜨기 때문이죠. 하지만 남극의 경우는 다릅니다. 남극은 대륙이며 대륙위에 눈과 얼음이 뒤덮고 있죠. 이 눈과 얼음이 녹으면서 바다로 유입되면 해수면의 상승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구 전체 면적의 70퍼 정도가 바다이며 일부 남극의 얼음이 전부 녹지 않는 이상 해수위의 상승은 미미합니다.눈과 얼음이 녹아 바다로 유입되고 태양 에너지를 받아 수온이 상승하게 되면 해수위가 상승하는 또 다른 조건입니다. 바닷물에 열이 가해지면 운동성이 활발해져 부피가 팽창하기 때문이죠.그러나, 온난화로 인해 영구동토층이 녹아 온난화를 가속시킬 위험도 있습니다.영구동토층은 보통 북극의 고위도에 위치하며, 1년 내내 얼어 붙어 있는 퇴적물, 토양, 기반암 등을 의미합니다. 영구동토층의 면적은 지구 육지 표면적의 14%이며 약 2100만 km² 입니다. 이 영구동토층은 탄소, 메탄 가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녹게되면 탄소와 메탄가스가 대기로 나올 수 있습니다. 즉, 지구온난화를 가속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시한폭탄이라는 표현을 하고있죠. 온난화로 지구가 따뜻해지면서 영구동토층이 녹을 수 있는데, 영구동토층이 녹으면서 온실가스인 탄소, 메탄가스가 대기로 흘러나오니 온난화가 더욱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7
0
0
이 버섯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운지 버섯(구름 버섯) 같아 보입니다. 하지만 비슷한 모양의 다른 버섯일 수 있으니 정확히 알아보셔야 할듯합니다. 운지 버섯일 경우는 항암 효과에 좋아 먹을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7
0
0
태풍과 토네이도 중 어는것이 더 강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1961년 태풍 낸시(Typhoon Nancy)는 에 북서 태평양에서 발생한 태풍으로 1분 최대 풍속이 345 km/h 였습니다. 1999년의 브리지 크리크-무어 토네이도 는 순간 최대 풍속 484km/h(134.4m/s)이며 인류 역사상 가장 강력한 바람을 일으킨 토네이도입니다.태풍은 넓은 지역에 피해를 주며, 토네이도는 좁은 지역에 강한 피해를 줍니다. 둘 다 강력할 경우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인명피해가 많았습니다. 누적 피해량으로는 태풍의 피해가 훨씬 많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7
0
0
사랑 감정에 대해 질문드립니다.(호르몬 관련)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랑이라는 감정은 도파민이 만드는 감정으로 낭만적 사랑, 구애하고 싶은 욕망 등의 감정을 느끼게 됩니다. 호르몬을 강제적으로 이용할 수는 없지만, 만약 처음에 별 감정이 없던 사람이더라도 같이 자극을 받는 활동을 함으로써 도파민이 분비된다면 사랑의 감정을 느낄 수 있을것으로 판단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7
0
0
하품을 하다보면 눈물이 나는데 왜 이런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얼굴에 있는 눈, 코, 잎, 귀의 신경은 서로 연결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하품을 하게 될 경우 눈물샘을 자극하여 눈물이 나오는 것이죠. 코피어싱도 마찬가지로 코와 눈의 신경이 연결되어있어 눈물이 나는것입니다. 감정에 의해 슬퍼서 눈물을 흘릴때 코끝이 찡해지는 이유도 같은 이유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27
0
0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