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오래 걸으면 다리가 아픈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오래 걸으면 운동을 한 것이기 때문에 근육의 근섬유가 상처를 입거나 근육이 뭉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이 통증으로 이어지는 것이죠. 손으로 만져주면 뭉친 근육을 풀어주기 때문에 시원한 느낌을 받는 것입니다. 그리고 꾸준히 하루에 30분 정도 이상 걷는 것은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도움이 되었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물리
22.09.26
0
0
우주에서 인간의 필수 생존 요소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에서 살기 위해서는 산소(공기), 적절한 온도, 물, 영양분, 방사선으로부터 보호 등이 필요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지진이 나기 전에 동물들은 미리 반응한다는데, 사실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동물의 이상행동이 지진의 전조증상으로 볼 수 있냐에 대한 연구는 진행중입니다. 현재 지진 전조 증상은 지진계, 지진파를 통해 과학적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6
0
0
이 식물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제가 보기에는 상추보다는 케일에 가까워 보이네요... 음 정확한 정보는 모르겠네요 저도 궁금해서 그런데 알게 되면 댓글 부탁드립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6
0
0
수학이 분야에 없어 과학으로 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학 문제를 조금 풀어보시면 감이 생기겠지만 (ax+by+c(상수항))^2과 같은 항을 전개하면 x^2, y^2, xy, x, y, 상수항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문제를 보고 전개 된 항이 x^2, y^2, xy, x, y, 상수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면, (x+y+c)(ax+by+d)의 형태나 (ax+by+c)^2의 형태를 의심하고 풀어나가시면 도움이 될 듯 합니다. 즐겁게 수학공부하시기 바랍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6
0
0
직류 전류와 교류 전류의 용도가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직류와 교류의 큰 차이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냐 안하냐의 차이입니다.직류 전압, 직류 전류의 경우 시간이 지나도 일정한 양을 가지죠. 예를들어 5V건전지를 전구와 연결했을 때 전류가 1A가 흐른다면, 시간이 지나도 전압은 여전히 5V이고 전류는 1A입니다. 이게 직류입니다.교류 전압, 교류 전류의 경우 시간에 따라 계속해서 변하는 양을 가집니다. 예를 들어 220V의 60Hz의 전압을 전구에 연결하였을 때 전구의 전류가 4A의 60Hz라고 칩시다. 이때 전압은 0V에서 220V까지 증가했다가 220V에서 0으로 0에서 -220V로 -220V에서 0이 됨을 반복합니다. 반복하는 정도는 1초에 60번 반복하는것이죠. 그래서 220V의 60Hz입니다. 이때 전류도 마찬가지로 최대 4A에서 최소 -4A로 1초에 60번 반복하여 바뀝니다. 이것이 교류입니다.보통 건전지를 사용하여 현관문 자물쇠나, 손전등을 사용하는것은 직류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콘센트에 연결하는것을 교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직류와 교류가 나뉘는 이유는 용도에 따라 효율적이고 유용한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6
0
0
태풍이 생기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부근의 바다에서 만들어집니다. 적도 부근에서 태양 에너지를 받아 물이 증발하여 상승하며 구름이 다수 만들어집니다. 여름이나 가을에 적도 부근에서는 이러한 구름이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태풍이라고합니다. 태풍은 바람의 흐름을 타 중위도, 고위도까지 올라옵니다. 올라올때 바다 위를 지나면서 오는데 바다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머금고 세력을 키우며 올라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나 다른 나라를 강타하죠. 태풍은 육지내에서 더 이상 수증기를 공급 받지 못하기 때문에 세력이 약해지며 소멸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태양광 패널에 모이는 햇빛이 전기에너지로 바뀌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광 발전은 광전효과에 의해 전류를 얻는 발전기입니다.광전효과란 금속에 빛(광자; 전자기파;)을 쪼으면 금속 표면에 있던 자유전자가 튀어나와 전류를 만드는 현상입니다. 그리고 자유전자가 금속을 탈출하기 위한 에너지가 필요한데, 이 최소 에너지의 크기를 일함수라고 합니다. 즉, 자유전자는 일함수의 크기만큼이나 더 큰 운동에너지를 가져야 탈출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자유전자가 운동에너지를 가질 수 있는 방법은 외부 빛(광자)과 충돌하는것이죠. 이 때 충돌하여 에너지를 얻는 정도는 빛의 에너지에 의존됩니다. 빛 에너지가 강할수록 다시말해 빛의 진동수가 높을수록(파장이 짧을 수록) 자유전자가 받는 에너지가 크게됩니다. 그리고 금속의 종류에 따라 일함수가 다른데, 대부분의 경우에는 자외선 영역대의 빛을 쬐여주면 자유전자가 튀어나와 전류를 만듭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6
0
0
사람은 물을 안마시고 살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사람은 물이 꼭 필요합니다. 그래서 물을 안마시면 죽기 때문에 물을 마시지 않고 살려면, 관장을 통해 수분을 흡수하거나 수액을 맞아 수분을 공급받을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6
0
0
채소를 썰면 왜 눈물이 나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양파를 썰거나 다지게 되면 최루성 물질을 만드는 효소가 활성화됩니다. 이 효소의 활성화로 최루성 물질인 프로페닐스르펜산이라는 휘발성 물질이 나오는데, 이 물질이 휘발하여 눈과 코의 점막에 닿아 맵게 만들고 눈물이 나게 만드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26
0
0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