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일반 빛에도 열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형광등, 전등의 빛도 열이 있습니다. 이 열을 모으면 종이를 태울 수 있죠. 하지만 형광등, 전등의 빛은 태양 빛에 비해 굉장히 약하기 때문에 돋보기로 모아도 많은 열을 내지 못합니다. 그래서 형광등, 전등을 굉장히 많이 설치해야 종이를 태울 수 있는 열을 만들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6
0
0
모기의 수명은 얼마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모기는 따뜻한 곳에서는 지속적으로 살 수 있습니다. 겨울에 모기는 살 수 없지만 집안과 창고와 같이 따뜻한 장소가 있다면 살 수 있습니다. 또한, 모기는 겨울의 추운 환경에서 동면에 들어가 활동에너지를 줄여 오래 살 수 있습니다. 그리고 따뜻해지면 알을 낳아 번성을 하죠. 그래서 모기가 멸종하지 않고 매년 등장하는 이유입니다.모기의 수명은 수컷의 경우는 10일 정도, 암컷의 경우는 42~56일 정도 살 수 있다고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6
0
0
엘니뇨와 라니냐의 발생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적도 부근 열대 태평양은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태양에너지가 유입되는 곳입니다. 평소 태평양의 서쪽은 해수면 온도는 상대적으로 높고 태평양의 동쪽은 낮은 해수면온도 분포를 보입니다. 엘리뇨가 나타나는 이유는 무역풍이 약화됨에 따라 평상시 바다 밑에서 올라오던 차가운 물이 상승하지 못하게 되어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차가운 물이 상승하지 못하여 태평양의 동쪽 해수면 온도가 평상시보다 높은 상태로 지속되는 현상이 바로 엘니뇨입니다.라니냐의 경우는 엘니뇨와 반대로 무역풍이 강화되면서 발생되는 현상으로 서태평양의 수온이 상승하고 동태평양의 수온이 하강하며 발생하는 현상입니다.엘니뇨(라니냐)로 인해 그 주변 지역의 기후현상이 달라집니다. 엘니뇨(라니냐)에 의해 비가 적게 내리던 지역에 비가 많이 내리기도하며 평소 비가 오던 지역에 가뭄이 찾아오기도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우주선 발사 시 3단 분리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로켓에 사용되는 연료가 많기 때문에 3단으로 구성한 것입니다.로켓이 지구를 떠나 우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중력에너지를 이겨낼 수 있는 추진력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추진력을 얻기위해서는 사용되는 연료의 양도 만만치 않죠. 그래서 많은 추진력을 얻고자 로켓의 부피에 50퍼 이상을 채워넣는데요. 만약 연료를 전부 사용하고 나면 로켓의 이동에 불필요한 부분이 많아지기 때문에 단계에 걸쳐 구성을 해놓은 것입니다. 로켓의 머리부분에는 인공위성, 탐사선과 같이 우주에 보낼 주요 목적이 포함되어 있고 나머지는 전부 추진력을 얻기 위한 연료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그리고 분리되어 떨어지는 로켓의 일부는 전부 안전한 지대에 떨어지게끔 계산을 해두며 수거를 해갑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동물들의 이상행동으로 지진을 예측할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동물의 이상행동이 지진의 전조증상으로 볼 수 있냐에 대한 연구는 진행중입니다. 현재 지진 전조 증상은 지진계, 지진파를 통해 과학적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6
0
0
최면이라는건 과학적으로 증명 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전생체험, 최면 등 과학적으로 입증된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이를 과학적으로 분석해내고 입증하려고 노력하는 연구자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과학적은 근거하에 입증된 사실은 없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6
0
0
바코드를 인식하는 기기는 왜 빨간불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빨간 레이저 빛을 사용하는 이유는 빨간빛을 내는 LED를 생산하기 쉽고 비교적 저렴하기 때문에 빨간 빛을 사용합니다.빨간 레이저 빛을 바코드에 쏘고 바코드에서 반사되어 나온 빛을 판독해 내는 원리입니다. 바코드의 검은 막대선은 빛을 흡수하여 약한 빛이 되돌아가며, 흰부분에서는 빛이 반사되어 강한 빛으로 되돌아가는데, 이를 판독 해독하여 상품 정보를 알아내는 원리입니다.바코드는 물건마다 다 다르며 선의 굵기 간격 등을 조절하여 암호화된 코드 입니다. 이를 바코드 리더기로 읽어 암호를 해독해 무슨 물품이며 가격이 얼마인지 책정할 수 있는것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6
0
0
비데의 원리(물나오는)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비데에는 사람이 앉을 때 이를 감지하는 센서가 달려 있습니다. 사람이 앉게 되면 센서가 감지하여 작동을 시작하고, 변기 커버가 따뜻해지기 시작하거나 온수가 작동하기 시작하죠. 그리고 사람이 떠나가면 센서가 감지하여 온도, 온수를 차단해 전력량을 줄이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6
0
0
하품을 자주 하는 편인데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하품은 체내에 산소가 부족해지면 산소를 얻으려 많은 공기를 마시기 위해 하품을 하는것입니다. 주변에서 하품을 하면 주변사람들 또한 산소가 부족한 상태이고, 주변 사람들의 하품으로 인해 더욱 산소가 부족해져 하품이 연쇄적으로 전파될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26
0
0
태풍은 어떻게 생기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은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부근의 바다에서 만들어집니다. 적도 부근에서 태양 에너지를 받아 물이 증발하여 상승하며 구름이 다수 만들어집니다. 여름이나 가을에 적도 부근에서는 이러한 구름이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태풍이라고합니다. 태풍은 바람의 흐름을 타 중위도, 고위도까지 올라옵니다. 올라올때 바다 위를 지나면서 오는데 바다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머금고 세력을 키우며 올라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나 다른 나라를 강타하죠. 태풍은 육지내에서 더 이상 수증기를 공급 받지 못하기 때문에 세력이 약해지며 소멸합니다.태풍의 강도는 수증기량과 저기압 시스템의 발달과 관련이 있습니다. 여름이나 가을에 강한 태풍이 올 수 있으며, 태풍이 만들어질 때의 환경이 수증기량이 많고 강한 저기압을 만들게 될때 강한태풍이 됩니다. 그런데 9월 경에는 해수의 온도가 가장 높은 시기이고 이로인해 물의 증발량이 올라가기 때문에 수증기량이 많아져 강한 태풍이 만들어 지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6
0
0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