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산에있는 나무는 왜 겨울에 얼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나무는 4계절을 견디면서 성장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유해한 환경에 노출되지 않고 나무에 악영향을 주는 동물이나 곤충에게 노출되지 않을 경우 200~300년 정도 살 수 있습니다. 나무가 겨울을 나는 방법은 나무 내에 있는 수분을 최소화 하며, 당분 등을 합성해 세포로 보내고 세포 내 수분이 어는점을 낮추며 겨울을 보냅니다. 침엽수(소나무처럼 잎이 얇고 뾰족한 나무들)의 경우 온도가 낮은 상황에서도 광합성을 할 수 있으며, 침엽수의 수관(물의 통로)은 얇아 물이 잘 얼지 않으며 설령 얼더라도 조직 피해를 입지 않는다고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3
0
0
질량을 가진 물체는 빛 보다 빠를 수 없다고 아는데..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빛보다 빠른 입자(물질)는 없으며, 질량이 있는 물체는 빛보다 느립니다. 그리고 빛은 질량이 없습니다.또한, 현재 발견된 입자 중 빛보다 빠른 입자는 발견하지 못하였습니다.열효율을 높게 낼 수 있는 현실적인 기관은 스털링 기관이 있습니다. 스털링 기관의 열효율은 이론적으로 50%이지만 현실에서는 50% 이하입니다. 이 기관은 열효율이 높은 현실적인 기관이죠.열효율을 높게 낼 수 있는 이상적인 기관은 카르노 기관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또한 이상적인 기관이며, 현실적이진 않죠. 그리고 열효율이 1, 즉 100%인 기관은 만들 수 없음을 이론적으로 증명하였습니다.타임머신은 상대성 이론으로 어느정도 설명이 가능합니다. 시간 여행의 경우 미래로는 이동이 가능하며 과거로는 불가능합니다.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빛의 속력과 비슷한 속력으로 여행을 다녀오거나, 중력이 강한 행성을 다녀오게 되면 지구에 있는 사람들보다 시간이 느리게 흘러 마치 미래로 이동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하지만 이러한 일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광속까지 얻는 추진력(에너지)이 필요하고, 광속에 비슷한 속력으로 이동하는 동안 외부와 충돌없이 안전하게 운행해야합니다. 그리고 중력이 강한 행성에 가기 위해서는 가는데 까지 필요한 연료와, 강한 중력을 견딜 수 있는 육체가 필요하죠. 그래서 영화에서는 쉽게 가능하지만 현실에선 거의 불가능하시다고 보면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3
0
0
먹구름은 왜 어두운 색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먹구름은 비가 내릴 수 있는 구름이고, 일반구름과 달리 수증기, 물의 함량이 높고 물의 크기도 작은것부터 큰것까지 다양한 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빛이 먹구름 내에서 산란하지 못하고 다양한 크기의 물 분자에 흡수되어 어둡게 보이는것이죠.(여기서 산란이란 쉽게 생각해 빛의 경로가 바뀐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3
0
0
하늘이 파란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데,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산란이란 쉽게 생각해 빛의 경로가 바뀐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하늘에서 파란색의 파장 영역대의 빛이 공기와 산란하여 여기저기 튀다 우리 눈으로 들어온 것이죠. 반면에 다른 빛은 모두 공기를 투과하여 지면에 닿기 때문에 하늘의 색에는 기여하지 않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3
0
0
곤충들의 눈에 흰자가 없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대부분의 동물 곤충의 눈에는 흰자위가 없고 사람만이 가장 흰자위가 많죠. 사람의 눈동자에 흰자위가 지닌 까닭은 타인의 시선을 쉽게 읽기 위해서 흰자위가 많게 진화했다고 설명합니다. 사람은 먹고 살기 위해 사냥을 하였으며, 사냥감을 앞에 두고 소리를 내게 되면 사냥감이 도망가기 때문에 시선으로 소통하여 협력하는 전략을 택하였습니다. 그래서 사람의 흰자위가 다른 동물과는 달리 넓게 분포한다고 설명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3
0
0
기후변화의 원인과 대안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줄여 온난화를 늦추거나 막는 방안이 있죠. 4계절이 뚜렷하지 않은것도 온난화의 영향이 있다고 봅니다.지구에서 우주로 열을 방출해야하는데 온실효과로 인해 방출율이 줄어듭니다. 그러면 여름이 지나고 떨어져야 하는 온도인데 유지되고 있어서 가을이 없는거처럼 느껴지는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가을과 봄이 짧아지는 현상이 나타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3
0
0
가을에 단풍은 왜 색이 바뀌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겨울을 지난 봄에 잎이 돋아나기 시작하고 잎에 있는 엽록소가 만들어지면서 초록 잎을 유지합니다. 가을이 되면서 이 엽록소가 더 이상 만들어지지 않고 엽록소가 분해되어 노란, 주황, 빨강, 핑크 등으로 색이 바뀌어 단풍이 지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2.09.23
0
0
MRI는 어떤 원리로 몸 내부를 보여주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mri의 원리우리 몸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인 물은 수소와 산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이 수소와 산소는 스핀을 갖고 있으며 스핀 세차 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mri는 자기장을 내뿜으며 이 수소의 원자핵의 스핀 세차운동을 한 방향으로 정렬시킵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mri에서 전자기파를 쏘게되는데, 이 때 스핀 세차운동과 공명하는 주파수의 빛 만을 다시 방출해냅니다. 그리고 방출된 빛을 mri 장비를 통해 모아 분석하여 내부를 파악하는것입니다.이때 사용하는 전자기파와 자기장은 인체에 무해할 정도의 세기입니다. 또한 자기장에 의해 정렬된 스핀의 세차운동은 자기장이 사라지면 다시 무작위로 변하며, 지구 자기장 방향으로 어느정도 정렬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23
0
0
가을 하늘이 여름보다 높아진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부터 이해하시면 좋을거같습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 가을에는 다른 계절에 비해 대기가 깨끗한 상태입니다. 그래서 높은 곳에서부터 산란이 일어나는데 이 때문에 가을 하늘이 높이 보이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3
0
0
명왕성이 태양계에서 제외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명왕성이 행성의 지위를 박탈당한 계기는 에리스라는 소행성을 발견하고나서부터입니다. 발견 당시 에리스는 태양 주위를 멀리서 돌고있었고 명왕성과 크기가 유사하였습니다. 그래서 국제천문연맹은 에리스를 10번째 행성으로 넣어야 하는지 의논을 시작하였죠.그러면서 명왕성을 다시 잘 관측해보니 태양주위를 돌지만 공전궤도가 찌그러져 해왕성의 공전궤도를 침범할 때도 있었으며, 명왕성이 행성으로써의 크기와 질량을 갖지 못하여 행성보다 위성에 가깝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행성이 되기위해선 위성을 둘만한 중력이 필요하다고 정의한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명왕성이 행성 자격을 박탈당하게되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3
0
0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