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국제우주정거장이나 인공위성은 어떻게 지구로 떨어지지 않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국제 우주 정거장이나 인공위성은 우주에 정지 상태로 있는 것이 아닌 지구 주위를 공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위성은 꼭 지구 주위를 공전해야 합니다. 그래야 공전 속도를 가지게 되고 원심력이 생겨 지구의 중력에 이끌려 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만약 지구 주위를 공전하지 않는다면 질문자님께서 생각하신거처럼 지구 중력에 의해 떨어지게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3
0
0
온도계에 들어가는 빨간 액체는 무슨 액체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빨간 액체의 온도계는 알코올 온도계입니다. 에틸 알코올이 들어있으며, 붉은 색소를 첨가하여 눈에 잘 보이게 해놨죠. 온도계는 어떤 액체로도 만들 수 있습니다. 다만, 온도에 따라 변화가 민감한 액체를 사용하면 더욱 온도변화를 쉽게 감지할 수 있습니다. 알코올의 경우 온도에 민감해 조금의 온도 변화에도 부피의 변화가 확연히 일어납니다. 또한 가격도 저렴하고 쉽게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알코올을 사용하여 온도계를 만든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3
0
0
우주여행은 언재쯤 갈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경우 현재 막 우주에 대해 첫걸음을 뗀 단계입니다. 아직은 유인우주선에 대한 계획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유인우주선을 이용해 우주 탐사를 다녀오고 난 뒤 차차 안정화 과정을 거쳐 우주 여행에 대한 계획도 세워질 것으로 예상됩니다.도움이 되었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3
0
0
경유는 왜 불이 잘 안 붙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경유는 휘발유에 비해 인화점이 높기 때문입니다. 휘발유의 인화점은 -43도 정도이며, 경유의 인화점은 55도 이상입니다.인화점이란 불씨가 있을 때 불이 연쇄적으로 붙을 수 있게하는 가연성 증기를 발생하는 최저 온도를 의미합니다. 즉, 휘발유의 경우 상온에서도 가연성 증기가 발생해 불이 쉽게 붙습니다. 하지만 경유의 경우 상온에서 가연성 증기가 나오지 않으며 55도 이상이 되어야 가연성 증기가 발생하죠. 그래서 경유가 불에 잘 붙지 않는 이유입니다. 하지만 경유도 기름이라 불이 붙을 수 있으며, 붙기 시작하면 온도가 높아져 가연성 증기가 발생해 큰 화재로 이어질 수 있으니 항상 조심하셔야 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3
0
0
우리나라는 항공모함이 왜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항공모함이 따로 필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주변 바다가 넓지 않으며 장시간 이동이 필요 없기 때문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23
0
0
안개가 발생하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고기압이 형성되면 새벽에 안개가 낄 수 있습니다. 밤부터 새벽까지는 식물의 광합성은 없고 호흡만 일어납니다. 그리고 호흡을 통해 수분 생성되며, 잎의 기공을 통해 나와 잎의 표면에 물이나 수증기의 형태로 존재하게 되죠. 그리고 고기압의 영향으로 수증기가 증발하지 못하고 지표면에 쌓이게 되는데, 기온이 낮은 새벽에 수증기가 쌓이며 포화수증기량을 넘어서 안개를 형성하게 됩니다. 그리고 안개 낀 날의 낮에는 대부분 날씨가 맑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고기압 지대이기 때문이죠.풀숲이 아닌, 저수지가 있는곳이나 해안가, 호숫가에서는 물의 증발로 인해 안개가 발생 가능합니다.다른 경우는 비가 오고 난 뒤 습해진 공기와 풀잎이나 나뭇잎에서 물의 증발이 일어납니다. 증발된 수증기가 산을 오르는 기류를 만나 천천히 올라가게 되면 팽창되고 기온이 떨어지게되죠. 그러면서 수증기는 물로 변하게 되는데 이때 안개나 구름이 되는것입니다. 그래서 습한날 산에 보면 작은 안개와 구름이 많이 보이는 이유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3
0
0
1차 전지에 관한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같은 사이즈라도 사용 가능한 용량이 많이 다른가요?네 같은 사이즈라도 전기용량이 다를 수 있습니다. 전기용량은 전하(+, -극)를 얼마나 품을 수 있는지에 대한 정도입니다. - 다르다면, 사이즈가 한정적으로 비슷한데 어떻게 차이가 발생하나요?전기용량은 유전율과 관련이 있는데, 같은 부피의 경우 유전율이 좋으면 전기용량이 높아지고, 더욱 많은 전하를 충전할 수 있습니다.- 용량이 비슷하다면, 소비하는 양과 방전되는 양을 최소화 하는 것인가요?만약 건전지의 용량이 비슷할 경우 건전지의 사용시간이 다르다면 시간당 소비되는 전력의 양이 다를것입니다. 네 질문자님께서 생각하신 소비하는 양과 방전되는 양을 최소화 하는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3
0
0
눈은 항상 깜박이는 데, 깜박이지 않으면 눈이 따갑습니다.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눈을 깜빡이지 않으면 안구가 건조해지면서 마르게 되어 따가움이 찾아옵니다. 눈을 깜빡이는 이유는 눈물샘에서 나오는 눈물을 안구전체에 고르게 퍼뜨려 안구를 촉촉하게 만들기 위해서 입니다. 만약 눈을 깜빡이지 않는다면 안구건조증에 의해 안구가 푸석푸석해지고 안구 표면이 갈라질 위험도 있으며, 외부 물질이나 충격에 안구에 흠집이나 손상이 쉽게 생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눈을 깜빡이는 일은 중요한 것이며, 우리의 의지와 상관없이 뇌와 척수를 이어주는 연수에 의해 일어나는 일입니다. 연수에 의해 무조건 반사가 일어나며 기침, 재채기, 눈깜빡임, 침삼키기 등이 일어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3
0
0
전자파가 사람에게 얼마나 피해를 줍니까?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스마트폰은 마그넷이나 전자파가 나오긴 하지만 인체에 유해할 정도의 전파가 방출되지는 않습니다. 스마트폰을 제작할 때에도 안전 규정을 지키며 생산하기 때문에 큰 걱정은 안하셔도 괜찮을거 같습니다. 또한, 전선이나 tv, 컴퓨터, 전자랜지, 기타 가전제품 등에서도 마찬가지로 인체에 유해 할 정도의 전파는 방출되지 않습니다. 그러니 안심하고 쓰셔도 될듯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3
0
0
컴퓨터가 사람의 머리를 능가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컴퓨터는 사람에 의해 코딩된 부분만 작동하게 되어있습니다. 우리가 무언갈 작동하게끔 해놓지 않으면 스스로 할 수 있는게 없습니다. 딥러닝 또한 마찬가지로 스스로 학습하여 무언갈 판단하거나 결과를 내놓는 일을 한다고는 하지만 전부 알고리즘을 짜놓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입니다. 컴퓨터가 마치 인간처럼 소통하며 서로에게 영향력을 주고 배우며 성장해 갈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가능한 부분인지는 정확하게 모르겠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3
0
0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