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과일은 물만 먹고 자라는데 어떻게 비타민을 함유하고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식물, 나무, 꽃 등은 물만 먹는거 같지만 토양에 있는 양분도 흡수합니다. 또한, 광합성을 통해 화학 에너지 형태의 에너지도 얻습니다. 그리고 호흡을 통해 생명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영양분은 식물, 나무, 꽃의 부분 부분으로 퍼지고 열매한테도 공급을 해주죠. 그래서 열매의 당분, 비타민, 칼로리 등 성분이 다양하게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화학
22.09.20
0
0
도금후 플라즈마 처리 한다는 말이 무슨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활성 가스(O2, CF4, SF6)를 이용한 플라즈마 처리는 재료의 표면의 성분을 증발시키거나 제거하는데 유용한 방법입니다. 재료의 표면에는 눈에 보이는 먼지나 물질이 있을 수 있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산화물(녹이슨 부분)같은게 있을 수 있습니다. 눈에 보이는 물질은 쉽게 제거가 되지만 산화물은 제거가 까다롭죠. 그래서 플라즈마 처리를 이용해 처리하면 눈에 보이지 않는 성분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도금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도 하며, 표면을 균일하게도 해줍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20
0
0
컵에 얼음물을 넣으면 컵주변으로 물방울이 생기는데 원인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공기중에는 수증기가 포함되어있습니다. 수증기는 물이 증발하여 물이 기체상태로 존재하는것이죠. 그런데 찬물을 컵에 떠놓게 되면 컵은 차가운 상태고, 컵 주변에 공기에 접촉하는 부분에서 열교환이 일어납니다. 컵은 차갑기 때문에 컵이 주변 공기로부터 열을 훔쳐오게되죠. 그러면 공기중에 있던 수증기가 컵과 접촉하면서 열을 빼앗깁니다. 수증기가 열을 뺏기면 온도가 떨어지게 되고 더 이상 기체로 존재하지않고 물이되죠. 그래서 컵주변에서 수증기들이 전부 물로 변하여 물방울이 송골송골 맺히는 이유입니다.여름에 차를 타고가며 에어컨을 켰을 때, 히터를 켰을 때 창문에 습기가 맺히는 이유도 같은 이유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0
0
0
방탄유리와 일반유리의 구조적 특성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방탄유리는 두 유리판 사이에 신축이 강한 필름을 붙여 외부의 강한 충격에도 유리의 파편이 튀지 않고 깨지기만 하는 유리입니다. 총알이 유리 판을 뚫기 위해서는 유리 파편을 튀게하여 통과를 해야하는데 방탄유리의 경우 파편이 튀지 않아 총알이 뚫지 못하게 되죠. 또한, 신축이 강한 필름이 총알의 회전을 멎게하고, 충격량을 흡수해줍니다.일반 유리의 경우 단순히 유리로 되어있고, 깨지기가 쉽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2.09.20
0
0
높은산에 철탑을 어떻게 세우나요?또 전선은 무게와 장력이 상당할텐데 어떻게 연결하나요? 설치하는 사람들은 한번 올라가면 완성될때까지 안내려오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높은 산에 철탑을 세우고 전선을 연결하는 이유는 송전(전기를 전달)을 위함입니다. 산에 있는 철탑은 송전탑이고 전압, 전류를 전송하는 경로인 것이죠. 전선은 변전소와 변전소 사이를 구간을 나눠 연결합니다. 철탑과 전선을 설치하시는 분들은 건축가, 한국전력공사, 안전관리자 등 여러 인력이 투입되어 일정기간을 두고 완성시킵니다. 이분들도 퇴근을 해야하기 때문에 올라갔다 내려왔다를 반복하십니다. 완성 될때까지 한번에 끝내는 것이 아닌 휴식을 취하며 완성시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토목공학
22.09.20
0
0
데슬라씨의 발명품 중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것들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니콜라 테슬라(Nikola Tesla)는 많은 발명품을 남겼으며, 물리학에도 큰 영향을 끼친 과학자이자 발명가입니다.대표적인 발명품은 테슬라 코일, 테슬라 터빈 등이 있으며 교류, 무선 통신, 유도 전동기, 회전 자장 등에 영향을 크게 끼쳤습니다.테슬라 코일의 경우 전자기 유도를 기반으로한 발명품인데, 이는 변압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큰 전압을 낮은 전압으로 만들거나 낮은 전압을 큰 전압으로 만드는 변압기이죠. 그래서 변전소와 변압기 등이 테스라에 의해 발명되었다고 봐도 손색이 없죠.그리고 우리 실생활에서 볼 수 있는 콘센트, 전자제품에는 교류 전압이 들어갑니다. 또한, 이러한 교류를 이용하면 빛(전자기파)를 만들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한 것이 무선 통신이죠.우리 주변에 대부분의 것들의 원리가 테슬라의 발명품에 기반하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0
0
0
반투과성 유리의 원리에 대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흔히 매직미러라고 합니다. 카페나, 레스토랑, 취조실, 호텔 등에 사용할 수 있죠.매직미러는 빛의 투과율, 반사율, 흡수율을 조절하여 제작합니다.완전하게 외부에서 내부를 안보이게 가능합니다. 그래서 취조실에서 이를 사용하고 있죠. 매직미러의 원리에 대해 취조실을 예시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취조실에서 나온 빛이 매직미러에서 일부 반사되고 일부는 통과하며 일부는 흡수됩니다. 취조실 밖에서는 취조실 내부에서 통과해 나온 빛을 보게 되는데, 이 때문에 내부 상황을 밖에서도 볼 수 있고 매직미러를 투명한 유리처럼 느낌니다. 반면에 취조실 내부에서는 매직미러에서 반사된 빛을 강하게 보는데 이 때문에 거울처럼 보이는 것이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0
0
0
지문인증으로 인한 접근이 많이 보편화되었는데...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지문 인식 센서로 초음파를 사용하는 원리입니다. 지문 인식기에 지문을 등록할때 지문의 울퉁불퉁함을 이용하여 초음파를 쏴 특징을 저장 시켜놓는것이죠. 초음파가 굴곡을 인식해 이미지화 시킨다고 이해하면 됩니다. 그리고 매번 지문 인증을 할 때마다 저장해둔 이미지와 비교를 통해 인증을 하는것이죠.이러한 원리 때문에 지문을 흑백으로 스캔하면 인증기가 지문으로 인식을 못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굴곡이 거의 없기 때문이죠. 만약 성능이 좋아 흑색의 잉크층과 백색의 잉크가 없는 층을 구분한다면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퇴근시에 지문 인증을 깜빡할때가 많지만 바쁘시더라도 꼭 지문 인증을 하고 퇴근하시길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전기·전자
22.09.20
0
0
올해는 절기가 빠른데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양력은 1년 동안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지구의 계절성을 나타낼 수 있는 달력이며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것을 기준으로 하여 만든 달력입니다.음력은 달이 우리 지구를 공전하는 것을 기준으로 만든 달력입니다.그리고 우리나라는 과거에 음력을 사용하였으며, 추석 설날과 같은 날들이 과거부터 있었기 때문에 음력을 기준으로 합니다. 음력은 양력과 다르게 1년 주기가 354일로 11일 짧습니다. 이 때문에 추석이나 설날이 빠르게 다가올 때도 있으며 늦어질 때도 있죠.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0
0
0
구름이 비를 만들어내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공기중에 수증기량이 많은 상태에서 상승기류를 만나면 공기가 하늘로 올라갑니다.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가 하늘로 올라가면 부피가 팽창하고 온도가 떨어지게 되는데 이 때 온도가 떨어지면서 수증기가 물로 바뀌죠. 그러면서 구름이 형성됩니다. 이 구름에 있는 아주 작은 물방울이 있는데, 구름 속 수증기량과 물의 양이 많을 때 작은 물방울들이 서로 병합하게 됩니다. 그러면서 조금씩 크기가 커져 지상으로 떨어지게 되죠. 이것이 비가 내리는 원리입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2.09.20
0
0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